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4/29 16:51:14
Name 자이체프
File #1 DSC00549.JPG (164.4 KB), Download : 70
File #2 DSC00554.JPG (165.1 KB), Download : 1
Subject [일반] 삼년산성 답사 다녀왔습니다.





토요닐에 삼국시대의 대표 산성(?)격인 보은의 삼년산성 답사를 다녀왔습니다. 대표적인 전란의 시기라고 할 수 있던 삼국시대의 산성들은 답사를 주관하신 임용한 교수님의 말씀대로 일상생활은 포기하고 오직 방어력의 극대화에만 초점을 맞췄습니다. 택시에서 내리는 순간 압도적인 높이와 경악스러울 정도로 험난한 위치에 놀라고 말았습니다. 조선시대의 산성들은 붕괴를 막기 위해 바깥쪽에만 돌을 쌓아올리고, 안쪽은 흙으로 쌓아올렸습니다. 하지만 이 곳은 그런거 없습니다. 거의 십미터에 육박하는 높은 성벽은 두께도 오미터가 넘어보였습니다.

경치가 좋고, 성벽을 따라 이름모를 꽃들이 피어있어서 힘든 줄 모르고 걸었습니다. 성벽은 깨끗하게 복원된 곳과 복원을 준비중인 곳, 그리고 원래 형태가 그대로 남아있는 곳과 무너져서 간신히 흔적만 남은 곳들이 보였습니다. 비교적 접근이 용이했던 북쪽 성벽이 제일 높았고, 안쪽에 이중성벽이 존재했던 흔적을 확인했습니다. 현장에서 북문을 발굴하셨던 분과 만나서 배수구를 발견했던 상황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답사를 하면서 어떤 복원이 맞는 것인지에 대한 얘기가 자연스럽게 나왔습니다. 저는 요즘 사람들이 생각하는 옛날 방식대로 그대로 쌓는 '완벽한'복원 이라는 것은 결국 욕심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새로 복원하거나 옛 형태로 남아있거나 혹은 이렇게 붕괴가 진행중인 곳 모두 '역사'입니다. 이걸 잘 꾸면서 관광지로 만들까보다는 어떻게 잘 보존해서 후손들에게 물려줘야 할지 고민해야할 시점이 아닌가 합니다. 징그러울 정도로 깨끗하게 복원된 성벽과 힘 없이 허물어져가는 성벽을 보면서 만감이 교차했습니다.

  약 세시간에 걸친 답사를 마치고 청주 시내로 돌아가서 옛 읍성자리를 둘러봤습니다. 청주성은 20세기 들어서면서 모두 허물어졌고, 그 자리는 길로 변해버렸습니다. 전형적인 조선시대의 도시였던 청주성은 성벽을 잃고 대신 길이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무심하게 지나치는 그 길의 곳곳에는 마치 '다빈치코드'처럼 그 시대의 흔적들이 남아있었습니다. 길로 변해버린 청주성 답사를 마치고 포스가 넘치는 '복성루'라는 중국집에서 저녁식사를 했습니다. 화교부부께서 30년 동안 영업을 하셨다는데 건물 자체도 굉장히 오래되었더군요. 식사를 마치고 터미널에서 버스를 타고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버스에서 전쟁이 일상사처럼 느껴지던 시기에 세워진 삼년산성과 평화로운 시기 쌓았던 조선시대의 청주성을 보면서 전쟁이 역사에 미치는 극적인 영향력을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하루동안 '과거'와의 만남은 끝이 났습니다. 위압감이 느껴질 정도로 높았던 삼년산성의 성벽과 길로 변해버린 청주성을 걸으면서 제가 마주쳤던 역사의 본질은 무엇이었을까요? 깊은 고민과 상상을 하게 만들어줬던 시간들이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블루드래곤
12/04/29 17:14
수정 아이콘
좋네요~

