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8/02/11 09:53:39
Name DC 하는 준구씨
Subject [일반] 한미FTA, 일자리 창출효과 거의 없다
[FTA 진단2] 삼성경제연, 한미FTA로 수입급증하면 고용 부정적 우려

지난 4일 경부터 그 황당무계한 한미FTA 광고가 지하철에 버젖이 또 등장했습니다. 한미FTA 국내대책위원회 명의로 나온 이 광고는 “10년간 일자리 창출 34만 개, 향후 10년간 연평균 수출증가 23억불, 2018년 소비자 혜택 20조원”이라는 주장들을 담고 있습니다. 과연 이런 주장들은 근거가 있는 것일까.

이번 글에서는 이 중에서 “10년간 일자리 창출 34만 개, 향후 10년간 연평균 수출증가 23억불”이라는 주장의 허구성을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2018년 소비자 혜택 20조원”에 대한 비판 글은 분량이 많아 다음 기사에서 다루겠습니다)  

한미FTA로 매년 3.4만개 일자리 창출하려면 0.6%p씩 추가성장해야

한미FTA 국내대책위원회는 지하철 벽면에 올린 광고에서 한미FTA  발효로 10년간 34만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한미FTA 발효로 1년에 평균 3만 4천개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는 것인데요. 과연 이들의 주장은 근거가 있는 것일까요.

한미FTA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추정하는 것은 의외로 아주 간단합니다. 한미FTA로 예상되는 추가 경제성장률만 산출하면 고용창출효과는 쉽게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자료-1] 연도별 경제성장률과 일자리 수
(연도)-(성장률)-(취업자수)-(취업자수증감)-(성장률1%p당일자리창출)
2002---7.0%---2216.9만명---59.7만명----8.5만명
2003---3.1%---2213.9만명--(-3.0)만명----***
2004---4.7%---2255.7만명---41.8만명----8.9만명
2005---4.2%---2285.6만명---29.9만명----7.1만명
2006---5.0%---2315.1만명---29.5만명----5.9만명
2007---4.9%---2343.3만명---28.2만명----5.8만명  
(자료 출처) : 통계청, 한국은행

[자료-1]을 보면 우리 경제가 향후 가까운 미래에 1%p 추가 성장을 하게 되면 5.5~6.0만명의 일자리를 추가로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어느 정도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우리 경제가 한미FTA 발효로 매년 3.4만명의 추가 일자리를 창출하려면 향후 매년 0.6%p씩 추가성장을 해야 할 것이라는 것도 쉽게 추정할 수 있습니다.

결국 문제의 핵심은 향후 우리경제가 가까운 미래에 한미FTA 발효의 영향으로 매년 0.6%p씩 추가성장을 할 수 있느냐에 놓여 있는 것입니다. 만약 한미FTA 발효로 이 정도 추가 성장이 불가능하다면 한미FTA 발효로 매년 3.4만명의 고용창출이 가능하다는 정부와 국책연구소 주장은 근거없는 낭설이 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한미FTA로 매년 0.6%p씩 추가성장하려면 수출 60억불씩 추가증가해야.

그러나 수출을 확대해서 추가 성장을 한다는 것이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닙니다.

[자료-2]연도별 수출증가액과 경제성장률
(연도)---(수출총액)--(수출증가액)-(경제성장률)
2002---1624.7억불---120.3억불---7.0%----17.2억불/1%
2003---1938.2억불---313.5억불---3.1%---101.1억불/1%
2004---2538.4억불---600.3억불---4.7%---127.7억불/1%
2005---2844.2억불---305.7억불---4.2%----72.8억불/1%
2006---3254.6억불---410.5억불---5.0%----82.1억불/1%
2007---3714.9억불---460.2억불---4.9%----93.9억불/1%
(자료 출처) : 통계청, 한국은행

[자료-2]에서 보다시피 우리 경제는 최근 몇 년 간 1% 추가성장하는데 수출을 70~130억불 추가로 증가시켜야만 했습니다. 따라서 가까운 미래에도 1% 추가 성장을 하려면 100억불 정도의 추가 수출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즉 우리 경제가 한미FTA 발효로 매년 3.4만명의 추가 일자리를 창출하려면 향후 매년 0.6%p씩 추가성장을 해야 하고, 매년 0.6%p씩 추가성장을 하려면 한미FTA 발효로 매년 60억불의 추가수출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정부와 국책연구소들 스스로 한미FTA 발효로 인한 수출증가효과를 60억불로 추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자료-3] 2006.1.18 대외경제연구원 발표자료 주요 내용.
*실질GDP 증가효과
-단기(정태)효과-----0.42%p
-중장기(동태)효과---1.99%p(10년간)--1년에 0.2%p
*대미수출효과  
-단기(정태)효과-----54억불 증가
-중장기(동태)효과---71억불 증가(10년간)
*대미무역수지
-단기(정태)효과-----42억불 흑자감소
-중장기(동태)효과---51억불 흑자감소(10년간)

