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3/27 10:18:11
Name gibbous
Subject [일반] 월드컵 본선진출 경우의수 정리
어제 진짜 못이기는걸 억지로 이겼네요. 감독의 전술은 선택이었고, 다른 전술을 사용하면 어떻게 되었을 것이라는 것은 다 부질없는 가정이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이 지고, 아르헨티나로 볼리비아를 못이기는게 축구이니만큼, 최종예선 끝까지 최강희 감독의 선택을 믿어보기로 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어제의 경기에서는 우리 선수들이 카타르보다 피지컬과 높이에 강점이 있느만큼 그걸 노려보자는게 복안이었을것이고, 어쨌든 결과가 2:1 승리이니 전 만족할만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남은 일정도 잘 치루어 주기 바라면서 경우의 수를 정리해봤습니다.

일단, 어제의 결과로 플레이오프까지의 안정권은 들어섰다고 봅니다. 그래서, 자력으로 조2위까지 가능한지 경우의 수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일단 가정은 상대적으로 전력이 앞서는 우즈벡이 카타르전을 이기고, 이란도 카타르와 레바논을 이겼다고 가정합니다. 우리가 플옵도 못나갈 가능성은 우즈벡, 이란, 카타르에 이어 조4위로 떨어지는건데 카타르가 남은 2경기를 이기고, 우리가 남은 3경기 중 2무1패 이하면 가능하기는 합니다만. 별로 생각하고 싶지는 않네요. 3무면 이란,카타르,우리나라 골득실이고 1승2패(우즈벡,레바논 이길시)면 카타르와 골득실, 1승2패(이란 이길시)면 이란과 골득실이네요

우리 경기는 6/4 레바논(원정), 6/11 우즈벡(홈), 6/18 이란(홈) 이렇게 남아 있습니다.

1) 레바논에게 질 경우
우즈벡, 이란 이기면 조1위
우즈벡과 비기고, 이란 이기면 조2위
우즈벡에 지고, 이란 이기면 이란과 골득실
우즈벡에 이기고 이란 비기면 3팀 동률

즉, 우즈벡에 이겨도 이란에게 지면 플옵
우즈벡과 비기면 이란과 비기거나 지면 플옵
우즈벡에 지면 이란을 이기고 이란과 골득실로 결정

2) 레바논과 비길경우
우즈벡, 이란 이기면 조1위
우즈벡과 비기면 이란에 이겨야 우즈벡과 골득실 조1위 이란에 비기거나 지면 플옵
우즈벡에 지면 이란 이겨야 조2위 비기거나 지면 플옵

3) 레바논을 이길경우
우즈벡 이기면 진출
우즈벡과 비기면 이란과 비기거나 이기면 진출 지면 플옵
우즈벡에 지고 이란을 이기면 진출 비기면 이란과 골득실 지면 플옵

레바논을 이기는것도 중요하지만, 그 다음 우즈벡과 이란의 경기가 중요하겠네요.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의 선전을 기원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레지엔
13/03/27 10:26
수정 아이콘
결국 그냥 다 이기고 가주면 좋겠는데(..)
살만합니다
13/03/27 10:27
수정 아이콘
역시 우리의 친구 경우의수 ㅜㅜ
안철수대통령
13/03/27 10:32
수정 아이콘
신기한건... 축구는 이런식으로 경우의 수가 나와도 항상 올라갔던걸로 기억하는데... 이번에도 잘해주길 기대합니다!
수퍼펄팩이
13/03/27 10:33
수정 아이콘
마지막 두 경기 홈이라 그래도 다행이네요~
이란한테는 꼭 복수해 줘야줘!!!
방과후티타임
13/03/27 10:37
수정 아이콘
그래도 어제 간신히라도 승점 챙겨서 좀 여유가 생겼네요. 어지간하면 진출할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메
13/03/27 10:37
수정 아이콘
그냥 속시원히 3연승 할꺼 아니면 몇번 연속 본선진출 안해도 좋으니 그냥 안가도 별 후회는 안들 것 같습니다.
아시아에서 매번 본선 가서 최근 몇년 빼면 호구된게 어제 오늘일이 아니라...박지성 이영표까지 떠난 국대에 큰 애정이 남아있질 않네요.
13/03/27 10:40
수정 아이콘
한꾸역!!
13/03/27 11:00
수정 아이콘
강팀이 가져야 할 기본 중에 기본은 시원한 득점력, 탄탄한 수비력, 수준 높은 전술 수행 능력 같은 것도 필요하겠지만 어떻게 해서든 승점을 가지고 오는 것이 가장 기본이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는 경기를 비겨서, 비기는 경기를 이겨서 승점을 챙기는 것이 전제되어야 그 후의 일을 생각할 수 있겠지요

어제 경기력은 만족할 수준은 아니었지만 승점에 대한 갈망은 아시아권에서 왜 한국이 강팀으로 불리는지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매번 가는 월드컵 한번 빠지면 어떻겠냐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호의적이지만 않은 국내 스포츠 뉴스를 고려한다면 그 한번이 되돌릴 수 없는 참사를 불러올 수 있겠지요. (K리그 클래식 방송 횟수 감소 - 지금도 작지만...전무할 수도)

