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2/09 07:22:48
Name 자이체프
Subject [일반] 조선왕조실록에서 찾은 재미있는 기록들...마지막
조선왕조실록에서 찾은 흥미로운 기록들 마지막 시간이 돌아왔습니다. 아쉬우신가요? 더 재미있는 기록들을 찾아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조선에서도 골프를 쳤다?..."구를 쳤다"는 기록을 언뜻 보고는 폴로와 비슷한 격구를 한 줄만 알았습니다. 그런데 비가 와서 내전에서 구를 쳤다는 기사를 보고는 뭔가 이상하다 싶어서 봤더니 대나무로 자루를 만들어서 달걀만한 공을 구멍에 넣었다는군요. 꼭 골프 같지 않습니까? 얼마전에 해를 품은 달에서 나왔다고 하던데요. 혹시 임금이 치면 옆에서 대신들이 "임금님, 나이스 샷!" 이랬을까요?

조선에서도 여론조사를 실시한 적이 있습니다. 세종때 공법의 시행여부를 놓고 장기간의 토론과 여론조사를 실시한적이 있습니다. 공법이란 한 마디로 수확량의 일정 부분을 징수하는 방식입니다. 그전에는 관리들이 직접 수확량을 눈으로 확인하고 세금으로 거둘 양을 정했습니다. 당연히 관리들의 부정이 개입될 여지가 많았기 때문에 고치고 싶어했죠. 하지만 이런 방식은 관리들과 그들과 결탁한 지주들, 그러니까 기득권층의 강력한 반발을 받았고, 결국 세종대왕은 영의정부터 시골 농부에 이르기까지 여론조사를 실시하라고 지시합니다. 그리고 나온 결과는 찬성 98,657명 반대 74,149명이었습니다. 찬성이 많긴 했지만 압도적이진 않았기 때문에 세종대왕도 의구심을 드러내지만 일단 보류합니다. 하지만 이건 공법 논의의 기나긴 여정의 첫 걸음에 불과했습니다. 태종은 칼로 설득했다면 세종은 말로 설득했습니다. 어느 쪽이 대신들의 진을 빼 놨을까요?

  조선의 매너남 세종대왕도 욱할 때가 있었습니다. 바로 신하들이 격구를 금지하자는 건의를 했을때입니다. 세종대왕은 격구도 무예수련의 일종이기 때문에 금지해서는 안된다고 점잖게 얘기합니다. 하지만 신하가 "왕님, 그가 좋아하면 나쁜 임금임."이라고 하자 "이 무식한 놈아! 그럼 격구 안하고 음주가무를 즐기면 좋은 임금이니?"라고 쏘아붙입니다.

조선 초기 명나라는 툭하면 매를 요구했습니다. 거기다 사신들까지 개인적으로 매를 요구하는 바람에 백성들은 때 아닌 매 사냥에 동원되야 했습니다. 결국 매의 그림이 그려진 종이를 지방에 뿌려야만 했습니다. "요렇게 생긴 새를 공개수배합니다. 잡으면 관직 제수하겠음." 한번은 하도 매가 안 잡히고 기껏 잡은 매가 북경으로 가는 동안 죽고 말았습니다. 매를 호송하던 사신은 눈 앞이 캄캄해지고 말았죠. 결국 사신은 죽은 매를 끌어안은 채 황제 앞에서 무릎을 꿇고 엉엉 울었답니다. 그 모습이 불쌍했는지 황제가 그냥 넘어갔답니다.

이렇게 잡은 매들은 조심스럽게 한양으로 운송되었습니다. 그런데 눈치 없는 모 관리가 매를 운반하던 매 사냥꾼들이 자기 집 앞을 시끄럽게 지나간다고 앞을 가로막고 소동을 피웁니다. 이 소식을 들은 임금님은 "매를 놀라게 한 죄"로 이 관리를 파직합니다.

  조선을 뒤흔든 팜브파탈이 있었습니다. 어우동? 아닙니다. 유감동? 아니죠. 바로 이지의 처 김씨입니다. 남편이 애첩이랑 놀아나자 본인도 이때다 싶었는지 다른 남자랑 바람을 피웁니다. 남편이 애첩을 만나러 집을 비우자 잽싸게 애인을 부른 김씨. 그런데 애인이 돌아가면서 실수로 자기 옷을 놓고 남편의 옷을 입고 갑니다. 집에 돌아온 김씨의 남편이 버럭 화를 내자 오히려 지지 않고 맞받아칩니다. 이후 어찌어찌해서 남편과 사별하고 다른 남자에게 시집가기로 한 김씨. 예쁘게 화장하고 상대방 집을 찾아갑니다. 소식을 들은 그집 자식들이 문을 막고 못 들어오게 하자 쿨 하게 한 마디 합니다.
"내가 여기 온게 한 두번이 아닌데 촌스럽게 왜 이러남?"