대외경제연구원이 2006년 1월 18일 발표한 위의 자료에 의하면, 이들은 한미FTA 발효의 영향으로 수출이 매년 7억불 정도 증가할 것이라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수치들은 2007년 4월 한미FTA 협상이 타결된 직후 나온 산업연구원의 의견과도 상당히 유사하게 일치합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KIET) 자동차산업 팀장은 ‘3000㏄ 이하 승용차 관세 철폐 첫 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FTA 체결 전에 비해 6억달러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매일경제신문 2007년 4월 2일자.

한미FTA로 0.1%p 추가성장, 10억불 추가수출해도 일자리는 고작 5~6천개.

그렇다면 자동차 이외 품목의 대미수출은 어떻게 될 것인가. 아래 자료에서 보듯이 한미FTA가 발효된다 하더라도 자동차 이외 품목들의 수출증가 효과는 매우 작을 것이라는 것이 대부분의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자료-4]2006년 대미수출 내역 분석
*대미수출총액---------------458.3억불
*전기전자 제품(HS85번)-------125.9억불(대미수출의 27.5%)
*자동차(HS87번)-------------108.5억불(대미수출의 23.7%)
*기계류(HS84번)--------------74.8억불(대미수출의 16.3%)
*철강(제품)(HS72~73번)--------25.6억불(대미수출의 5.6%)
(자료 출처) : WTA

[자료-5]주요 수출품 유관세/무관세 비율(수출액수 기준)
-------------------------(유관세)---(무관세)
*전기전자 제품(HS85번)-------15.5%-----84.5%
*자동차(HS87번)-------------95~6%----4~5%
*기계류(HS84번)--------------20.4%----79.6%
*철강(제품)(HS72~73번)--------5.2%-----94.8%  
(자료 출처) : 미국 관세청.

즉 자료 4,5에서 보듯이 전기전자,기계류,철강 등에서는 현재에도 무관세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미FTA가 발효된다 하더라도 수출증가 효과는 거의 없는 것입니다. 섬유제품들은 현재의 관세율이 높기는 하지만 대미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4%를 넘지 못하기 때문에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합니다.

요컨대 정부나 국책연구소와 업계 스스로도 한미FTA 발효로 첫 해에 자동차 수출은 6억불 증가하고, 섬유수출은 1~2억불 증가하며, 기타 등등 수출은 1~2억불 정도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위에서 보았다시피 한미FTA 발효로 10억불의 수출이 추가로 증가한다면 한미FTA의 경제성장률 추가상승효과는 0.1%p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자료-1]에서 보았다시피 1%p 추가 경제성장이 5.6만명의 일자리를 추가로 창출한다면 한미FTA로 인해 추가되는 0.1%p의 추가성장은 56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게 될 것입니다.

삼성경제연구소, “한미FTA로 수입급증하면 고용에 부정적 영향”    

그러나 문제는 여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지나치게 급진적인 대외개방은 신규로 창출되는 일자리 수보다 더 많은 일자리를 파괴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자료-5]연도별 제조업 일자리 수
(연도)(제조업일자리)
1980---295.5만 개
1985---350.4만 개
1990---491.1만 개
1995---481.8만 개
2000---429.3만 개
2005---423.4만 개
2007---411.9만 개
(자료 출처) : 통계청

[자료-5]에서 보다시피 무분별하게 급진적으로 개방이 진행된 1990년대 이후 제조업의 일자리 수는 증가하기는 커녕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삼성경제연구소도 그들의 보고서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 승용차 관세율 10%가 철폐된다면 수입이 대폭 증가할 수 있을 것이고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임(여기에 미국에서 생산되는 일본업체의 자동차 수입도 가능하게 될 것임)  
- 전자부문의 부품 수입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미국에서 부품의 수입이 증가하면 우리의 중소기업들에게 영향이 미칠 것이고 장기적으로 중국과의 산업분업의 고도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  
- 미국기업이나 미국에 우회수출하기 위한 직접투자가 증가한다면 국내고용이 증가할 것임. 그러나 미국에 우회수출하기 위해 한국에 오는 투자는 별로 없을 것이며 미국기업도 greenfield현 투자를 할 것 같지는 않음
- 따라서 고용안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품목(예컨대 자동차) 등에서는 미국의 요구를 모두 일시에 수용해서는 안 될 것임.
(자료 출처) : 삼성경제연구소(2006.6.29), 한국 제조업과 한미 FTA,한미FTA 국회대토론회 자료집

1996년 유통업 대내외개방으로 유통업 일자리 오히려 감소  

대내외개방이 필연적으로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을 가져온다는 편향적인 관념을 거부하는 실증자료는 또 있습니다.  

