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8/24 16:21:30
Name Neandertal
Subject [일반] 가장 읽기 어려운 문학작품 20선
www.goodreads.com이라는 사이트에서 가장 읽기 어려운 문학작품 리스트가 올라와 있는데 그 가운데서 1위부터 20위까지 뽑아봤습니다.
익히 들어서 잘 알고 있는 작가들도 있고 처음 보는 작가들도 있네요…
역시 제임스 조이스 형아가 눈에 띄네요…
그리고 톨스토이나 허먼 멜빌, 도스또예프스키는 아마 내용도 내용이지만 분량이 너무 많아서 선정된 것 같습니다…
주문할 때 한 번 더 생각해봐야겠죠?...^^ (그래도 읽어본 책 있는 건 조금 자랑…--;)


1위
율리시스 – 제임스 조이스 (제임스 조이스 만나면 꼭 물어보고싶다..."밥은 먹고 댕기셨세여?")


2위
음향과 분노 – 윌리엄 포크너


3위
피네간의 경야 – 제임스 조이스


4위
모비딕 – 허먼 멜빌 (잘 알려진 번역가 김석희씨가 번역 하다가 그만 포기할까 생각했다는...)


5위
전쟁과 평화 – 레프 톨스토이 (솔직히 분량이 좀 많긴 하다는...)


6위
백년 동안의 고독 – 가브리엘 마르케스 (제목에서부터 벌써 고독감이 확 밀려오네요...--;)


7위
죄와 벌 – 표도르 도스또예프스키 (도끼형이 꼭 이렇게 말할 것 같다..."작가가 뭘로 글쓰는지 알아...근성이야 근성!)


8위
암흑의 핵심 – 조셉 콘라드


9위
중력의 무지개 – 토마스 핀천


10위
안나 카레니나 – 레프 톨스토이 (음하하하하~~!!!)


11위
아틀라스 – 아인 랜드


12위
무한한 흥미 – 데이빗 포스터 월러스


13위
레미제라블 – 빅토르 위고 (아니, 여름방학 청소년 권장도서 아니였어??)


14위
카마라조프가의 형제들 – 표도르 도스또예프스키 (내가 근성 얘기 했던가?)


15위
네이키드 런치 – 윌리엄 버로우


16위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마르셀 프로스트 (이 책 읽는다고 잃어버린 돈과 시간은 누가 찾아주는가?)


17위
압살롬, 압살롬! – 윌리엄 포크너 (왠지 제목부터 느낌이 좋지 않다...--;)


18위
장미의 이름 – 움베르토 에코 (음하하하하~~!!!)


19위
롤리타 – 블라드미르 나바코프 (AV 하고는 상관없죠?...--;)


20위
젊은 예술가의 초상 – 제임스 조이스 (아무래도 이 아저씨 성격이 좀 이상한 것 같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8/24 16:23
수정 아이콘
제임스 조이스는 워낙 유명하신 양반(-_-)이고,

개인적으로는 모비딕 읽다 토할뻔한 기억이 나네요;;; 저건 되려 초등학교때 읽었던 축약 문고본이 진짜 재밌었는데.
12/08/24 18:44
수정 아이콘
모비딕 유명하죠 크크. 축약본 내용은 딱 맨 앞과 맨 뒤만 나오고 나머지는 줄창 바다얘기 하늘얘기 고래얘기 배얘기....
내가 지금 읽는 게 소설인가 전문서적인가....
12/08/24 16:23
수정 아이콘
시도한 책들은 몇권 있지만 다읽은건 그래도 18위 장미의 이름뿐이네요. 근데 에코 좋아하시는분들 대부분은 다 장미의 이름은 읽으셨을것 같네요. 문제는 '푸코의 진자' 죠. 진짜 몇번이나 읽다 그만뒀는지 기억도 안나네요.
아키아빠윌셔
12/08/24 16:25
수정 아이콘
장미의 이름은 재미있게 읽었... 푸코의 책 중에 사놓고도 던져버린건 전날의 섬이네요. 지금은 책이 어디 있는지도 모르겠...
PoeticWolf
12/08/24 16:26
수정 아이콘
영미쪽은 아니지만.. 만엔원년의 풋볼이 없다니.... 토하듯이 읽은 내 수준이 낮은건가....
모비딕은;;; 원어로도 그냥 괜찮았는데 이상하네요;; 이상한 버전을 읽은건가요...
몇몇 작품은 진짜 분량 때문에 뽑힌것도 같네요. 암튼 감사합니다~
눈물이뚝뚝T^T
12/08/24 16:31
수정 아이콘
어둠의 심연이 암흑의 핵심인가요?? Heart of the darkness 맞는 거 같기도 하고..
저번 학기에 영문학 비평시간에 배웠는데, 영 난해하더라구요.
저는 정신분석조에서 PPT만 만들다 보니 이것저것 자료를 봤는데.. 봐도 이해가 어렵더군요.
사실 저중에 아는 작품이 몇개 없네요. 영문학과 전공자인데 부끄럽네요 -_-;
켈로그김
12/08/24 16:32
수정 아이콘
저게 원서 기준인가요?...
소년(축약?)문고판은 몇 개 읽었는데 쉽고 재미있던데;;

