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9/06 21:50:13
Name Neandertal
Subject [일반] [미드 뉴스룸] - 우리는 이런 뉴스맨들을 가질 수 없을까?
우연히 트위터에서 올해 나온 이 미드를 언급하는 내용을 보고 정주행을 하였습니다.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재미가 있었습니다.

각본을 담당하는 아론 소킨이 이쪽에서는 꽤 유명한 사람이라고 하더군요.

배우들 연기도 뛰어나고 특히 주연을 맡은 제프 다니엘스는 바로 현업에 투입시켜도 될 것 같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코믹한 요소를 빼고 좀 더 건조하게 갔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제작진들 역시 시청률 생각을 하지 않을 수는 없겠지요...(아니러니 하게 드라마 내용은 시청률을 신경쓰지 않는 사람들 이야기지만...)

가십 수준의 뉴스나 자극적으로 말초 신경을 자극하는 뉴스가 아니라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그런 뉴스를 전달하겠다고 하는 그들의 대의가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그러면서 또 들었던 생각이 우리는 이런 뉴스맨들을 가질 수 없을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사회의 항생제와도 같은 역할을 해야 할 언론인들이 지금은 사회의 바이러스와 같은 존재가 된 것은 아닌지...

물론 아직도 존경받을 만한 언론인들이 있겠지만 이제 언론인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은

그리 좋지 않게 된 것이 사실인 것 같습니다...

오늘 안철수 원장 관련된 뉴스들을 보면서...

올 대선도 역시 정책 대결은 물건너 가고...흑색선전, 비방전으로만 점철될 것 같아서...

그리고 언론이 그것을 차단하고 걸러주고 중심을 잡아 주기는 커녕 더욱 더 부채질을 할 것 같아서...

벌써부터 마음이 무겁습니다...

이런 때일수록 우리에게는 뉴스룸에 나오는 이런 뉴스맨들이 필요한데 말입니다...

관세를 좀 물더라도 수입은 안되는 걸까요?


이런 라인업이라면 EX-WORK 조건으로라도 수입하고시프다...



뱀 다리...주연 제프 다니엘스는 예전에 짐 캐리하고 덤 앤 더머를 찍었더군요...머리에 포마드 기름을 바르니까 그야말로 딴 사람이 됐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레몬커피
12/09/06 22:08
수정 아이콘
요즘 모 방송사 영상취재팀에서 일하는데요 매일 아침에 보면 엥간한 마이너~메이저급 종이신문이 책상 한켠에 다 쌓여있는데
2~3개 비교해서 보다보면 신문별로 성향이랑 목표하는바가 너무 뚜렷히 차이나서 꽤 웃깁니다 크크 제목부터 확확 다르고 다루
는 주제들 분량이나 이런것도 진짜 차이가 엄청 나더군요
밀가리
12/09/06 22:13
수정 아이콘
저도 어제 완주했는데요.
오늘 하루종일 맥켄지 맥헤일 누님의 영국식 목소리가 귓가에 맴도네요.

특히나 후반부 갈 수록 여러사건이 우리나라 상황과 일치하더군요.
Calvinus
12/09/06 22:18
수정 아이콘
보면서 너무 슬펐습니다..
이게 겨우 1시즌 9화밖에 안되서 긴 시간을 기다려야했다는 것은 기본으로 깔고...
윌 맥커보이의 양심선언을 우리나라 언론에서 볼수 있을까하는 회의감에 슬펐습니다.. ㅜㅜ
12/09/06 22:24
수정 아이콘
유머, 개그코드 등은 웨스트윙이나 스튜디오 60에서 보여왔던 거랑 비슷한 패턴인 걸로 봐서 아론소킨류 곁다리 넣기라고 보시면 됩니다.크크

손석희 교수와 어느 정도 맞닿아 있지 않나 싶은 점인데요,
시선집중에서 우리가 정말 궁금했던 점을 그 특유의 무심한 듯한 말투로 게스트에게 묻는다던지, 우리가 모르던 사실들을 방송해줄때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과 일맥상통하였습니다.

하지만 뉴스룸에서도 회장-사장과 다툼을 하듯이, 결국 광고수입과 정치논리가 걸리는 거겠죠. 괜히 기레기라는 단어가 나오고, 파업을 할 수
밖에 없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니까요. 이것을 뛰어넘는 것은 오직 시청률 밖에 없죠. 시청률이 잘나오면, 광고가 당연히 따라오고, 그 프로그램과 관련되서 정치적 이야기가 나오면 당연히 그 결과가 시청률에 영향을 주니까요.

결국은 시청자의 뉴스룸과 같은 뉴스에대한 요구가 이어져 시청률로 나타나야 된다는 이야기인데 그게 참 힘들지 않습니까.
Miss Angie
12/09/06 22:48
수정 아이콘
에피마다 포커싱된 내용들이 한번쯤 생각해볼만하더군요.
캐릭터들도 어느 정도 설득력 있구요.(맥켄지, 매기 제외)
10화 받아놨는데, 보기 아까워서 남겨놓고 싶네요.