다음 자료는 1996년 유통업 개방 이후의 도소매업 고용현황을 표로 나타낸 것입니다.

[자료-6]1992~1997년 도소매업 취업자 수 변화추이
(연도)(도소매업취업자수)
1992---320.6만명
1993---350.6만명
1994---371.6만명
1995---377.3만명
1996---387.2만명<---유통업 개방(국내외 대기업에 개방)
1998---381.8만명
2000---383.3만명
2002---399.1만명
2004---380.5만명
2006---371.3만명
2007---367.7만명
(자료 출처) : ILO, 통계청.
(주)1992년 이전 취업자 수 통계는 음식숙박업과 합쳐져 있어서 분리가 불가능했음.

[자료-6]에서 보다시피 1996년 유통업 개방 이후 유통업 일자리 부문에서 긍정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1996년 이전 시기와 비교해 볼 때 유통업 개방 이후 취업자 수 증가율이 급감했으며, 카드 남발과 월드컵 특수로 유통업이 호황이었던 2001년~2002년을 정점으로 취업자 수 절대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런 현실은 유통업 개방으로 일자리 수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급진적 개방론자들의 관념적 허구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미FTA에 대해서도 정부와 국책연구소들이 진실을 왜곡하여 편향적으로 국민들에게 고용창출의 순기능만 홍보해서는 곤란합니다. 한미FTA처럼 국민들의 운명이 걸려 있는 중차대한 사안에서 국민들을 속이는 것은 매우 부도덕하고 비윤리적인 짓이기 때문입니다.

점진적 개방론자들을 대원군식이라 매도하는 것은 부당한 색깔칠하기.  

그렇다면 우리의 대안은 무엇인가. 졸속적인 한미FTA를 거부하고 점진적인 개방론을 주창하는 상지대 김성훈 총장은 2007년 기자협회보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노무현 정부 초기의 FTA 전략이 맞았다. 우리의 기술력과 높은 수준의 인력으로 자원이 풍부한 주변의 나라들과 먼저 손을 잡아야 했다. 스파링 파트너로 싱가포르, 에프타, 아세안, 일본, 중국 등과 우리 체질을 강화하고 경제의 외연을 확보해야 했다. 그리고 EU, 마지막으로 미국과 진검승부한다는 것이 정부의 초기 방침이었다. 지금은 이 순서를 뒤집어버렸다.”--기자협회보, 2007년 5월 16일자. 김성훈 총장 인터뷰 기사, “미국 편향 경제관료가 참여정부 초기 참모 밀어내” 중에서.

이런 김성훈 총장의 생각은 조순,이정우,정운찬,장하준,정태인,이해영 등 ‘졸속적인 한미FTA를 반대’하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널리 공유되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진실을 가리고 싶어하는 보수적인 정치인들과 경제관료들은 이들을 ‘영원한 개방반대론자=대원군같은 인물”들로 색깔을 칠하려 하지만 말입니다.    

그러나 개방율 제로 상태였던 구한말과 개방율 95% 이상 수준인 현재의 한국을 단순비교하며 점진적 개방론자들을 ‘대원군형’이라 매도하는 것은 지식인다운 지식인이 취해야 할 태도가 아닙니다. 지식인다운 지식인은 이런 색깔칠하기 행태와 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지식인다운 지식인은 관념이 아니라 현실로 이야기해야 하는 사람이며, 논리와 근거로 이야기하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출처는 홍헌호씨라는 사람의 홈페이지입니다...
나름 피쥐알러들이 좋아하는 객관적인 수치와 자료를 근거로하는 분석적인 시리즈물이라 게시합니다
뭐 숭미사대주의정권이 들어선 시점에서 이런 게 무슨 의미가 있을런지 아무렴 그렇지 그렇고 말고
요즘 또 한미FTA 광고가 늘어난 시점에서 또 관련사이트는 운세도 봐주던데
또 대안도 구체적이라 요즘은 대안무역(공정무역)이라는 형태의 무역도 나오는 시점에서
아무런 득이 없는 걸 졸속으로 처리해야 하는 이유는 뭔지...
이시점에서 아쉬운 건 역시 민노당에 가 있는 정태인비서관이 밀려난거 정도
아님 이정우수석이 짤린거 정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2/11 10:01
수정 아이콘
95년 정도와 2005년 정도의 상황을 '개방' 전후로 보는 것 보다는 'IMF' 전후로 봐야 더 타당한 것 아닌가 싶습니다. ( 개방을 해서 일자리가 줄어든 것이 아니라 IMF 를 맞아서 일자리가 줄어들었다고 보는 것이 더 맞다는 생각입니다. )