저는 박경리의 "토지" 이거 전권 다 읽는게 참 힘들었습니다.. 금강경보다 더 힘들었던 기억이;;
12/08/24 16:34
수정 아이콘
죄와벌 장미의 이름 딱 두개 읽어봤네요...
처음 들어보는 작품도 있네요 이 무식함ㅠㅠ [m]
coolasice
12/08/24 16:38
수정 아이콘
장미의 이름 참...
책을 다 읽었는데 무슨 내용인지 남는게 없고 뒤에 작품해설과 소개에는 엄청난 대작으로 소개를 해놓은걸 보고
멘붕했던 기억이...
一切唯心造
12/08/24 16:41
수정 아이콘
장미의 이름이 읽기 어려운 책인가요? 호...
움베르토 에코의 책 중 던져버린건 전날의 섬 입니다.
세 번인가 읽으려고 시도했지만 도저히 못 읽겠어요 흑흑
푸코의 진자는 본 것 같은데 기억이 안나네요 다시 한 번 봐야할듯
eblueboy
12/08/24 16:41
수정 아이콘
장발장 읽었는데 내가 읽은건 원래의 레미제라블이 아니란 말인가?
큐리스
12/08/24 16:45
수정 아이콘
제가 개인적으로 가장 재미없게 읽은 책은 '아라비안 나이트'입니다.
신밧드였나 알리바바였나 기억도 안 납니다만 하여간 그 얘긴 언제 나오나 하고 억지로 읽다가 8권쯤에서 포기했네요.

이렇게 재미없는 걸 1001일 동안이나 듣고 있었다니 왕이 인내심이 많았을 거라는 생각이 든...
다는 건 농담이고요. 뭐 예전에는 TV도 없었으니 이 정도면 재밌었나보죠...
12/08/24 16:55
수정 아이콘
카마라조프가의 형제들...;;;저 책읽고나서느낀 점이 딱 하나였죠...
아.....말 많이하지말아야지...
한 호흡의 대사가 4~5페이지라는게 말이 되나요T-T
그래도 재밌게 본 책중 하나긴 하군요
12/08/24 16:59
수정 아이콘
레미제라블 완역본은 우리나라 번역본 기준으로 보통 2천 페이지가 넘어갑니다. 스토리 중간중간에 역사 파트등 배경에 관한 이야기들이 방대하게 서술되어 있습니다. 그 부분을 읽을 때는 다소 지루하기도 합니다만 읽고 나면 주 스토리와 연관이 많이 되기 때문에 참는 만큼 더 큰 즐거움을 누릴 수 있지요. 장발장이라는 한 인물의 이야기가 아니라 대서사시를 읽는 느낌입니다.

도스토예프스키의 경우는 아무래도 등장인물들의 이름의 압박이 좀 크지 않나 싶습니다. 대부분의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은 이름이랑 관계 정도를 메모지에 적어 옆에 두고 보는 게 여러 모로 편하지요. 또 분량에 비해 큼지막한 사건이 적은 편이라 긴박함을 느끼기 쉽지 않고요. 죄와 벌은 소설 그 자체로는 어렵지 않지만 그 안에 녹아들은 것들이 워낙 많아서 그런 의미로 선정한 게 아닌가 싶네요.