근데 슬로얀이 일어 쓰는 장면이 있길래 일본계인가 했더니 한국계라는 소문이 있더군요. 사실인가요?
창조신
12/09/06 22:55
수정 아이콘
경제학 전공한 처자 엄청나게 섹시함.......
그 처자 때문에 이 드라마 봅니다.
Neandertal
12/09/06 23:04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HBO가 친민주당 성향인가요?...
공화당 너무 까던데...
비형머스마현
12/09/06 23:10
수정 아이콘
정말 오랜만에 스킵 안하고, 정주행 했던 미듭니다. 첫 회에서 주인공의 미친듯한 독설(실제로는 주인공이 하고 싶었던 말)에 빠져서 보기 시작해서, 엄청나게 빠른말 때문에 자막 슉슉 지나가는데도 재미있게 봤네요.
몽키.D.루피
12/09/06 23:14
수정 아이콘
중립을 표방하면서 본격 티파티 까는 드라마죠 크크
저는 4화 엔딩, 콜드플레이의 fix you가 울려퍼지면서 가브리엘 기퍼즈 총격 사건을 처리하는 장면이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1화에서 아무런 콘티도 없이 멕시코만 원유 유출 사건을 보도 하는 것도 좋았구요.
그리고 근래에 미국 사회에서 벌어졌던 한국에 잘 안 알려진 주요 사건들을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특히 케이시 앤소니 재판 사건에서는 최근에 우리나라 언론들의 자극적인 보도 행태가 떠올랐습니다. 종편에서 사람 찌르는 cctv를 공개하고 신문은 알권리라는 미명 하에 엉뚱한 사람의 얼굴을 공개해 버리질 않나.. 최근에 성범죄가 일어나는 경향성이나 증가의 원인을 다루기 보다는 자극적인 사건 그 자체에 주목하고 사회를 공안정국에 준하는 시국으로 몰아가는 행태들.. 근데 한편으로는 좀 비현실적이긴 했죠. 사실 드라마니깐 그 상황에서 뉴스를 계속 했던 거지 현실이었으면 윌 맥코보이는 이미 옛저녁에 짤렸을 겁니다...
불패외길자족청년
12/09/06 23:40
수정 아이콘
미국도 현실은 폭스 뉴스와 티파티죠.

