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12/27 01:56:52
Name 김치찌개
Subject [일반]  국내 로또 최고 당첨금 407억원 주인공의 현재 모습




국내 로또 최고 당첨금 407억원 주인공의 현재 모습..

멋지네요~

로또당첨되면 갑자기 불어난 돈으로 흥청망청쓰다

결국 전보다 못한 상태되는게 대부분이라 들었는데 말이죠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엽혹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루키즈
12/12/27 02:07
수정 아이콘
200억이면 일반인 스케일에서 흥청망청 쓰기도 힘든 돈이기 때문에....-_-;
춘천에서 차사고 집사고 뭐사고 해도 20억도 못썼을거같은데...
이자율이 0.1% 여도 연간 2000만원...
겨울연가 어쩌고저쩌고가 있는걸 보면 명동인가봅니다.
다음학기에 복학하면 한번 찾아봐야겠네요. 크크크......
절름발이이리
12/12/27 02:07
수정 아이콘
다수가 흥청망청 써서 더 망한다는 건 시기심이 깃든 괴담일 뿐.. 그 외에도 로또 되면 무슨 조폭이 붙네 기부하라고 난리치네
한단 것들도 비슷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괴담이죠.
낭만토스
12/12/27 02:15
수정 아이콘
저 같아도 제가 로또 1등이 된다면
그냥 지금의 삶처럼 살되 든든한 돈이라는 방패가 있기 때문에
좀 더 마음의 여유를 가지면서 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도 하고 공부도 하고 딱 지금처럼 말이죠.
그리고 LOL스킨도 좀 더 사보고...응?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2/12/27 02:18
수정 아이콘
나도 한번 1등 됐으면 좋겠다 헤헤 매주 사는뎅
12/12/27 03:52
수정 아이콘
저도 관련 루머를 여러개 들었었는데... 이분 잘 살고 계셨군요.

당시에 1등 당첨금이 계속 이월되는 바람에 로또 열풍이 엄청나게 불었던게 기억납니다.
이 때 제가 의경이어서 방순대에서 근무하고 있었는데 1등으로 4백억이라는 거금을 '경찰관'이 타고나니 저희 방순대에도 그 전보다 더한 열풍이 불어서 너도나도 로또를 했었죠.
저는 로또를 하지 않았지만 직원분들이 항상 자동말고 직접 찍어서 로또 사오라고 해놓고 당첨 안되면 농반진반으로 갈구던게 기억나네요. 흐흐;
라라 안티포바
12/12/27 06:37
수정 아이콘
노래가 참 좋네요.
언뜻 유재석
12/12/27 08:33
수정 아이콘
나도 한번 1등 됐으면 좋겠다 헤헤 매주 사는뎅(2)
라리사리켈메v
12/12/27 09:20
수정 아이콘
이 당시 3~4연속 이월인가 그랬고, 게다가 한 게임에 2000원 씩 할 당시라서 저 정도 금액이 쌓일 수 있었죠.
게다가 이월되서 금액은 커졌지만 지금 처럼 로또를 거침 없이 살 당시가 아니라서 독식도 심심찮케 나오던 시절이었구요.
06 30 38 39 40 43 혹시라도 과거로 돌아갈 일 독식 말고 나눠가지려고 아직도 외우고 다닙니다. 크크
그리메
12/12/27 09:53
수정 아이콘
이 분 압구정 살다가 애들이 초등학교 갔는데 반 애들이 '로또자식' 이라고 놀리는거에 충격받고 미국으로 갔다고 들었었는데 다시 오셨나보네요.
아무튼 좋은 일 많이 한다고 들었는데 화이팅입니다.
공고리
12/12/27 10:17
수정 아이콘
이 로또 산 분이 저 분이 아니라 전경을 시켜서 산거라서 그 전경에게 1억인가 줬다던데 그건 사실인지 궁금하네요.
그리메
12/12/27 10:35
수정 아이콘
시켜사도 산 주인이 소유권 먼저 인정됩니다. 예전에 이걸로 부부간에 이혼 소송 나왔을때 내렸던 판시 결과입니다.
루크레티아
12/12/27 12:49
수정 아이콘
그냥 괴담이죠. 아무리 개인정보가 공공재 수준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무슨 개떼처럼 달려들겠습니까.
허황에 찌들어서 미치지 않는 이상에야 정상적인 삶을 살던 사람이라면 당연히 저런 무난한 인생을 살 것 같습니다.
후후하하하
12/12/27 13:22
수정 아이콘
욕구는 끝이 없다는 누군가의 이론에 대한 일침이군요.
잘봤습니다.
절름발이이리
12/12/27 13:40
수정 아이콘
욕구는 끝이 없죠. 단지 돈이 많아지면 마치 무조건 절제가 불가능해지는 것처럼 말하는 게 어폐가 있다는 것 뿐.. 돈없는 사람이라고 뭐 욕구가 없어서 저축하거나 아끼거나 기부하는 게 아니니까요.
후후하하하
12/12/27 14:07
수정 아이콘
글쎄요. 기부가 또 다른 욕구일까요?
기부자들은 그런 표현을 모욕에 가깝다고 느낄 것 같네요.