성벽을 보니 최근에 보수한것 같네요??
자이체프
12/04/29 17:27
수정 아이콘
네, 사진에 찍힌 서문 부근은 다시 쌓았습니다만 너무 각을 잘 잡아서 징그러울 정도였습니다.
wish burn
12/04/29 18:24
수정 아이콘
한반도 최강의 요새라면서요?
역사기록으로 따지면 함락된 적이 전무하다고 하던데요..
자이체프
12/04/29 20:08
수정 아이콘
김헌창의 난때 함락되었던 것 같은데 기록에는 좀 애매하게 나와 있습니다. 직접 가보니까 그럴만 하더군요. 높지는 않지만 산 자체가 험난해서 공성무기를 접근시킬 수 없었고, 성문들도 사다리로 오르내리거나 이중성벽 형태로 되어 있어서 약점을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연못이 있어서 식수도 풍부한 편이었죠. 성벽은 뭐, 실제로보면 기가 죽을 정도로 높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038 [일반] 다크나이트 라이즈 3번째 정식 예고편 공개! [28] 브릿덕후4904 12/05/01 4904 0
37037 [일반] 유전학과 정신병 (1) [2] 순욱4351 12/05/01 4351 0
37036 [일반] 꽃다운 청춘들이 스러졌습니다. [7] 소금저글링5251 12/05/01 5251 0
37034 [일반] 아이유 신곡 소식 + [5] 4220 12/05/01 4220 2
37033 [일반] 맨유, 맨시티 결국 우승은 누가 할까요? [44] Neandertal5412 12/05/01 5412 0
37032 [일반] 박진영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19] 효연짱팬세우실4755 12/05/01 4755 0
37031 [일반] 태평양 전쟁 - 20. 더글러스 맥아더, 그리고 호주군 [10] 삭제됨6169 12/05/01 6169 3
37030 [일반] 포돌스키 아스날 이적 (부제 : 박주영 Bye..) [75] No21.오승환7276 12/05/01 7276 0
37029 [일반] 이종범 선수가 김성근 감독 밑에서 배우고 싶다는 기사가 떴습니다. [36] sungsik8206 12/04/30 8206 1
37028 [일반] 그녀와 만남 그리고 일 년 [31] 혼돈컨트롤5950 12/04/30 5950 2
37027 [일반] 공기업 평균 연봉 7120만원?? [53] 부끄러운줄알아야지16366 12/04/30 16366 1
37026 [일반] 미국산 쇠고기로 하나가 되는 여야정치권과 좌우시민단체들 [17] 타테시5117 12/04/30 5117 0
37025 [일반] 소녀시대-태티서, Twinkle : Music Video 공개 [35] kimbilly5602 12/04/30 5602 0
37024 [일반] 원게시자 게시물삭제 제한 코멘트 갯수 [29] Toby4942 12/04/30 4942 0
37021 [일반] 장인어른 처음 뵙던 날 [35] 삭제됨5318 12/04/30 5318 8
37020 [일반] [NBA]데릭 로즈 십자인대파열 및 올시즌 부상악령 [8] 아우구스투스5159 12/04/30 5159 0
37018 [일반] 나는 너희들이 지난 1912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16] Neandertal10456 12/04/30 10456 3
37017 [일반] 독점 KTX에서 벗어난, 저비용 KTX의 이름을 공모합니다..... [84] 마르키아르7351 12/04/30 7351 0
37016 [일반] [야구] 클래스를 입증하고 있는 KBO투타 복귀(및 데뷔?)생들 [35] 슬러거6980 12/04/30 6980 0
37015 [일반] 새누리당은 대선경쟁, 민주통합당은 담합타령 [21] 타테시5191 12/04/30 5191 0
37014 [일반] 배틀크루저, 전함도 순양함도 아닌 [51] 눈시BBver.212512 12/04/30 12512 2
37013 [일반] [스포츠] 한 주간 스포츠 뉴스 올립니다.. [32] k`6268 12/04/30 6268 0
37012 [일반] [리버풀] 달글리시의 '탈'영연방 영입 움직임이 보입니다 [30] 리신OP4984 12/04/30 498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