롤리타 같은 경우는 왜 들어있는지 궁금하네요. 뭔가 묘한 기대(?)를 품고 보면 지루하기야 하겠지만 딱히 어렵다는 느낌은 받아본 적이 없었는데 말이지요.;;
12/08/24 16:59
수정 아이콘
20살 경에 처음 나온 푸코의 진자는 읽기가 힘들었는데.. 나중에 푸코의 추로 바뀐..(혹은 전후관계가 반대..) 책은 꽤나 잘 읽혀서 오히려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12/08/24 16:59
수정 아이콘
도서중 겨우 몇권 읽었지만 그중에서도 백년 동안의 고독은 진짜 읽다가 포기했습니다. 내용이 어렵다기 보다 주인공 이름부터 분위기까지 도저히 감당이 안되더라구요..
감성소년
12/08/24 16:59
수정 아이콘
음.. 저는 개인적으로 죄와 벌과 장미의 이름은 예상보다 쉬웠는데 의외네요.
술술 읽혔거든요.
음향과 분노는 영어공부 할겸 영문판으로 사서 아직까지 책장에 잘 간직하고 있습니다.

근데 목록을 살펴보니 제임스 조이스가 거의 4분의 1을 차지하네요.
이 리스트가 어느 나라에서 뽑은 건지 정말 궁금하네요
12/08/24 17:01
수정 아이콘
에코 소설은 장미의 이름보다 푸코의 진자가 제대로 어렵긴 했죠. 그걸 고딩 때 도전하다가 얼마나 멘붕이 왔는지... 크크
rechtmacht
12/08/24 17:03
수정 아이콘
근데 읽기 어렵다는 기준이 어떤건지 궁금하네요. 리스트의 죄와 벌 레 미제라블 전쟁과 평화 등은 배경지식 없어도 걍 재미나게 읽히는 소설인데...
정말 순수한 의미로 읽기 어려운(=뭔 소린지 알아먹을 수가 없는;)로 율리시즈 같은 작품은 납득이 가지만요.
12/08/24 17:03
수정 아이콘
저 개인적으로 힘들게 읽었던 책은 반지전쟁이요. 반지의 제왕이 아니라... 반지전쟁을 읽고, 독해력은 늘었습니다. --;
반지전쟁이 제일 어려웠다기보다는, 워낙 어릴 때 읽었고(중1에서 2넘어가는 겨울이었죠.), 그 이후로 좀 어렵다 싶은 책은 피해서 그래요.
rechtmacht
12/08/24 17:04
수정 아이콘
좀 뜬금없는 얘기지만 개인적으로 에코의 바우돌리노가 장미의 이름보다 재밌더군요. 너무 재밌어요. 처음부터 끝까지.
히히멘붕이다
12/08/24 17:10
수정 아이콘
음향과 분노는 원서로 읽으면 생각보다 많이 어렵진 않습니다.(수업교재라서 교수님이 설명 다 해주셨던게 함정) 장미의 이름도 재미있던데...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순위가 의외로 낮네요. 그리고 정말 러시아 소설들은 이름때문에 몇번이고 앞을 다시 찾아봐야해서 더 지루해지는 것 같아요ㅠ
루크레티아
12/08/24 17:18
수정 아이콘
백년 동안의 고독은 꼭 2번 이상 읽어보세요.
처음엔 너무 몽환적이고 이름도 거기서 거기라 읽다 졸리고 지치는데, 두 번째부터 어느 정도 이름이 눈에 익기 시작하면 진짜 몰입도가 장난이 아닙니다. 괜히 명작이 아니에요.
Darwin4078
12/08/24 17:29
수정 아이콘
마의 산은 쉬운 편인가요?
저만 어려웠나요? ㅠㅠ
12/08/24 17:35
수정 아이콘
유리알 유희가 없군요.
Darwin4078
12/08/24 17:39
수정 아이콘
그리고 16위부터는 솔직히 읽을만 합니다.
안나 카레니나도 톨스토이 형님 스타일 이해만 하면 괜찮게 읽히구요.