써놓고 보니 사실 저도 잘 모르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절름발이이리
12/12/27 14:37
수정 아이콘
하고 싶으면 욕구죠. 하기 싫은데 억지로 기부한 거라면야 할 말 없지만..
하카세
12/12/27 14:14
수정 아이콘
전 저런돈 받으면 무서워서 쩔쩔맬거같은데 크크 아무한테도 말안하고 이자로만 용돈처럼 먹고살아도 좋을듯..
Name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293 [일반] 크 [39] 티오피4673 12/12/27 4673 0
41292 [일반] 명불허전 일본 아베정권 [24] 타테시6786 12/12/26 6786 0
41291 [일반] 정신나가는줄 알았다 [9] 이명박4766 12/12/26 4766 4
41290 [일반] [해축] 수요일의 bbc 가십... [19] pioren3831 12/12/26 3831 0
41289 [일반] [야구]지극히 주관적인 KBO에서 한 외모 하는 선수들! [25] 키스도사17083 12/12/26 17083 0
41288 [일반] [바둑] 2012년 마지막 결산 - 백홍석에서 시작해 이세돌로 끝난 2012년 [19] 라라 안티포바4060 12/12/26 4060 0
41287 [일반] 다들 감기 조심하세요. [1] FlyHigh3078 12/12/26 3078 0
41286 [일반] [공지] 업로드 제한 안내 [3] Toby4090 12/12/26 4090 0
41284 [일반] 내 마음대로 선정한 2012 일본 애니메이션 BEST 35 [65] 오우거7736 12/12/26 7736 9
41280 [일반] 소녀시대, 4집 타이틀곡 'I Got A Boy' Teaser (드라마 ver.) 공개 [23] kimbilly5062 12/12/26 5062 0
41279 [일반] 국회 택시법 다시 통과시도 - 버스업계 전면 운행중단 재논의 [89] 타테시6902 12/12/26 6902 0
41278 [일반] 지가 백제 후손이랩니다 [20] 눈시H11810 12/12/26 11810 0
41277 [일반] 노면전차 사업, 경전철의 대안인가? 또 하나의 세금낭비가 될것인가? [41] 타테시4596 12/12/26 4596 0
41276 [일반] 졸업 그리고 취업 [7] 혼돈4229 12/12/26 4229 0
41275 [일반] 편 가르기 발언 자제 바랍니다 [68] Timeless5933 12/12/26 5933 0
41273 [일반] 행복의 조건 [14] 붐바라밥3545 12/12/26 3545 0
41270 [일반] 드디어 '증세 없는 복지'의 실체가 드러났습니다. [345] 송화경15035 12/12/26 15035 0
41268 [일반] 18대 대선 투표율...중요하다고 보시나요????(이벤트 후기) [3] 4월이야기4187 12/12/26 4187 0
41267 [일반] [연애학개론] 바둑과 연애(1) - 응수타진과 봉위수기 [30] Eternity10418 12/12/25 10418 2
41266 [일반] 피자피자 이벤트 결과! :) [18] 삭제됨3733 12/12/25 3733 0
41265 [일반] [멘붕 극복 글] 대동법, 100년에 걸친 개혁 [19] sungsik8141 12/12/25 8141 23
41264 [일반] 취향입니다. 존중해주세요. [10] js6000 12/12/25 6000 14
41263 [일반] 비행기에서 차마 못 볼 것을 봐버렸네요..ㅜ.ㅡ [51] Eva01010676 12/12/25 10676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