미국과의 FTA를 서둘러서 체결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안된다는 요지에는 동의하지만, 저 통계수치는 좀 함정이 있는듯 해서 댓글 답니다.
08/02/11 15:06
수정 아이콘
좀만 멀리서 보면 상식적인 것인데 세상 사람들은 때론 상식을 거부하고 수렁으로 빠져 들어가는 경우가 맣죠. 김광수 경제연구소에도 좋은글 많습니다. http://cafe.daum.net/kseriforum 관심 있으시면 방문해보세요.
08/02/11 17:14
수정 아이콘
아직은 모르는 겁니다! 아직 FTA가 발효되지도 않았는데 여론은 무조건 부정적으로 몰아가는 경향만 크더군요.
펠릭스~
08/02/11 22:05
수정 아이콘
글쎄요 FTA의 근본 이론이라고 할수 있는
상대우위론?? 을 생각해 보면
일자리 측면에선 줄어드는게 당연한 겁니다...

너무 상식적인 건데
개방을 할수록 전체적으로 보면 일자리는 줄어들죠
물건은 많아지구요....

물론 1800년대 관점에서는 당시 부족한 노동력과 물건등을 감안했을때
틀리지않은 이론인지 몰라도 넘처나는 물건과 부족한 일자리...??라는 현대적인
관점에서 볼때 과연 경제학이 추구하는 효율이란것이
인간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는 것인지 의문조차 가지지 않으니까요

사람들은 조금더 잘살려고 하는 노력때문에 가난해 지고 있다는 패러독스를 받아들일 날이 언제 올런지...
^^;;
하지만 그때가 되면 해결될수 있을까요 ^^;;
인간의 욕망은 무한한데 자원은 유한하다..
이 당연한거 같은 경제학적 명제의 굴레를 뛰어넘기엔 사람은 아직 많이 부족한가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547 [일반] 4대강 살리기가 대운하인가 아닌가는 그다지 중요한 문제가 아닌 거 같습니다. [33] 네야4151 09/06/09 4151 1
11059 [일반] 조중동 광고주 기업 불매운동에 관한 판결문을 봤습니다 [87] VerseMan4232 09/02/20 4232 0
10159 [일반] 대운하의 시작은 3월 서울에서 [9] 영소3784 09/01/05 3784 0
10140 [일반] 결국 '공성전'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런데... [46] The xian6515 09/01/03 6515 2
9724 [일반] 기적의 역사??? 4.19 데모??? (아래 7690 더미님의 게시글과 관련된 내용 추가합니다.)_회수관련 기사 추가 [28] 朋友君4087 08/12/09 4087 2
6847 [일반] [속보-청와대 특별기자회견] 李대통령 "쇠고기 파동, 뼈저리게 반성" - "30개월 이상 美 쇠고기 수입금지, 대운하 사업도 추진 안 해" [44] 스타벨3880 08/06/19 3880 0
5004 [일반] 대운하, 이미 일정까지 나왔네요. [35] The xian5008 08/03/27 5008 0
4688 [일반] [세상읽기]2008_0303 [15] [NC]...TesTER4022 08/03/03 4022 1
4548 [일반] [세상읽기]2008_0222 [17] [NC]...TesTER4384 08/02/22 4384 0
4385 [일반] 한미FTA, 일자리 창출효과 거의 없다 [4] DC 하는 준구씨2964 08/02/11 2964 0
4072 [일반] 일렉 기타 키드 분들 께 [5] 캐터필러3538 08/01/18 3538 0
4031 [일반] [펌]걱정이 앞서는 대운하사업 [22] the hive3938 08/01/15 3938 1
4005 [일반] (펌) 이명박당선인의 대운하를 비판하는 게임매니아 [40] i`m god9405 08/01/13 9405 4
3984 [일반] 100분토론... 한반도 대운하에 대해서 토론하다. [32] Rush본좌5006 08/01/11 5006 0
3871 [일반] [세상읽기]2008_0102 [12] [NC]...TesTER3913 08/01/02 3913 0
3729 [일반] 이명박 정부의 경제기조 전망 [25] 가는거야!!!4294 07/12/22 4294 1
3007 [일반] 집주변 소음에 대해서.. [8] 질럿을사랑한4172 07/10/15 4172 0
525 [일반] 배우 정다빈.. 자살 !? 타살 !? [26] 체념토스16309 07/02/10 1630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