  조선 초기에는 은근히 스캔들이 많았습니다. 이름 석자만 대면 알만한 유명한 장군 한분도 여기에 연루되었는데요. 모 대신의 애첩과 눈이 맞은 장군님께서 한밤중에 은밀히 담을 넘습니다. 하지만 애첩이 장군과 바람을 피우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 챈 모 대신이 하인들과 함께 기다리고 있었죠. 꼼짝없이 붙잡힌 장군님은 머리가 빡빡 깍이고 맙니다. 덕분에 다음날 임금님을 호위해야 하는데 불참하고 맙니다. 급한 김에 처가집에 간다고 둘러댔지만 이미 소문은 퍼질대로 퍼진 상태. 결국 오랫동안 쉬셔야 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2/09 07:59
수정 아이콘
역시..
이런 얘기는 남녀상열지사(너무 미화한 단어이려나요? ^^;;)가 들어가야 제 맛이죠~

잘 봤습니다^^ [m]
12/02/09 11:13
수정 아이콘
재밌게 봤었는데... 마지막이라니 살짝 아쉽네요.^^
여간해서
12/02/09 11:22
수정 아이콘
이름 석자만 대면 알만한 유명한 장군 한분도 여기에 연루되었는데요

저는 이 부분이 왜 이렇게 재밌죠 흐흐흐
날씬해질뻔한아빠곰
12/02/09 13:51
수정 아이콘
세종 때 여론조사 얘기는 한 때 주어없는 그분께서 여론을 듣겠다고 토론장에 나와 자기 할 말만 한 거 때문에 엄청 비교당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261 [일반] 수학 배워서 머해요??...라는 질문에는... [65] 쓰랄8238 12/02/11 8238 0
35260 [일반] [푸념글] 한국이 그립습니다. (부제:페북은 사랑을 싣고...) [16] Go윤하4487 12/02/11 4487 0
35259 [일반] 한국의 서비스업에 대한 개인적 단상 [28] 로렌스5671 12/02/11 5671 1
35258 [일반] 과거와 현재가 겹치는 순간 [9] 김치찌개4777 12/02/11 4777 0
35257 [일반] Mnet 보이스 코리아 1회 영상들 [35] 달리자달리자7933 12/02/11 7933 0
35254 [일반] 태양계.. 그 끝은 과연 어디인가... [21] 김치찌개5748 12/02/10 5748 0
35253 [일반] 우리나라 대기업들 정말 문제 많네요 [68] saia8576 12/02/10 8576 0
35252 [일반] 정줄을 놓고 사는 동생. [9] Axl5254 12/02/10 5254 0
35251 [일반] 대몽항쟁 4부 - 2. 김준, 고종, 그리고 마지막 항쟁 [8] 눈시BBver.25682 12/02/10 5682 0
35250 [일반] 입사 후 첫 고과 평가... [13] 외대김군6133 12/02/10 6133 1
35249 [일반] 카라 단콘 티켓이벤트 정보 및 일본 정규2집 일본레코드협회 75만장 인증소식 [6] karalove4758 12/02/10 4758 1
35248 [일반] 잘가라 친구야........ [56] 삭제됨6742 12/02/10 6742 0
35247 [일반] [야구] 프로야구에 다시 뛰어든 XTM의 중계진이 공개되었네요. [63] 달리자달리자7242 12/02/10 7242 0
35244 [일반] 니들은 메달 못 따니 여기서 먹지도 말고 자지도 마 [19] 타나토노트7027 12/02/10 7027 0
35243 [일반] 아이유와 에일리의 뮤직비디오와 케이윌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7] 효연짱팬세우실4341 12/02/10 4341 0
35242 [일반] 암호를 대란 말이다! [43] 삭제됨6307 12/02/10 6307 3
35241 [일반] 아니 벌써~ (빅뱅 지드래곤·대성, '힐링캠프' 전격 동반출연) [83] SNIPER-SOUND7239 12/02/10 7239 0
35240 [일반] 프랑스 엄마들이 우월한 이유 [18] 절름발이이리8448 12/02/10 8448 1
35239 [일반] 왜 전장에 실크햇 쓴 남자가 있을까? [9] swordfish6518 12/02/10 6518 0
35238 [일반] 최강희호 1기 출범.. 대표팀 명단 발표 [83] 여자박사6344 12/02/10 6344 0
35237 [일반] 참... 머리 좋은 사람들.. (이른바 나철수관련) [20] 곰주5436 12/02/10 5436 0
35236 [일반]     Ace of Base 2 - '첫사랑의 배신' [2] Ace of Base5488 12/02/10 5488 0
35234 [일반] 대몽항쟁 4부 끝과 시작 - 1. 최씨 정권의 끝 [4] 눈시BBver.25423 12/02/10 542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