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8/01/11 01:05:38
Name Rush본좌
Subject [일반] 100분토론... 한반도 대운하에 대해서 토론하다.
오늘 100토론을 처음으로 다보았습니다. 근데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네요.
우선 말씀드리면 전 경부운하에 대해 지극히 반대하는 입장이며 지금이라도 이명박 당선자가 철회했으면 하는 입장입니다.
오늘 토론은 경제적인 측면과 환경비용적인 측면 크게 두입장에대해서 언급했는데요
경제적인 측면은 양 입장 모두 팽팽하게 맞섰습니다. 양측 모두 나름 설득력있는 근거와 함께 주장하는데..
감히 전 말조차 못하겠더군요 그런데 그와중에 첫번째 반대쪽의에이스급의 시민논객.... 자기 할말 다하면서 근거도 나름대로 가지고 계시고 오히려 찬성쪽에 계신분들의 의견을 반박까지 한다는.... 본받고 싶습니다.
뭐 어찌되었건 경제적인 측면은 그렇다 치고 환경적인 측면과 비용적인측면은 확실히 반대쪽 입장이 훨씬더 설득력이 있는것 같더군요
물론 여기 피지알러 분들은 대부분 반대쪽의 입장을 가지고 계시겠지만 저도 최대한 객관적인 시각으로 봤는데도 관광효과니 간접취수니... 이런 부분은 아직 미흡하기 짝이 없는것 같더군요. 도데체 관광효과는 어디서 기대하는지... 지금 백두대간 하나하나에 있는 산들도 엄청나게 수려하고 멋진데 말이죠. 그걸 뚫어버리겠다니... 그리고 취수문제는 확실히 해야할것 같더군요. 이건 우리 생사가 걸려있는 문제이니... 마지막에 다리문제에서는 완전히 반대쪽이 압승을 거두었다는... 이건 찬성쪽은 확실한 자료가 없는것처럼 보이더군요
개인적으로 무조건 철회가되어야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만 대운하 특별법은 뭔지.... 법으로 제정해놨으니까 이제 국민 여론 무시하고 밀어부치겠다는건지...
아무쪼록 제발 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p.s : 디시운하갤에서 논파된 자료좀 구할수있나요??? 꼭 보고싶다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1/11 01:10
수정 아이콘
심야토론에 이어 어김없이 이대 박석순교수가 한양대 홍종호교수에게 떡실신 당하더군요..
방송을 본 모 이대분은..
망신도 이런 망신이 없다네요..
08/01/11 01:14
수정 아이콘
토론의 기초도 안되있고..

자기가 쓴 책도 부정하고..

다른 사람 이야기할땐 딴짓하다 열받으면 참~나 에~이

이대 환경공학과 학생들 창피하겠는데요
노란당근
08/01/11 01:17
수정 아이콘
대운하에 당연지정제폐지... 생각할수록.. 머리가 아픕니다..--;;
오늘밤에는 진짜 진지하게 이민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08/01/11 01:18
수정 아이콘
혹시나 하고 봤지만 해선 안되겠단 마음만 강해졌습니다.
마지막 다리 이야기 나오면서 끝났는데, 너무 아쉽더군요.
전체적으로 서론이 길다가 막상 토론이 진행되려면 시간상 다음 것으로 넘어간 느낌에 100분토론이란 제목이 아쉽더군요.
서로 양측에서 이번에 나온 자료를 더욱 철저히 조사하고 반론자료 만들어서 다음엔 연장토론좀 봤으면 좋겠습니다.
The xian
08/01/11 01:28
수정 아이콘
제가 보기엔 운하를 파겠다는 이들이 운하를 파겠다는 생각 외에는 아무것도 없는 것 같았습니다.
08/01/11 01:30
수정 아이콘
마지막 다리쪽얘기밖에 못봤는데 찬성쪽 이대교수는 내적으로나 외적으로나 반대쪽분들에게 완패더군요. 기본적인 자료준비도 안한듯..
젤 궁금한건 MB는 지금 어떤생각일런지...
뉴타입
08/01/11 01:31
수정 아이콘
찬성측은 왜 자꾸 유지비를 빼고 이야기하려는건지..일단 지어놓고 책임은 안지겠다는 건지..그동안 혹시나 했는데 역시 관광얘기나 주구장창 하는거 보고 이건 아닌데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08/01/11 01:34
수정 아이콘
토론의 여파가 만만찮네요..
