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4/29 16:58:11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태평양 전쟁 - 18. 과달카날 해전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눈시BBver.2
12/04/29 17:03
수정 아이콘
그런 가운데서도 일본 육군은 과달카날을 포기하지 않아 남방을 맡는 17군에서 병력을 떼 과달카날만 전담하는 18군을 만듭니다. 그래봐야 과달카날의 상황은 변하지 않습니다. 라바울에 아무리 많은 물자를 쌓아 놔도 과달카날로 전달되지 않으면 끝이었죠. 해군은 계속 발을 빼고 싶어하면서도 포기할 수 없어서 수송 작전을 계속했는데, 구축함의 피해가 늘어나자 아예 잠수함으로 바꿉니다. 하지만 잠수함이 수송할 수 있는 건 더 적었고, 양륙을 위해 부상하는 틈을 타 미군의 어뢰정이 달려들었죠. 나중에는 어뢰에 폭탄 대신 보급품을 넣어서 발사하는 형식이었지만 달라질 건 없었습니다.

42년이 끝나면서 미군의 승리는 뚜렷해졌습니다. 하지만 아직 미군은 대규모 공세를 시작하지 않습니다. 그 동안 고생한 해병 1사단을 후방으로 보내고 병력을 교체하려 했죠. 12월까지 1사단은 전사 및 실종 681명, 부상 1278명 등 총 1959명의 사상자를 기록합니다. 철수 당시에도 말리라아 감염율은 무려 75%였죠. 이들에게 필요한 건 휴식이었습니다.

"먹을 게 좋아졌으니 우리는 쫓겨나겠구만" - 과달카날 다이어리

어려운 상륙전을 도맡아 하고 보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싸워야 하는 해병대에게는 보급이 좋아진 건 곧 자기들은 다른 데로 간다는 걸 뜻 했죠. (...) 이렇게 헨더슨 비행장을 끝까지 사수하며 큰 공을 세운 해병 1사단은 호주로 떠납니다. 전쟁은 이제 시작이었고 훈련과 실전으로 상륙전의 최고 정예가 된 그들이 할 일은 아직 많이 남아 있었습니다.

이들을 이끈 반데그리프트 소장은 명예훈장을 받았고, 해병 1사단은 미군 사단 중 처음으로 사단 고유의 표식을 달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과달카날 해전이 벌어졌던 42년 11월은 태평양 전쟁의 분수령이었습니다. 맥아더는 뉴기니아에서 공세를 시작했고, 북아프리카에서도 미군이 상륙했으며, 스탈린그라드에서는 소련군의 반격이 시작됐을 때였죠. 처칠은 그 때를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시작의 끝(the end of the begining)"

다음 편으로 과달카날 해전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12/04/29 17:20
수정 아이콘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간단히 읽기만 하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감사 인사는 드려야 할 것 같아서 :)
12/04/29 17:27
수정 아이콘
후아 재밌네요. 1사단 마크에는 과달카날이라고 씌여 있을 정도니 1사단이 과달카날에서 한 일이 얼마나 대단했는지 알 수 있겠네요.
12/04/29 18:19
수정 아이콘
원츄 머겅, 두번 머겅
사티레브
12/04/29 18:28
수정 아이콘
오늘 껀 한번 완독으론 제가알고있는거하고 매칭하기도 벅찬듯
항상 감사해요
오크의심장
12/04/29 19:51
수정 아이콘
이거 더 퍼시픽에서 본 해전이네요.
포프의대모험
12/04/29 21:38
수정 아이콘
진짜 일본도 대단하긴 하네요 ㅡㅡ; 돌격 안했다고 공적을 깎는 엉망진창인 수뇌부를 갖고서 근대화 수십년만에 세계최강이랑 맞짱을 떴으니
12/04/29 22:55
수정 아이콘
감사히 봤습니다.
불곰드랍
12/04/30 00:27
수정 아이콘
정말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태평양전쟁은 우리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쟁임에도 그리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느낌인데 눈시님 덕분에 알게되서 정말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Je ne sais quoi
12/04/30 05:59
수정 아이콘
일본의 힘이란게 정말 만만치가 않았군요. 하나라도 삐끗했다면 어떻게 됐을지 끔찍하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038 [일반] 다크나이트 라이즈 3번째 정식 예고편 공개! [28] 브릿덕후4904 12/05/01 4904 0
37037 [일반] 유전학과 정신병 (1) [2] 순욱4351 12/05/01 4351 0
37036 [일반] 꽃다운 청춘들이 스러졌습니다. [7] 소금저글링5251 12/05/01 5251 0
37034 [일반] 아이유 신곡 소식 + [5] 4220 12/05/01 4220 2
37033 [일반] 맨유, 맨시티 결국 우승은 누가 할까요? [44] Neandertal5412 12/05/01 5412 0
37032 [일반] 박진영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19] 효연짱팬세우실4755 12/05/01 4755 0
37031 [일반] 태평양 전쟁 - 20. 더글러스 맥아더, 그리고 호주군 [10] 삭제됨6169 12/05/01 6169 3
37030 [일반] 포돌스키 아스날 이적 (부제 : 박주영 Bye..) [75] No21.오승환7276 12/05/01 7276 0
37029 [일반] 이종범 선수가 김성근 감독 밑에서 배우고 싶다는 기사가 떴습니다. [36] sungsik8206 12/04/30 8206 1
37028 [일반] 그녀와 만남 그리고 일 년 [31] 혼돈컨트롤5950 12/04/30 5950 2
37027 [일반] 공기업 평균 연봉 7120만원?? [53] 부끄러운줄알아야지16366 12/04/30 16366 1
37026 [일반] 미국산 쇠고기로 하나가 되는 여야정치권과 좌우시민단체들 [17] 타테시5117 12/04/30 5117 0
37025 [일반] 소녀시대-태티서, Twinkle : Music Video 공개 [35] kimbilly5602 12/04/30 5602 0
37024 [일반] 원게시자 게시물삭제 제한 코멘트 갯수 [29] Toby4942 12/04/30 4942 0
37021 [일반] 장인어른 처음 뵙던 날 [35] 삭제됨5318 12/04/30 5318 8
37020 [일반] [NBA]데릭 로즈 십자인대파열 및 올시즌 부상악령 [8] 아우구스투스5159 12/04/30 5159 0
37018 [일반] 나는 너희들이 지난 1912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16] Neandertal10456 12/04/30 10456 3
37017 [일반] 독점 KTX에서 벗어난, 저비용 KTX의 이름을 공모합니다..... [84] 마르키아르7352 12/04/30 7352 0
37016 [일반] [야구] 클래스를 입증하고 있는 KBO투타 복귀(및 데뷔?)생들 [35] 슬러거6980 12/04/30 6980 0
37015 [일반] 새누리당은 대선경쟁, 민주통합당은 담합타령 [21] 타테시5191 12/04/30 5191 0
37014 [일반] 배틀크루저, 전함도 순양함도 아닌 [51] 눈시BBver.212512 12/04/30 12512 2
37013 [일반] [스포츠] 한 주간 스포츠 뉴스 올립니다.. [32] k`6268 12/04/30 6268 0
37012 [일반] [리버풀] 달글리시의 '탈'영연방 영입 움직임이 보입니다 [30] 리신OP4984 12/04/30 498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