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8/24 23:06:44
Name sungsik
Subject [일반]  중국은 중진국의 함정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





일반 대중을 위한 경제학 강의로 유명한 최진기 강사의 강의입니다.
이상하게 오마이뉴스로 넘어간 뒤로 헛발질을 하면서 설득력이 많이 떨어지는 강의를 자주했는데,
이번에 상당히 완성도 높은 강의가 1,2편으로 나뉘어져 나왔네요.

현재 중국의 어떤 상황인지 중국이 앞으로 한 발 치고 나가기 위해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에 대해
상당히 쉽고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물론 강의에 아쉬움이 전혀 없다면 거짓말이겠지만
경제에 관련되지 않은 분들이나 잘 모르시는 분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니 한 번쯤 보시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티레브
12/08/24 23:10
수정 아이콘
세력전이이론, 패권안정론 등으로 이 논의는 닳을대로 닳긴 했는데 시간날때 들어봐야겠네요
사실관계가 곧잘 틀리셔도 설명력은 좋으시니
12/08/24 23:14
수정 아이콘
일단 휴대전화 잠깐 찾아보고 좀만 이따 봐야겠네요~ ^^

추천해주시니
믿고 볼게요~ ^^
하루빨리
12/08/24 23:25
수정 아이콘
이 강의를 듣고 난 후, '아 중국 사기네'란 생각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12/08/24 23:27
수정 아이콘
가볍게 보기에는 참 좋은 것 같아요.
깊게 보기엔 저는 아는게 없어서 묻지마 신뢰는 할 수가 없으니..
12/08/24 23:53
수정 아이콘
지금 듣고 있는데
2만불에서 우리나라가 15년이라?
우리나라 97년도 IMF 직전에 1만불 돌파로 샴페인 터뜨렸다가 IMF 맞은거 아니었나요..

찾아봤는데
1998 $7,462.84 #58
1997 $11,234.77 #49
1996 $12,249.18 #47
1995 $11,467.81 #48
인데..
12/08/25 00:17
수정 아이콘
길어서 동영상은 못 보겠지만 중국이 선진국이 되기 힘든 가장 큰 적은 바로 무지막지한 인구수라고 봅니다. 역사적으로도 세계 평균 수준까지 1인당 GDP를 끌어올린 적은 있어도 선진국 수준이었던 적은 없는 것 같네요. 하지만 중국의 1인당 GDP가 세계 평균 수준만 되어도 주요 도시 지역과 해안 지역은 이미 선진국 수준이란 얘기가 되겠지만 말이죠. 일반적인 경제이론을 적용하기엔 너무 큰 나라죠.
김뮤즈
12/08/25 01:51
수정 아이콘
두개 다 들어봤는데요...경제학 강의라고 하기엔 좀 많이 실망스럽네요.
1. 왜 정부지출 얘기하면서 중앙은행 얘기가 나오는건지..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구분하지 않고 뭉뚱그리시네요.
2. 총요소생산성을 노동강도라고 단정하는 것 (TFP는 정의상으로는 노동과 자본외에 경제성장을 설명할수 있는 모든 변수를 의미)