다만 그 영향력이 조중동처럼 강하지는 않다는 것일뿐.
팔랑스
12/09/07 00:09
수정 아이콘
보면서 통쾌하기도 하고 먹먹하기도 한 드라마 였습니다.
11편을 애타게 찾았는데 10편에서 끝나더라고요 ㅠㅠ
시즌2를 언제쯤 나올까요.
12/09/07 00:54
수정 아이콘
그나마 PGR은 게시물이 활발한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뉴스룸을 뭐보지...하면서 PGR에서 소개하는 글을 읽으면서, 동시에 자막제작자가 분노로 애런 소킨을 죽입시다 애런 소킨은 나의 원수. 하는 글로 이거다! 하면서 봤는데. 음. 취향만 맞으면 단연코 역대급(더하기 애런 소킨 전작들,영화들이 맞으신다면)일 거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사실, 명장면 명 사건들 많지만 역시 1화와 10화의 완결성이 전 젤 좋네요. "미국이 어째서 위대한 나라인가 간단하게 설명해주신다면?" 에서 통렬한 냉소주의를 보여준 윌이 에피소드 10에서 한 명 대사는 "You do." 였죠. 진짜, 시즌 2가 기대됩니다.
12/09/07 01:20
수정 아이콘
맥과 윌의 밀당이 아주 그냥... 다른 밀당도 있긴하지만 그건 어장관리고 -_-; (매기 이....!)
그냥 "우리는 뉴스를 합니다."라는게 좋았습니다. 그리고 깐깐하고 싸가지 없는 윌이 "팀원을 건드리지마" 라고 여기자와 말하는 장면도 좋았고
윌이나 찰리 같은 보스가 있다는게 더 행복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러니저러니해도 '상식'이 통한다는건 참 좋은일이고 부러워서요.
한국이었으면 이미 앵커는 짤렸겠고, 통편집이나 방송이 사라졌었겠죠.; 뉴스보기가 그렇게 힘든건지....
처음엔 받아두고 멍하니 있다가 한번 보니까 도저히 멈출 수 없어 정주행해버린 멋진 드라마였습니다. 거기에 재미도 있구요.
휴식같은친구
12/09/07 01:27
수정 아이콘
에밀리 모티머 너무 이쁘무
밀가리
12/09/07 01:57
수정 아이콘
1화 때 인도친구 멋지게 등장하더니 갑자기 빅풋이야기로 코믹캐릭터 되다가 후반에는 트롤링짓하는데 시즌2에서 한번 다룰 것 같네요. 본문 사진에도 있으니 꽤나 비중이 있군요.
12/09/07 02:16
수정 아이콘
아론소킨하면 웨스트윙아닌가요? 허허허
아론소킨이 메인작가에서 빠진후와 이후는 정말 천지차이가 나던데...
창조신
12/09/07 09:25
수정 아이콘
저한테 뉴스룸 최고 명장명 명대사는
'어헝~이 사람 가슴 만져봤어요?'
중년의 럴커
12/09/07 10:39
수정 아이콘
1화의 명장면 부분만 pgr에서 보고 실제 드라마는 보지 않았습니다만, 이런 드라마가 나왔다는 것은 그만큼 현재 미국의 뉴스의 현실이 이 드라마가 지향하는 부분과 동떨어져있다는 반증도 되겠죠. 이 드라마에서 원하는 뉴스가 월터 크롱카이드 시절인지, 테드코펄, 톰 브로코, 피터제닝스 3대 앵커가 동시대에 활약하던 시절일지는 모르겠지만, CBS, NBC, ABC 3대 공중파 시절의 뉴스는 케이블 방송의 대두로 끝을 맺었다고 봐야겠죠. 2010년작품인 모닝 글로리에 나온 해리슨 포드의 모습이 딱 올드 패션 뉴스의 종말을 보여주었다고 하겠습니다. 사실 저런 쟁쟁한 진정한 앵커들이 활약하던 시기가 과연 뉴스룸에서 말하듯 미국이 가장 위대했던 시절이냐라고 묻는다면 글쎄요하는 의문이 먼저 떠오릅니다. 주인공이 이야기 했던 것처럼 '정보를 가지고있었다' 하는 부분도 과연? 이라는 의문이 드는군요.
브릿덕후
12/09/07 11:21
수정 아이콘
보고 싶은데 언제 볼지 모르겠네요. 아론 소킨은 그의 대사나 이야기 작법에 매혹된 이들이라면 현재 최고의 시나리오 작가라고 평하는데 주저하지 않죠. <소셜 네트워크>와 <머니볼>, 2010, 2011년 최고의 영화 시나리오였습니다. 대사 감각이라든지, 한 인물과 이를 둘러싼 (산업적인 측면이든 어떤 것이든) 대립과 구도를 짜내는데 있어서는 정말 신의 경지인 것 같아요. 이 사람이 또 잡스 전기 영화 각본을 쓰는데 또 어떤 괴물 같은 능력을 발휘할지 기대가 안 될 수가 없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9061 [일반] 응답하라 1997 드라마에 빠지고, 추억을 떠올리다 [68] 마음속의빛6986 12/09/10 6986 3
39060 [일반] T24 행사를 지켜보며 (간단 리뷰) [26] SaiNT9036 12/09/10 9036 0
39059 [일반] 오프라인 구매가 '호갱님'소리 들을 정도로 잘못된 것인가? [97] Neandertal10974 12/09/09 10974 0
39058 [일반] [정치]문재인 후보가 파죽의 10연승을 달렸네요. [38] 아우구스투스6092 12/09/09 6092 0
39057 [일반] 칠종칠금(7) 그들의 이유 ① [10] 후추통5165 12/09/09 5165 1
39056 [일반] [영화] 피에타,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 [33] 타나토노트9826 12/09/09 9826 0
39055 [일반] 휴대폰 구입시 간단 팁 [149] bellhorn20495 12/09/08 20495 0
39052 [일반] 포르투갈vs룩셈부르크-2014 브라질 월드컵 유럽지역예선 F조 1R-하이라이트 [15] 삭제됨5240 12/09/08 5240 0
39051 [일반] 카라의 뮤직비디오와 오렌지캬라멜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8] 효연짱팬세우실5935 12/09/08 5935 0
39050 [일반] 아버지가 췌장암에 걸리셨습니다. [33] spankyou6710 12/09/08 6710 0
39049 [일반] 여러분과 이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47] 자이체프8303 12/09/08 8303 6
39048 [일반] 칠종칠금(6) 형주의 불꽃은 남중으로 [5] 후추통6562 12/09/07 6562 1
39045 [일반] [바둑] 삼성화재배에 부커진이 있는듯 합니다...?! [30] 라라 안티포바6495 12/09/07 6495 0
39044 [일반] 딸아이의 4번째 생일 [28] 영혼의공원4991 12/09/07 4991 1
39043 [일반] 제갈량 공명, 희대의 먼치킨. [335] 후추통20943 12/09/07 20943 9
39042 [일반] 오승환, ML 성공을 위한 전제조건 [19] Neo6482 12/09/07 6482 0
39041 [일반] 본레거시 감상평 (스포 완전 많음) [8] 다음세기5023 12/09/07 5023 0
39040 [일반] Green day - Oh love 그리고 Muse - Madness [4] 아르바는버럭2890 12/09/07 2890 0
39039 [일반] 2천만원의 당혹과 10만원의 행복 [14] 터치터치6002 12/09/07 6002 1
39038 [일반] 형돈이와대준이의 MV와 시크릿/FT아일랜드/백아연/BtoB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6] 효연짱팬세우실5021 12/09/07 5021 0
39037 [일반] 장준하 의문사 "왜 하필 지금이죠" "왜 이제와서 이러죠" [36] rechtmacht7586 12/09/07 7586 0
39036 [일반] 장애인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으면 명품아파트가 아니군요. [46] 계란말이6456 12/09/07 6456 0
39035 [일반] 장준하와 납량특집(나꼼수) [40] 김선태6971 12/09/06 697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