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2/26 12:12:41
Name 영원한초보
Subject [일반] 독재자의 십계명
1. '1인 통치'란 없다
2. 측근은 소수 정예로
3. 돈줄은 내가 쥔다.
4. 반드시 당근을 주어라. 대신 적당히
5. 국민은 굶겨도 심복 주머니는 털지 마라
6. 무능한 충신을 기용하라
7. 모반의 싹은 움트기도 전에 잘라라
8. 해외에서 많이 빌리고 적게 갚으라
9. 도로는 언제나 직선으로 낸다.
10. '정치적' 해외 원조를 적극 활용하라

책소개를 보다가 '독재자의 핸드북'이라는 책에 소개된 말입니다.
책의 중심내용은 '독재자'보다 '권력'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모든 권력자들은 철저히 정치 규칙에 따라 행동", "정치의 주체는 자신에게 유리한 일을 하는 데 급급한 개인들"
이러한 권력에 대한 대항하고 하는 이들을 위한 통찰로
"소규모 연합에 의존하는 모든 정부는 마침내 부패와 비효율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붕괴할 위험에 처하게 마련"

딱딱 맥을 짚어 주는 이야기가 많네요. 민주주의 국가에서도 통용되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이야기를 박정희와 이명박에 대입해서 생각해봤습니다.
박정희는 독재자의 본질(?)로는 좀 더 못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2/26 12:32
수정 아이콘
9번은 무슨 의미인가요?
틀림과 다름
12/02/26 12:36
수정 아이콘
상징적인 의미일것 같습니다
직선으로 낸다면 주위에게 보기 좋게 보이겠죠
하지만 그 직선으로 내기 위해 그 땅주인을 족치고 반대하는 이들을 어떻게든 처리하겠죠
그렇게 하면서 직선(남에게 보기 좋게 만드는것)을 한다는 의미같습니다
레몬커피
12/02/26 12:46
수정 아이콘
글에서 뭘 주장 혹은 말하시고싶으신건지 이해가 잘 안 되네요
같이 이명박 까자는 글인가요?
통큰루미
12/02/26 13:05
수정 아이콘
제일 무서운 말이군요

무능하지만 성실한 충신...
채넨들럴봉
12/02/26 13:21
수정 아이콘
무능하고 성실한 리더는 더 무섭죠
12/02/26 13:22
수정 아이콘
김일성&김정일 부자는 독재자로선 완벽했군요..
절대 그러실 분이
12/02/26 13:39
수정 아이콘
1. '1인 통치'란 없다 - 상왕정치 및 학연지연 측근들의 요직 인사
2. 측근은 소수 정예로 - 돌려막기 인사
3. 돈줄은 내가 쥔다.
4. 반드시 당근을 주어라. 대신 적당히
5. 국민은 굶겨도 심복 주머니는 털지 마라 - 부자감세 친재벌정책
6. 무능한 충신을 기용하라 - 유능한 인사가 있기는 했는지..
7. 모반의 싹은 움트기도 전에 잘라라
8. 해외에서 많이 빌리고 적게 갚으라 - 대신 세금 끌어댕겨다 써서 차기정권과 후세들의 부담이 늘었죠.
9. 도로는 언제나 직선으로 낸다. - 그나마 한 것들도 제대로 안되서 주구장창 보수중..
10. '정치적' 해외 원조를 적극 활용하라 - 자원외교 한다면서 늘어난 국가부담..

여섯가지는 하셨나 봅니다..
같이 까자는 글이라기보다는 한 번 생각은 해보자시는거같네요.
사티레브
12/02/26 13:58
수정 아이콘
권위주의와 전체주의를 제대로 프레임짜고 논의를해야지 싶네요
영원한초보
12/02/26 14:18
수정 아이콘
저도 나아가서 그정도 수준의 이야기를 하고 싶으나 아직 제가 그런 이야기를 끌고나갈만한 수준이 안되네요 ㅜ.ㅜ
사상최악
12/02/26 14:13
수정 아이콘
책 보다가 인상깊은 구절이 있으면 편하게 소개하고 같이 얘기해볼 수 있죠. 꼭 무슨 의도나 주장이 있어야만 글을 쓸 수 있는 게시판이 아니니까요.
주제가 주제다보니 박정희나 이명박 대통령에 대해 코멘트하는 게 부자연스럽지도 않고요.
글쓴이 말씀처럼 독재보다 권력에 대해 생각해보면 최근 정국에 비춰 볼 때 의미심장한 문구들이네요.
sad_tears
12/02/26 14:25
수정 아이콘
본문9째줄까지 히들러인 줄 알았다가
10째줄부터 북한이나 탈레반인가?