저한테는 피네간의 경야가 율리시즈보다 더 난해하더군요.
라방백
12/08/24 17:44
수정 아이콘
절반정도는 읽은것 같은데 보다가 중간에 접은건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뿐이군요 물론 조이스의 작품들은 시도도 안해봐서 모르겠네요. 레 미제라블이나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은 한번 몰입하면 끝까지 읽게 되던데 분량이 많아서 순위권인가 보군요. 개인적으로는 톨스토이 작품들이 읽기 힘들었습니다
구밀복검
12/08/24 17:44
수정 아이콘
어.... 저 중 절반 정도는 페이지 쭉쭉 넘어가지 않나 싶네요. 백년 동안의 고독이 저리 순위가 높은 것도 이해하기 어렵고..
운차이
12/08/24 17:48
수정 아이콘
장미의 이름은 움베르토 에코 시리즈에서는 가장 쉽죠...

그리고 피네간의 경야가 3위라니 ㅜㅜ
난멸치가싫다
12/08/24 17:48
수정 아이콘
마의 산이 목록에 없다는 이유만으로 이 순위표는 믿을만한게 못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난멸치가싫다
12/08/24 17:48
수정 아이콘
운차이 님// '세상의 바보들에게 웃으면서 화내는 법' 엄청 재밌고 쉽습니다.
강가딘
12/08/24 17:48
수정 아이콘
희곡중에서는 그리스 비극중에 아가맴논이 잴 어럽더군요, 일단 배역 이름부터가 너무 길고 구성도 너무 어러워서 읽기 너무 척찼었습니다,
그리고 사뮤엘 배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 공연하려고 처음 읽을때는 애네들이 지금 뭐하는건가 했는데 한 20번정도 읽어보니 그나마 좀 알겠습디다.
Earth-200
12/08/24 17:50
수정 아이콘
포크너에 한표요. 몇 번이나 시도했건만.. ㅠㅠ
프리온
12/08/24 17:51
수정 아이콘
조이스의 피네간의 경야는..저도 들은 이야기지만 읽었다해도 이해했다 말하기가 그런책이라 들었습니다.제목보고 1위할줄알았는데 3위라니
OneRepublic
12/08/24 17:58
수정 아이콘
위의 작품 중에서 원문으로 가장 볼만한 소설은 무엇이 있을까요? 멘붕한번 진하게 당해보고 싶은데요.
12/08/24 18:53
수정 아이콘
기왕 뭘 해도 한번밖에 못사는 인생이라면 피네간의 경야와 맞바꾸시는 것도 나쁘지 않아보이는데요. 크크크.
윤성호
12/08/24 18:15
수정 아이콘
작가이름이 생각이 안나는데 달과6펜스 쓴 양반의 인생의굴레에서가 심적으로 가장 힘들었습니다 여자한테 그만좀 당하고 살라고 이인간아
12/08/24 18:54
수정 아이콘
그래봤자 결국엔 딸 뻘인 글래머 처자랑 정분나는 건 함정....
12/08/24 18:31
수정 아이콘
읽기 어려운 건 사드가 갑 아닌가요 ㅜㅜ 역겨워서...
롤리타는 읽을 만 하던데... [m]
yangjyess
12/08/24 18:35
수정 아이콘
5위 밑으로는 별로 공감이 안되네요
레몬커피
12/08/24 18:44
수정 아이콘
음..윗분처럼 저도 의외로 탑4말고는 읽기 정말 난해하다 싶은 책은 별로 없었네요
탑4중 하나 꼽으라면 피네간의 경야를...
yangjyess
12/08/24 18:54
수정 아이콘
제임스 조이스의 난해한 소설에 관한 읽을거리입니다

http://gall.dcinside.com/list.php?id=book&no=212623&page=6&recommend=1&recommend=1&bbs=
12/08/24 18:58
수정 아이콘
요즘 Neandertal님께서 책이야기 올려주셔서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역시 이 분야 갑은 포크너와 조이스가 아닌가 해요.
그나마 젊은예술가의 초상과 더블린 사람들은 재미있게 읽었지만요. 한국에선 역시 박상륭....
지구파괴
12/08/24 19:53
수정 아이콘
일리아드와 오디세이.... 정신이 혼미해진다..
스트릭랜드
12/08/24 20:06
수정 아이콘
도스토예프스키 작품들은 하나 같이 재밌게 읽어서 좀 의외네요. 특히 까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은 마치 그 안에서 사는 듯한 느낌으로 아껴가며 읽었는데...

