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11/02 02:27:39
Name 오티엘라
Subject [일반] 학교에 온 김어준 총수님, 그가 들려준 이야기.




11월 1일, 세종대학교에 김어준 총수님이 오셨습니다.
최근에 나는꼼수다 팬이 된 저는 일부러 시간을 맞춰 강의실로 갔지만...
사람 엄청 많더군요.
나꼼수 팬도 있을테지만, 주변에서 들리는 목소리들을 들어보니 단지 김어준이 누구야? 라는 생각에서 온 사람도 있고,
강의실 벽에 붙어있는 현수막에 '나꼼수의 독설가 김어준' 이라고 적힌 것을 보고 독설가래! 하며 들어온 사람도 있었습니다.

강연 주제는 20대들에게 하고싶은 말... 이었습니다.
뭐 나꼼수에 나오는대로 적절히 욕도 섞어 주시면서 ^^; 처음에는 자신의 어린 시절 얘기를 해주시고,
고등학생, 20대 얘기도 해주시면서... 한마디로 자신에 대해 모든 것을 다 말씀해주셨습니다.
한 시간 동안 들려주신 얘기의 결론은 '닥치고 니 맘대로 살아'. 심플했습니다.
강연 끝내시면서 마지막에

"우리 가카 얘기라면 열두시간도 더 할수 있는데... 주제를 20대들을 위해 하고싶은 말? 뭐 그런거로 정해놔가지고. 여기서 줄여야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가카 얘기도 듣고 싶었는데! 아쉬웠어요.

물론 정치 관련 얘기는 강연이 끝나고 마련된 질문시간에 들을 수 있었습니다.
전부 다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서도... 최근 자게에서 본 글과 연관되는 질문도 있어서 한번 적어 봅니다.


-

Q1 ) 진중권 씨 트위터에 나꼼수에 대해 말한 것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A1 ) 저는 트위터도 하지 않고 소셜 뭐... 하나도 안합니다만, 비판을 한다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Q2 ) 저희 학교가 사학비리가 심합니다. 사학비리에 대해 다룰 생각은 없으신가요?
A2 ) 사학비리... 덩치가 엄청 큰 놈이죠. 언젠가 다루기는 할 겁니다. 다다음주나... 그 다음주? 세종대 얘기 빼놓지 않구요. 이번주는 FTA에 대해 합니다. 떨거지들의 관훈토론회. 기대해주세요.


Q3 ) 나꼼수를 진행하면서 부풀려지거나, 거짓말을 한 건 없으신가요?
A3 ) 없습니다. 그 1억 피부과 말이죠... 나경원 전 후보의. 그거 녹취 다 있습니다. 담당자와, 그곳을 찾는 손님들까지.
저희는 근거 없이 말을 하진 않아요. 다 갖고 있는데도, 그 사람들은 그런적 없다, 아니라고 해요.


Q4 ) 주말 내내 이슈였던 눈찢어진아이, 대체 누군가요?
A4 ) 그건 지금 여기서 말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많은 분들이 오해하시는데, 에리카 김과 눈찢어진아이는 연관시키면 안됩니다.


Q5 ) 가카께서 퇴임하시는 날, 나꼼수가 끝난다고 하셨는데 더 하실 생각은 없으신가요?
A5 ) 없습니다. 제 인생의 1년 6개월 (이부분은 정확히 기억나지 않습니다. 제가 듣기로는 이랬습니다) 을 딱 이 나꼼수에 투자하기로 한 것이고, 처음 시작할 때부터 그런 생각을 한 것이기 때문에... 더 할 생각은 없습니다.



-

여러모로 유쾌하고 재미있는 말이었습니다. 조금 뻔-한가? 싶은 말들도 있었지만. 좋았어요.
앞으로도 저는 나꼼수를 열심히 들으려고 합니다. 특히 머지 않아 나올 사학비리 편이요. 기대합니다.
김어준 총수님, 저희 학교를 찾아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p.s


사인받았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개미먹이
11/11/02 04:42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m]
11/11/02 07:06
수정 아이콘
같은 학교분을 만나니 반갑네요. ^^
학생회관 그 넓은 공연장 냅두고 왜 삐그덕소리나는 의자들이 즐비한 충무관에서 했는지 모르겠지만 ㅠ
사람이 너무 많아 가지 못했습니다. 주위에 친구들이 갔다와선' 정말 재밌었다고 하더군요.

지금까지 어떤 사람이라는 것만 알고 자세한건 몰랐는데, 우리학교의 비리 얘기를 한다니 그 편은 꼭 챙겨들어봐야겠군요.
클로로 루실루플
11/11/02 07:18
수정 아이콘
쫄지마라는 문구가 괜시리 울컥하게 만드네요. 한번 강연듣고 싶은데...
뜨거운눈물
11/11/02 08:52
수정 아이콘
글을 덤덤히 읽어가다가 싸인에 쫄지마에서 빵터졌네요

원래대로라면 쫄지마 이후에 하나의 거친 추임세가 나와야하는데
11/11/02 09:22
수정 아이콘
역시 언변 하나는 끝내주네요. 토크 '콘서트'가 가능한 인물이니 정말 재미있었을거 같습니다.
지난 주에 도올선생 사건이 없었다면 FTA가 주제였겠군요. 어제 밤에 꼼수녹화한걸로 알고 있는데 기대해 보겠습니다.
하늘연데보라
11/11/02 10:06
수정 아이콘
FTA편이라니 기대되데요
일반인이 막연히 알고 있는 부분과 상당히 괴리가 있는 것 같던데 정리가 좀 될수 있겠네요
사령이
11/11/02 11:17
수정 아이콘
오옷!! 좋은 글 잘봤습니다.
난동수
11/11/02 14:40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재밌는 시간이었겠네요.