2는 확실히 학파별 논란의 여지가 있으니 뭐 그러려니 해도 1은 좀 그렇네요..이건 거시경제학 기초도 없다는건데..
봄바람
12/08/25 02:06
수정 아이콘
강대국 개발도상국 약소국 선진국 중진국 후진국 그 개념을 어디에 두고 봐야 될 지 모르겠어요.
Since1999
12/08/25 07:11
수정 아이콘
경제학 강의라기에는 제목의 중진국이라는 용어 부터 신뢰가 안 오네요.(동영상은 안 봤습니다.)
12/08/25 08:11
수정 아이콘
음.. 실제로 경제학에서 중진국의 함정이란 용어가 있습니다. 대충 이게 어떤 거냐 하면 후진국에서 중진국으로 되는 건 단지 현재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자원과 노동력을 정부가 올바로 배치해 활용하는 정도로 가능하지만 중진국에서 선진국으로 올라서려면 새로운 성장 동력과 패러다임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존의 경직된 사고를 창의적으로 바꾸는 등 근본적인 개혁을 동반하지 않고는 힘들다는 거고 결국 중진국 단계에서 성장이 지체되는 국가가 많다는 겁니다. 즉 선진국은 기존의 모방자가 아닌 선도자 역할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 변화를 제대로 해낸 국가가 거의 없다는 거죠. 대표적인 곳으로 남미 지역을 꼽구요. 사실상 지금 서유럽과 북미, 일본을 제외하면 수십년간 중진국의 함정을 벗어난 나라가 단 하나도 없죠. 석유빨이나 도시국가는 물론 배제하구요. 그나마 한국은 중진국 함정을 벗어난 국가로 보통 쳐주긴 하는데 아직 주요 선진국에 비하면 소득이 낮은 편이구요.
12/08/25 09:10
수정 아이콘
뭐 그닥.. 저 사람 신뢰도가 워낙 낮아져버려서,
강의를 하는 사람은 말 한마디, 수치 하나에 얼마나 공을 들여야 하는지 새삼 느끼게 됩니다.
3시26분
12/08/25 12:23
수정 아이콘
저도 별로... 자신의 주장에 현상을 끼워맞추는 느낌이 강하네요.
12/08/25 12:27
수정 아이콘
그냥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좋은 강의인거 같네요 저분이 학자도 아니고 디테일때문에 강의 전체가 욕먹을 수준은 아닌거 같은데요
물론 뻥도치고 잘못된 정보를 사실인거마냥 말하는게 잘못이 아니라는건 아니지만 그건 그거대로 평가하고 보는 사람이 잘 판단하면 될듯
1시간동안 전체적인 세계경제의 흐름과 그 안의 중국에 대해 좋은 이해가 되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873 [일반] 홍콩영화 OST list5 [33] 삭제됨6522 12/08/28 6522 0
38872 [일반] 이한구 원내대표가 안상수 전 대표의 아성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14] 어강됴리7399 12/08/28 7399 0
38871 [일반] 현대분석철학 #1 - 도입 (1) [26] 삭제됨4429 12/08/28 4429 6
38870 [일반] 프로야구 한화 한대화 감독 전격 경질 [112] 삭제됨10414 12/08/28 10414 0
38869 [일반] [영화공간] 한국의 누아르 영화를 말하다 [67] Eternity11778 12/08/27 11778 0
38868 [일반] 각개전투 [14] 헥스밤5504 12/08/27 5504 6
38867 [일반] 콤마 (,) 이야기 [10] Neandertal5084 12/08/27 5084 7
38865 [일반] [오피셜] 루카 모드리치, 레알 마드리드 이적 완료 [47] 반니스텔루이7052 12/08/27 7052 0
38864 [일반] 알기쉬운 보험이야기 (2) 가격의 결정 [17] 블레이드4379 12/08/27 4379 1
38863 [일반] [해축] 월요일의 BBC 가십... [37] pioren4108 12/08/27 4108 0
38861 [일반] 알기쉬운 보험이야기 (1) 초기 모델 [11] 블레이드4695 12/08/27 4695 3
38860 [일반] [스포츠] 한 주간 스포츠 뉴스 올립니다.. [26] k`6970 12/08/27 6970 1
38859 [일반] "피지알씨 직장 가다." 제1편 잃어버린 알바비여...... [13] 터치터치4922 12/08/27 4922 2
38858 [일반]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 경선 무효표 논란은 비문주자의 억지로 밝혀졌네요. [26] 타테시5329 12/08/27 5329 1
38856 [일반] [해축] 이청용 위건과 링크 떳네요. [53] 어리버리6606 12/08/27 6606 0
38855 [일반] 칠종칠금(3) 태풍이 불기 직전 [6] 후추통7078 12/08/27 7078 3
38853 [일반] 두 명의 암스트롱 [13] cheme8702 12/08/27 8702 0
38852 [일반] [음악] GD 솔로 앨범을 듣고 찾아본 'GD&TOP' 의 음악들 [12] 잭윌셔4395 12/08/27 4395 0
38851 [일반] 두번째 강등과 복구 [30] 헬리제의우울6792 12/08/27 6792 4
38850 [일반] [슈스케] 천재 뮤지션의 탄생? 인터넷에서 화제되고 있는 김훈씨 [33] Alan_Baxter8266 12/08/27 8266 0
38849 [일반] [영화공간] 가슴 찡한 한국영화 속 명장면 17선 [76] Eternity22139 12/08/27 22139 1
38848 [일반] 일요일, 9시의 무거운 달빛 아래서의 후추통 [7] 후추통4130 12/08/26 4130 0
38847 [일반] [공지] 건의 게시판 신설 안내 [23] Toby3611 12/08/26 361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