오히려 전 유리알 유희가 읽기 제일 힘들었어요. 헤세의 작품은 거의 다 읽었고, 재미있어서 몇 번씩 읽곤 했는데 유독 유리알 유희는 중반을 들어가기도 전에 점점 어질어질...;; 1~2년 마다 처음부터 다시 읽기를 수 차례 시도한 끝에 다 읽긴 했는데 아직도 너무 고생했다는 느낌 밖에 안들어요. 분명히 초반에는 다른 작품 처럼 즐겁게 읽었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모르겠네요.

그나저나 위에 있는 작품 중에 읽은 게 거의 없다니... 참 오래도록 책을 멀리하고 산 모양이에요. 부끄럽...
지금이시간
12/08/24 20:32
수정 아이콘
읽어본 것 중에선 정말 모비딕과 경야... 내가 이걸 왜 읽고 있을까 싶은 책이였습니다.
읽기도 힙든 책인데 번역가는 진짜 얼마 받고 저 책들을 번역했을련지...

제가 가장 좋아하는 외국소설인 레미제라블은 5권짜리로 읽었는데, 13위에 들만큼 읽기 어려운 책이였는지 다소 의외네요.
happyend
12/08/24 20:33
수정 아이콘
이과출신이라 다행....어려워도 그려려니....
12/08/24 20:52
수정 아이콘
전 전쟁과평화, 죄와벌, 레미제라블은 그럭저럭 읽었습니다만..
반지의 제왕은 도저히 못 읽겠더군요. 읽다가 잠이든 유일한 책이에요.
다음날 마저 읽으려고 시도했지만.. 50페이지 정도 읽고 제 인내심의 한계를 느꼈습니다.
Quantum mechanics
12/08/24 21:15
수정 아이콘
장미의 이름 제가 중2때 2주일 걸려 읽었습니다. 진짜 이해하기 어렵더군요.
Neandertal
12/08/24 21:23
수정 아이콘
2011년 작가정신에서 출간된 '모비딕'을 번역한 김석희 선생의 변입니다...
다시 한 번 번역가들의 노고에 경의를...