그런데,

개인적으로 존대/높임말이 상당히 어색하네요.
제목에 총수'님'이라고 해서... "오잉?"하며 첨부터 쬐끔 낯설었는데, 본문마저도 크헉!
마치 교주님을 소개하는 듯 느껴지네요.
피로링
11/11/02 16:13
수정 아이콘
사장님 시장님 의원님 회장님 선생님 다 되는데

왜 총수님만 교주소개처럼 느껴지시나요;;

뭐 저는 총수자도 잘 안붙이긴 합니다만. 대통령님같이 님자를 안붙여도 되는 단어였던가? 잘 모르겠네요.
난동수
11/11/02 20:55
수정 아이콘
아래 개미먹이님과 함께... 제 뜻을 잘못 이해하시고, 뭔가 오해를 하신 거 같네요. 물론 님자는 그 모든 경우에 붙일 수 있어요(특히나 여기 PGR21에서 익명의 상대방에게 2인칭으로 호칭할 때는 물론이고). 하지만 보통 여기 자게에 자신과 직접 관련이 없는(예를 들어서 부모님/선생님 등등 몇몇을 제외한, 더불어서 덕망있는 종교인 등등 몇몇 직업군도 제외) 3인칭의 글을 올릴 때(리플 달 때도 마찬가지로), '님'자를 붙이는 경우는 흔치 않죠. 물론 높임/존대 어법으로 쓰지도 않고 말이죠. 간혹 그런 경우가 있긴 한데(대개 유머게시판에 흔한데), 그건 비꼬거나 혹은 그 반대로 존경/칭송의 의미를 뭔가 유머스럽게 만들기 위한 장치로 활용하는 경우죠.

잡설이 길었는데, 그냥 간단하게 제가 좋아하는 어느 한 분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학교에 온 유시민 의원님, 그가 들려준 이야기> 어제 학교에 유시민 의원님이 오셨습니다....."
보다는
"<학교에 온 유시민 의원, 그가 들려준 이야기> 어제 학교에 유시민 의원이 왔습니다(방문했습니다)......"
가 더 자게에 익숙하고, 일반적이지 않냐는 정도로 제 뜻을 받아주셨으면 해요. 따라서 전자가 약간 어색하다는 거.
흰코뿔소
11/11/02 15:07
수정 아이콘
'쫄지마'라는 얘기와 어느 정도 언행일치가 된다고 생각해 김어준을 꽤 높이치는 편입니다.
그리고 그런 김어준의 삶의 방식뒤에는 어머니가 계시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120 [일반] 세상에서 제일 못생긴 폰 Top 13 [12] 김치찌개8151 11/11/15 8151 0
33119 [일반] 다단계 피해 예방 혹은 ‘Anti’를 위한 글(+링크 모음) 本(본) 편 : 사업Ⅲ [5] 르웰린견습생8484 11/11/15 8484 5
33118 [일반] 김동률/UV의 뮤직비디오와 티아라의 안무 영상이 공개되었습니다. [13] 효연짱팬세우실4811 11/11/15 4811 0
33117 [일반] [스포츠] 주중 <야구> 뉴스 모음입니다.. [36] k`4430 11/11/15 4430 0
33116 [일반] 고성국 박사의 선거특강과 안철수, 박근혜 [26] 몽키.D.루피7896 11/11/15 7896 0
33115 [일반] 안철수교수의 이번 기부에 대한 생각. [24] 삭제됨5250 11/11/15 5250 0
33114 [일반]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 <농구> 이상민의 버져비터와 금메달.. [17] k`5515 11/11/15 5515 0
33113 [일반] 산악인들의 도전정신을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지원해줘야 하는 것인가? [63] naughty5280 11/11/15 5280 2
33112 [일반] 토토를 시작했습니다. [30] Animako4116 11/11/15 4116 0
33111 [일반] 신은 꾸준히 성공 중이다 [50] 삭제됨5744 11/11/15 5744 0
33110 [일반] 게임이 청소년의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 [22] kleingeld5199 11/11/15 5199 0
33109 [일반] 김동률 새 앨범 kimdongrYULE [13] 김치찌개5448 11/11/15 5448 0
33108 [일반] god 막내였던 김태우씨가 결혼하는군요 [5] 타나토노트6650 11/11/15 6650 0
33107 [일반] [국내축구] 경주시민구단 기적의 역전 우승. 챌린저스리그 2연패. + 기타국축속보 [5] LowTemplar5295 11/11/15 5295 0
33106 [일반] 편리한 파일 확장자 표시/숨김 토글 메뉴 추가 기능 한번 써 보세요 [3] 13롯데우승4225 11/11/15 4225 0
33105 [일반] 야구가 매력적인 스포츠인 이유 [41] 13롯데우승6207 11/11/15 6207 1
33104 [일반] 세계 유명 초코렛 베스트 11가지.jpg [22] 김치찌개7701 11/11/15 7701 0
33103 [일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도시 TOP 3 [14] 김치찌개6252 11/11/15 6252 0
33102 [일반] 대가를 바라고 기부를 하는게 잘못된걸까요 [18] PokerFace4601 11/11/15 4601 0
33101 [일반] 현실에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5] 콜라박지호3941 11/11/14 3941 0
33100 [일반] 뉴스 다이제스트 [13] KARA4225 11/11/14 4225 0
33099 [일반] 왕자의 난 - (6) 공정왕의 시대 [16] 눈시BBver.26679 11/11/14 6679 2
33098 [일반] 그로울링 창법을 구사하는 여성 보컬들 [9] 땅콩만두17713 11/11/14 1771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