리플부터 현정권도 있었지.
리플보면서 글쓴이 사냥인가 ;;
12/02/26 14:26
수정 아이콘
11. 대량학살에 무감각해져라.
차사마
12/02/26 20:43
수정 아이콘
저런 원칙이라면 절대 경제 발전을 할 수 없습니다. 떠오르는 건 각종 공산 독재 정치가들이네요.
12/02/27 00:58
수정 아이콘
저는 이게 시민을 까는 걸로 보이는데..
"정치의 주체는 자신에게 유리한 일을 하는 데 급급한 개인들"

사실 본질은 바로 이 '개인'에 맞춰진 최적의 '개인'들이 정치인을 하고있는거죠.
12/02/27 01:00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연대나 이성, 절제나 생각에 따른 행동제약, 스스로에대한 조절이 힘든 비틀어진 자유지상의 문화적 토대 아래에서는 한계가 있다는거죠. 인권을 침해하는 자유의 억제같은 이야기가아니라, 유리함, 욕망, 감정의 폭발, 내 사정 등등을 다시 조율해서 생각해 볼 시대가 온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599 [일반] (스압)가족이야기 - 태양, 금성, 그리고 화성과 명왕성(3) Marioparty42760 12/02/28 2760 1
35598 [일반] (스압)가족이야기 - 태양, 금성, 그리고 화성과 명왕성(2) Marioparty42730 12/02/28 2730 1
35597 [일반] (스압)가족이야기 - 태양, 금성, 그리고 화성과 명왕성(1) Marioparty43730 12/02/28 3730 1
35595 [일반] 뇌사의대생 '살신성인 장기기증'6명 '새 생명'..후배가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27] 칠삼은이십일4604 12/02/27 4604 0
35594 [일반] 삼별초 - 5. 화무십일홍 [7] 눈시BBver.25030 12/02/27 5030 0
35593 [일반] 강호동이 싫은 이유. [117] naughty10724 12/02/27 10724 1
35592 [일반] <ZM> 아스날 5 : 2 토트넘. 아스날의 화려한 컴백. [14] 티티4308 12/02/27 4308 0
35591 [일반] [한승철 전 검사장 복직] 아무리 정의가 없다지만 이건 너무한데요. [16] 시나브로5588 12/02/27 5588 0
35590 [일반] 84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이 끝났습니다. [15] 제르4695 12/02/27 4695 0
35582 [일반] 지금 생각해 보면 미친 짓 이었던 (+ 전자발찌 , 쇠고랑) 첫사랑 꼬시기. [123] SNIPER-SOUND33858 12/02/27 33858 26
35581 [일반] 픽업과 연애 #3 여성들의 테스트 [21] Love&Hate32836 12/02/27 32836 7
35580 [일반] 전 노무현 대통령의 딸 노정연씨 미국아파트 매입의혹 재수사 [32] 부끄러운줄알아야지6214 12/02/27 6214 0
35579 [일반] 명작영화 평점 9.3 에이트 빌로우 [15] 김치찌개4329 12/02/27 4329 0
35578 [일반] 아니면말고 식의 허위폭로와 비난에는 큰 처벌이 뒤따라야 하지 않을까요? [52] 블루드래곤4751 12/02/27 4751 0
35577 [일반] 과거 있는 여자지만 괜찮아 [32] 삭제됨6123 12/02/27 6123 1
35576 [일반] 달달한 만화 두권 추천합니다. [13] 삭제됨6054 12/02/27 6054 1
35575 [일반] [리버풀]6년간의 무관 생활을 끝내다!!! [30] 아우구스투스6264 12/02/27 6264 0
35574 [일반] 교통사고와 관련된 두서없는 몇가지 예시들 - 세번째. [13] 비타민C3552 12/02/27 3552 4
35573 [일반] [스포츠] 한 주간 <스포츠 뉴스> 올립니다.. [15] k`6544 12/02/27 6544 0
35571 [일반] 채선당 사건도 이제 종결나네요 [51] KID A7993 12/02/27 7993 0
35570 [일반] 명화로 보는 유럽의 패션 변천사 [8] 김치찌개4550 12/02/27 4550 0
35569 [일반] 프로야구 경기조작 실명보도 시작. [50] 난다천사8106 12/02/27 8106 0
35568 [일반] 외할머니가 돌아가셨는데 정말 슬프네요... [12] 케이스트3210 12/02/27 321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