어떻게 해서든 월드컵은 진출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경기력으로 가면 대패한다는 말은 역대 모든 월드컵에서도 나온 말이고, 그 말이 무색할 정도로 잘 하고 올겁니다.
지구사랑
13/03/27 11:30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강팀의 조건은 꾸역꾸역 질 경기 비기고 비길 경기 이기는 거죠.
가게두어라
13/03/27 11:43
수정 아이콘
멘꾸역.....
ChojjAReacH
13/03/27 11:57
수정 아이콘
본꾸역.. 흐흐
광개토태왕
13/03/27 11:03
수정 아이콘
아직 바로 탈락은 아니군요...
에위니아
13/03/27 11:35
수정 아이콘
현재 한국이 제일 유리한 상황입니다.
우즈벡에게 승점 1점차로 밀려서 2위지만 우즈벡은 한경기를 더 치른 상태니까요.
바카스
13/03/27 11:25
수정 아이콘
아시아 예선따윈 그냥 뚫고 올라가줘야!
Abelian Group
13/03/27 11:31
수정 아이콘
어찌됐건 최소 플옵은 확보네요
Manchester United
13/03/27 11:44
수정 아이콘
전혀 경우의 수 따질 상황이 아니죠.
위원장
13/03/27 11:48
수정 아이콘
아직 경우의 수를 따지기엔 경기 많이 남아서...
거믄별
13/03/27 13:51
수정 아이콘
지금은... 5개팀의 남은 경기가 2~3경기씩이어서 경우의 수가 너무 많죠. 6/4 대한민국 VS 레바논 전과 카타르 VS 이란 전 결과에 따라서 윤곽이 들어날 것 같습니다. 가장 좋은 결과가 우리는 이기고 이란과 카타르는 비기는 것인데 어찌될지...

어제 경기의 경기력이 정말 실망스러운 경기였지만 승점 3점을 챙겼다는 것은 앞으로의 경기가 여유로워지는 결과를 가져왔죠.
강가딘
13/03/27 15:49
수정 아이콘
아직 경기도 3경기 남앗고 축구는 경우의 수 나와도 구역구역 본선에 올라간 경우가 많아서리 한번 믿어볼랍니다.
그나저나 새벽에 잉글랜드 몬테네그로 전에서 fc서울의 데안이 후반 교채투입돼서 동점골을 넣엇습니다.
새벽에 라이브로 봣는데 데안... 정말 잘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2905 [일반] 노원 병 최근의 여론조사. [276] 13546 13/03/28 13546 0
42904 [일반] 커뮤니티와 친목질 [171] 절름발이이리12958 13/03/28 12958 123
42903 [일반] 김재철사장의 마지막꼼수 [24] empier7001 13/03/28 7001 0
42902 [일반] [약혐] BGM 하고 영상하고 잘 안맞는 클립들. [19] OrBef6014 13/03/28 6014 0
42901 [일반] 4월 1일 부터 음란물 집중 단속을 한다고합니다 [111] 인간흑인대머리남캐14344 13/03/28 14344 0
42899 [일반] [공지] 출처표기 / 친목에 대한 운영진 입장 [73] Toby6274 13/03/27 6274 3
42898 [일반] [야구] 넥센, '고척동 돔구장 안들어간다' [51] 강가딘8161 13/03/28 8161 1
42897 [일반]  내년부터 입학사정관제 폐지한다 [148] empier8763 13/03/28 8763 0
42896 [일반] 변희재 "MBC 사장에 응모하겠다" [44] 착한아이8196 13/03/28 8196 1
42895 [일반] 지식채널e - 38명의 목격자 [9] 김치찌개9580 13/03/28 9580 0
42894 [일반] 불과 60년 전 대한민국의 모습 [3] 김치찌개5769 13/03/28 5769 0
42893 [일반] 내 십대가 그립다.jpg [14] 김치찌개6290 13/03/28 6290 1
42892 [일반] [잡담] PGR에서 나는 무슨 짓을 한 거야? [26] OnlyJustForYou5403 13/03/28 5403 1
42891 [일반] [영화] 미스터 고, 월드워Z, 아이언맨3 예고편 [14] 타나토노트6879 13/03/27 6879 0
42890 [일반] 제가 가장 이해할수 없는 이벤트, 프로포즈. [366] Love&Hate19821 13/03/27 19821 6
42889 [일반] 전역하고 대학 생활이 예전같지 않네요.. [24] Sine Timore7433 13/03/27 7433 4
42888 [일반] 다윗의 막장 '월간 이공계' 2013년 3월호 [내 학점아]를 공개 합니다 [25] jjohny=Kuma5465 13/03/27 5465 4
42887 [일반] 어느덧 예비군의 계절, 그리고 프로야구의 개막 [28] 빛고즈온5679 13/03/27 5679 2
42886 [일반] 붕당의 역사 - 1 [45] 눈시BBbr9345 13/03/27 9345 14
42885 [일반] 담뱃값 인상 반대하는 이유 [241] 웨브신12424 13/03/27 12424 1
42884 [일반] (스포 다량 함유 주의) '최고다 이순신' 개인적 평가 및 예상 스토리 흐름 [27] 창이6635 13/03/27 6635 1
42883 [일반] 탕수육으로 본 조선시대 붕당의 이해 해석본 [67] 순두부299837 13/03/27 299837 127
42882 [일반] 윤하, 피노다인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10] Do DDiVe4061 13/03/27 406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