번역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중도에 포기할 생각도 여러 번 했다.
번역이 힘들었다는 것은 원서를 읽어내기가 쉽지 않았다는 얘기인데, 이 소설은 곳곳에 온갖 비유와 상징이 널려있고 축약고 도치와 비문의 문장들(그것도 19세기 중엽의 미국 영어)이 난무하는 까닭에, 그 덤불 같은 상징과 알레고리의 숲을 지나면서 단어와 구절들의 의미를 나름대로 해석하고 판단하고 결정하는 일을 수시로, 아니 끊임없이 수행해야 했기 때문이다......
프랑켄~~
12/08/24 22:39
수정 아이콘
저기서 5권 읽었네요;;
한국 소설 중에서는 이상륭 소설이 갑이죠.. '죽음의 한 연구' 읽는데, 읽으면서도 '내가 뭘 읽고 있는것인가'라는 생각이 절로 들더군요..;;
라됴헤드
12/08/24 23:36
수정 아이콘
멜빌이나 톨스토이 소설은 (이해하기)쉬운편인데 왜 10위권인지는 모르겠네용. 카라마조프의 형제들보다 순위가 높다는거에 상당히 갸우뚱해짐.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나 네르발의 오필리아 같은 소설이 1등이 아닐까 생각해봤는데 피네건의 경야는 넘기 힘든가보네요.
포프의대모험
12/08/24 23:52
수정 아이콘
전 피네간의 경야가 무조건 1등할줄 알았는데..
율리시스는 아 이게 뭔소리야 하면서 윗줄 읽은거 까먹고 아랫줄로 넘어갈 수는 있는데 피네간의경야는 그..이상한 강박증 환자들 네이버 블로그 보는거같아요
초록추억
12/08/25 00:57
수정 아이콘
어..?롤리타가 왜 읽기 어렵지..술술 읽히던데. 백년동안의 고독은 몇장 읽고 gg친게 서너번은 되는거 같으니 인정.
밀란 쿤데라 소설들이 있을 줄 알았는데 없네요. 어릴때 읽어서 그런가 당최 내용이 와닿질 않아서 사춘기 특유의 허세로 겨우 이겨냈었죠...;
라라 안티포바
12/08/25 00:58
수정 아이콘
도스토예프스키 작품은 순식간에 빨려들어갑니다.
톨스토이 작품은 좀 교장선생님 훈화말씀 같아서...차라리 단편이 재밌어요.
제임스 조이스랑 마르셀 프루스트, 버지니아 울프인가요? 하여간 이 분들 문체를 뭐 의식의흐름인가 뭔가해서 얘기하던데 이쪽은 영 아니더군요...ㅡ.ㅡ;
저만 그런건지 몰라도 젊은 예술가의 초상 가독성 엄청 떨어집니다.
레미제라블, 롤리타는 왜 저기에 끼어있는지 모르겠고
모비딕이랑 안나 카레니나, 전쟁과 평화도 가독성 떨어지는 편이긴한데 제임스 조이스 작품에 비하면 무협지급입니다.
아르바는버럭
12/08/25 01:46
수정 아이콘
근데 웃긴건
저 굿리더스라는 사이트 안 들어가지네요 ;;
Neandertal
12/08/25 09:18
수정 아이콘
아 죄송합니다...사이트가 www.goodreads.com 이네요...
그리고 직접 링크는 http://www.goodreads.com/list/show/827.Most_Difficult_Novels 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859 [일반] "피지알씨 직장 가다." 제1편 잃어버린 알바비여...... [13] 터치터치4923 12/08/27 4923 2
38858 [일반]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 경선 무효표 논란은 비문주자의 억지로 밝혀졌네요. [26] 타테시5330 12/08/27 5330 1
38856 [일반] [해축] 이청용 위건과 링크 떳네요. [53] 어리버리6608 12/08/27 6608 0
38855 [일반] 칠종칠금(3) 태풍이 불기 직전 [6] 후추통7080 12/08/27 7080 3
38853 [일반] 두 명의 암스트롱 [13] cheme8704 12/08/27 8704 0
38852 [일반] [음악] GD 솔로 앨범을 듣고 찾아본 'GD&TOP' 의 음악들 [12] 잭윌셔4397 12/08/27 4397 0
38851 [일반] 두번째 강등과 복구 [30] 헬리제의우울6792 12/08/27 6792 4
38850 [일반] [슈스케] 천재 뮤지션의 탄생? 인터넷에서 화제되고 있는 김훈씨 [33] Alan_Baxter8266 12/08/27 8266 0
38849 [일반] [영화공간] 가슴 찡한 한국영화 속 명장면 17선 [76] Eternity22140 12/08/27 22140 1
38848 [일반] 일요일, 9시의 무거운 달빛 아래서의 후추통 [7] 후추통4131 12/08/26 4131 0
38847 [일반] [공지] 건의 게시판 신설 안내 [23] Toby3613 12/08/26 3613 1
38846 [일반] [국축] K리그 정규리그가 끝났습니다. 이제부터 스플릿 입니다.(30R 관중수 추가) [39] ㈜스틸야드4370 12/08/26 4370 1
38845 [일반] 푸른 피의 에이스!!! [29] Charles8719 12/08/26 8719 0
38844 [일반] 총기 소유의 자유는 과연 보호되어야 하는가? [62] bachistar7115 12/08/26 7115 1
38843 [일반] [해축] 일요일의 BBC 가십... [18] 반니스텔루이4644 12/08/26 4644 0
38842 [일반] [영화공간] 2012년, 가장 주목해야 할 조연 배우 7인 [43] Eternity9500 12/08/26 9500 1
38841 [일반] 지능 연구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깊은 지식을 얻을 수 있나? [47] TimeLord6713 12/08/26 6713 0
38840 [일반] 내일드디어군대를 갑니다! [34] Cherish3460 12/08/26 3460 2
38839 [일반] 낙동강 - 5. 낙동강 돌출부 [14] 눈시BBver.26265 12/08/26 6265 4
38838 [일반] 낙동강 - 4. 킨 특수임무부대 [6] 눈시BBver.27908 12/08/26 7908 3
38837 [일반] [영화공간] 이 시대, 한국 최고의 남자 배우들 [96] Eternity12141 12/08/26 12141 9
38836 [일반] [정치] 김두관-손학규, 경선 중단 합의 [166] 아우구스투스9401 12/08/26 9401 0
38835 [일반] [바둑] 한국 랭킹 1위 박정환 선수의 바이링배 탈락... [43] 라라 안티포바5973 12/08/25 597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