현재 박석순 교수 검색어 4위로 급상승 중..
어떤 분께서 박석순 교수를 옹호하시며 말씀하시길..


"너는 언제 한번이라도 남을 위해 큰 웃음 준 적이 있었더냐?"
나야돌돌이
08/01/11 01:49
수정 아이콘
하건 말건 서두르지 말았으면 합니다, 임기내 완공은 말도 안되는 이야기입니다
전문가 수백명을 대동하여 철저하게 조사하고 그 일련의 과정을 반대론자와 국민 모두에게 공개하여 범국민적 결정을 내려야 할 겁니다
찡하니
08/01/11 01:49
수정 아이콘
토론 보고 나서..
대운하 공사가 그저 하천과 하천을 연결하는 것뿐이라고 홍보때리는 것만은 제발 그만했으면 좋겠네요. 거짓말이니까요.
찬성하는 측 입장만 들어봐도 갑문 설치 해야 하고 다리 재건축 해야 하고 산 중앙에 터널 뚫어야 하고 낙동강하구(뭘 한다고 했죠? 경부운하에서 부산항까지 배가 지나다닐수 있게 기술적으로 된다고 하던데 헐~) 손봐야 하고 그밖에 등등..
반대측 입장은 더 추가 될거고 말이죠.
얘기만 들어도 무섭네요. 이런 큰 공사를 내년 초에 첫 삽을 뜬다고 하니까요.
EsPoRTSZZang
08/01/11 02:36
수정 아이콘
2mb를 그냥 압축시켜버리고 싶다는;;;
사상최악
08/01/11 02:44
수정 아이콘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
제발 우리 강산 지켜주세요...
진리탐구자
08/01/11 02:49
수정 아이콘
뭐 PGR에서 쓸 말은 아니지만 그저 떡실신이더군요. -_-;;
08/01/11 02:59
수정 아이콘
충격과 공포인건 박석순 교수가....
2006년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부회장을 지냈다는 사실...-_-;;
온누리
08/01/11 03:07
수정 아이콘
대운하 특별법이요? 그거 아직 안 만들어졌을텐데요. 국회를 통과해야지 법이 만들어지지요.
아직 시간 남았습니다만 부정적이네요. 4월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국회의원 과반수는 물론이고 헌법 개정선 (2/3) 까지 당선될 가능성이 현재로선 높아 보이니까요.
대운하 만들어지는거 보기 싫으시다면 총선에서 한나라당 안 찍으시면 됩니다. 그래서 한나라당에서 과반수를 얻지 못하면 그럼 대운하 특별법이 통과되진 않겠죠. (물론 다른 방법으로 운하를 만들 순 있겠지만요..)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금산분리 완화 등 많은 부분이 법률 개정이 되어야 하니.. 총선 때 고민 많이 하시고 투표하세요.
highheat
08/01/11 03:07
수정 아이콘
헐.. 원래 학회가 인맥빨로 돌아가기는 한다지만...
MB가 환경영향평가를 가볍게 생각할 수 있는 이유가 있었군요. -_-;
08/01/11 03:15
수정 아이콘
여소야대를 만들어 불도저를 견제합시다!
망디망디
08/01/11 03:26
수정 아이콘
대운하 특별법............저건 통과되도 전국에서 일어날꺼같은데.......나만그래?
08/01/11 03:29
수정 아이콘
그래도 인터넷과 다르게 2mb가 한다면 무엇이든지 잘 될 줄 알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경도 안 쓸 것 같네요...
제길...-_-
명왕성
08/01/11 06:37
수정 아이콘
이명박당선자를 지지하는 분들이 어제 토론을 봤을꺼 같지도 않고...
08/01/11 07:5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운하는 저도 반대이긴 합니다.

다만, 토론회는 주최하는 쪽의 의향에 따라 양쪽 참석자의 체급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굳이 사회자가 뭐 조작같은거 안하고 패널 선정때 저정도만 해줘도 결과는 매우 흡족하게 나오죠.

근데 대운하는 반대로 체급조절하기는 극단적으로 어려울 것 같습니다?
Withinae
08/01/11 08:32
수정 아이콘
그런데 100분토론 여론 결과는 어떻게 나왔습니까?
지금 뉴스보니 CBS여론조사 결과는 찬성 반대가 거의 반반 이던데요.
반대 43.8% vs 찬성 40.6% 찬성쪽이 선거 전에 비해 확 올라갔던데요....
the hive
08/01/11 09:14
수정 아이콘
Brian님//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Withinae님// 반대가 93%입니다. 찬성 2% 검토 1% 국민투표 3%
그리고 그 설문조사 설문조사 표본 700명입니다..(....) MBC의 8000명보다 훨씬적어요
문준철
08/01/11 09:22
수정 아이콘
세상에 대해서 좀 배웠다고 할까요? 자신의 이익이 눈앞에 있으면 다른건 안보인다는거. 그리고, 정부는 사람들이 그렇게 되지 않고 저항하면 못하게 통제하면 된다는거.
이익에 대해서 본다면 ,이번 운하건도 운하주변에 사는 분들이 찬성표를 많이 던질것 같습니다. 특히 운하가 전국을 넘나드니 그만큼 이해관계자가 많겠죠. 공사판이나 군대 가보면 저력있게 밀고 나가는 사람들은 일을 저지르고 보는 사람들입니다. 저지르면 어떻게든 다 수습됩니다. 운하 아니라 남북을 판문점을 기준으로 잘라버린다 케도 찬성할 사람들은 찬성하리라 봅니다.
사람과 언론의 통제하면 생각나는 사람이 있습니다. 예전에 홍사덕이 그런 말을 한적 있죠. 노통 탄핵후 국민들은 지금의 일은 곧 잊어먹을 거라고. 그때 전 생각했습니다. 국민을 우습게 알어!! 그런데, 지금은 그런 생각이 듭니다. 홍사덕이 정치의 속성을 잘 아니 저런말을 하나보다.
사족으로 , 요즘 인터넷 언론통제가 심합니다.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사이트들은 정치글은 금지입니다. 한나라당이나 조중동, mb 등 말이 나오면 삭제해야하는 처지죠. 논란이 일어나기 때문이라지만 이건 예전 안기부의 신문사나 방송사 사전검열과 다를 바 없습니다. 여기 피지알 운영진의 글을 읽은적이 있습니다. 가만 두고 보는것도 좋으리라 생각된다는 그런 말이었는데요. 굿이엇습니다. 정치이야기는 승자가 없죠. 다 자기 이야기가 맞으니까요. 암튼 , 여기 이야기들처럼 객관적인 이야기들만 많이 올라왔으면 좋겟습니다. 국민을 생각한다 해놓고 막해버리면 우민정치에 선동정치가 되고, 국익을 위한다치고 막해버리면 권위주의에 특권층 보호밖에 안될수 있으니까요.
08/01/11 09:28
수정 아이콘
the hive님// MBC 그건 여론조사가 아니라 말그대로 인터넷 투표죠. 정식적인 여론조사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진게 아니기 때문에 공식적인 자료로 쓰이기에는 부족한 것이 있죠.
개인적으로 운하건설과 관련해서의 아쉬움을 든다면 지금의 인수위가 건설을 전제로 하고 모든 방향을 잡고 있다는데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그것이 반대여론도 있고 일반 여론도 안좋다고 한다면 고려해볼 만한 사안인데 말이죠. 무조건 좋다는 식은 문제가 있쬬.
그리고 하나더 아쉬움을 이야기하자면 대선과정에서 BBK에 빠져서 대운하와 관련한 공약 검증은 빠져버렸다는 겁니다. 이명박 후보의 1순위 공약이었는데 말이죠. 정동영 후보와 이회창 후보가 이기고자 했다면 이 대운하 공약을 걸고 넘어졌어야 했을 겁니다. 도덕성으로는 BBK, 공약으로는 대운하말이죠. 그런데 공약을 빼먹고 자신의 공약도 홍보하지 못하고 BBK 문제에만 매달려 있었으니...
땅과자유
08/01/11 10:00
수정 아이콘
회사 와서 이야기 들었는데 홍종호 교수님이 나오셨군요. 홍 교수님은 환경경제학을 전공하신 분인데 딱 적절한 패널이였네요.
시간 나면 한번 다시 봐야겠네요. 홍교수님 수고 많으셨어요~!
the hive
08/01/11 10:02
수정 아이콘
Judy님// 동감합니다, 하지만 인터넷 투표의 경우 30~40대가 비율이 워낙커서 저런 수치가 나온것이지만
CBS조사랑 표본수치가 워낙차이가 나서(5~60대 여론조사 참여자분도 CBS보다 많죠,60대 이상은 모르겠습니다만)
10대 조사빼고 5,60대 비율이 많았더라면 대단히 신빙성있는 조사가 됬을거라 봅니다.
그래도 3~40대에서 저렇게 압도적이면 국민투표해도 반대가 압승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08/01/11 10:49
수정 아이콘
저는 CBS여론조사가 반대 43.8 : 찬성 40.6 이렇게 나온게 더 신기하네요...반대가 훨씬 높을 줄 알았는데 말이죠. 이명박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지지층이 늘어난걸로 보이네요.^^
Withinae
08/01/11 10:53
수정 아이콘
the hive님// 그럼 CBS는 확실히 이명박정부에 친근한 정서이군요...이럴 필요까지 있을지...
땅과자유
08/01/11 10:56
수정 아이콘
Withinae님 // CBS가요? 흠 이명박이 서울을 봉헌해서 그런가요? CBS는 예전 군부독재시절엔 가장 진보적인 언론 채널이기까지 했었는데 말이죠. 하기는 한기총 같은 단체와 엮여 있다면 그것도 가능하겠네요.
the hive
08/01/11 10:57
수정 아이콘
judy,Withinae님// 뭐 표본 700명이니 만큼 충분히 다르게 나올수가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언론들 보면 하나같이 같은소리라...
아까도 말했지만 MBC에서 50대 찬반비율을 밝히지 않는것이 아쉽습니다. 그것만 압도하면 확실하게 운하 반대가 이길 수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말입니다
물빛은어
08/01/11 13:20
수정 아이콘
EsPoRTSZZang 님// 압축안하고 그냥 영구 삭제시켜버리면 안될까요? 아님 영원히 숨김파일로 확장자도 없애버리는 것도 괘안을듯한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547 [일반] 4대강 살리기가 대운하인가 아닌가는 그다지 중요한 문제가 아닌 거 같습니다. [33] 네야4151 09/06/09 4151 1
11059 [일반] 조중동 광고주 기업 불매운동에 관한 판결문을 봤습니다 [87] VerseMan4231 09/02/20 4231 0
10159 [일반] 대운하의 시작은 3월 서울에서 [9] 영소3783 09/01/05 3783 0
10140 [일반] 결국 '공성전'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런데... [46] The xian6514 09/01/03 6514 2
9724 [일반] 기적의 역사??? 4.19 데모??? (아래 7690 더미님의 게시글과 관련된 내용 추가합니다.)_회수관련 기사 추가 [28] 朋友君4086 08/12/09 4086 2
6847 [일반] [속보-청와대 특별기자회견] 李대통령 "쇠고기 파동, 뼈저리게 반성" - "30개월 이상 美 쇠고기 수입금지, 대운하 사업도 추진 안 해" [44] 스타벨3879 08/06/19 3879 0
5004 [일반] 대운하, 이미 일정까지 나왔네요. [35] The xian5008 08/03/27 5008 0
4688 [일반] [세상읽기]2008_0303 [15] [NC]...TesTER4022 08/03/03 4022 1
4548 [일반] [세상읽기]2008_0222 [17] [NC]...TesTER4383 08/02/22 4383 0
4385 [일반] 한미FTA, 일자리 창출효과 거의 없다 [4] DC 하는 준구씨2963 08/02/11 2963 0
4072 [일반] 일렉 기타 키드 분들 께 [5] 캐터필러3537 08/01/18 3537 0
4031 [일반] [펌]걱정이 앞서는 대운하사업 [22] the hive3937 08/01/15 3937 1
4005 [일반] (펌) 이명박당선인의 대운하를 비판하는 게임매니아 [40] i`m god9404 08/01/13 9404 4
3984 [일반] 100분토론... 한반도 대운하에 대해서 토론하다. [32] Rush본좌5006 08/01/11 5006 0
3871 [일반] [세상읽기]2008_0102 [12] [NC]...TesTER3912 08/01/02 3912 0
3729 [일반] 이명박 정부의 경제기조 전망 [25] 가는거야!!!4293 07/12/22 4293 1
3007 [일반] 집주변 소음에 대해서.. [8] 질럿을사랑한4171 07/10/15 4171 0
525 [일반] 배우 정다빈.. 자살 !? 타살 !? [26] 체념토스16308 07/02/10 1630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