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9/06 16:02:10
Name 리니시아
File #1 image.png (380.7 KB), Download : 2120
Subject [일반] 그 자연이 네게 뭐라고 하니 (2025) _ 흐릿한 풍경 속, 선명해지는 삶의 질문


1.
오랜만에 2시간에 가까운 러닝타임으로 찾아온 홍상수 영화다. 이전 작인 <물안에서>처럼, 이번에도 의도적으로 초점을 흐린 화면을 들고 나왔다.
영화 외적으로는 감독의 연인인 김민희가 임신한 기간에 촬영이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작가적 성향이 강한 감독이기에, 60대 중반의 나이에 새로운 생명을 맞이하는 한 인간으로서의 생각과 감정이 영화에 투영되었을 것이라 짐작해본다.


2.
최근 홍상수의 영화는 갈수록 단순해져 간다.
2021년 <인트로덕션>을 기점으로, 복잡한 구조와 차이와 반복이라는 특유의 연출 방식을 내려놓고 이제는 '소품집'에 가까운 짧고 명확한 이야기를 제시한다.
어려운 대화도, 꼬인 서사도 없기에 표면적으로는 매우 쉬워졌다.

하지만 그래서 더 어려워졌다.


3.
영화의 이야기는 간단하다. 삼십대 시인 동화가 3년 사귄 연인 준희의 집에 우연히 방문해 하룻밤을 보낸다.
어색하기 짝이 없는 부모님과의 만남, 술김에 터져 나온 속내와 실수, 그리고 다음 날 아침의 도망. 익숙한 홍상수식 하루의 기록이다.
한마디로, 우연히 여자친구 집에 갔다가 불편한 시간을 보내고 술에 취해 사고 친 뒤 다음 날 도망치듯 빠져나오는 이야기다.


4.
삼십대 시인 동화. 그는 이름처럼 자신만의 동화 속에 살고 싶어 한다. 96년식 낡은 차를 몰고, 번듯한 직업 없이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한다. 아버지의 도움 없이 살아가기에 재정적으로 궁핍하다. 말 그대로 '낭만'을 쫓아 사는 그에게 여자친구 부모님과의 만남은 불편할 수밖에 없다.

특히 준희의 언니가 "아버지가 뒤에 있잖아요"라며 그의 아버지를 언급하는 순간, 동화의 예민함은 극에 달한다. 동화는 돈을 중시하는 변호사 아버지로부터 벗어나 무소유의 삶을 지향하려 애쓴다. 하지만 세상은 자꾸만 그에게서 아버지의 그림자를 찾아내려 한다.
그의 낭만과 무소유라는 정체성은, 사실 아버지라는 세속적 존재에 대한 반작용으로 쌓아 올린 위태로운 성채였기 때문이다. 그 근간을 건드리는 말은 그를 무너뜨리는 도화선이 될 수밖에 없었다.


5.
동화가 고집스럽게 타는 낡은 중고차는 그의 낭만을 상징하는 가장 중요한 사물이다.
시를 사랑하지만 재능은 없어 보이고, 자신만의 생각을 절대적인 신념처럼 규정하고 바꾸려 들지 않는다. 이런 그의 태도에 연인 준희는 "네가 생각하는 그런 삶의 태도야말로 성급한 재단"이라며 일침을 가한다.

현실을 외면하고 자신만의 세계에 살려는 동화. 하지만 그 역시 '준희'라는 타인의 세계, 더 나아가 그녀의 가족과 미래를 함께하기 위해서는 이대로는 안 된다는 것을 어렴풋이 느낀다.

​6.
영화 속 공간은 단순한 배경을 넘어 인물들의 관계와 심리를 비추는 거울 역할을 한다. 동화와 준희, 그리고 언니는 세종대왕릉과 신륵사를 방문한다. 할머니를 위해 만들어진 정원처럼, 이곳 또한 과거 조상들을 위해, 어떤 목적을 갖고 만들어진 공간이다. 이러한 '인위적 자연'의 반복은, 인물들을 둘러싼 관계의 반복과도 겹쳐 보인다.

동화는 유명한 '하 변호사'의 아들로 규정되고, 준희 자매는 뗄 수 없는 관계로 묶여 있으며, 준희의 아버지는 이 공간의 실질적 주인인 할머니와의 관계 속에 존재한다. 결국 동화가 영감의 원천이자 도피처로 삼으려 했던 자연마저, 그가 벗어나고 싶어 했던 인위적인 관계의 질서를 고스란히 반영하는 역설이 발생한다. 그는 어디에서도 완벽히 자유로울 수 없다.


7.
밤의 자연 속에서 핸드폰 불빛으로 무언가를 찾는 동화의 모습은 상징적이다. 그는 자신의 시에 '밤에 피는 꽃은 스스로 빛난다'고 썼지만, 정작 그 꽃을 보기 위해선 인공의 불빛이 필요하다. 낭만 속에서 답을 찾으려 하지만, 현실은 그를 넘어뜨리고 상처만 남길 뿐이다.
결국 마지막 장면. 지난밤의 실수가 민망해 도망치듯 떠나려 하지만, 그의 낭만을 상징하던 낡은 차가 고장 나 멈춰 선다.
아버지의 그늘과 인위적인 관계의 질서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깨달음은, 그의 차가 길 위에서 멈춰 서는 마지막 장면으로 구체화된다.

그가 애써 지켜오던 동화의 세계가 끝났음을 알리는 선언이다. 어쩌면 이는 새로운 가족을 맞이하며 자신의 단단했던 세계에도 변화가 필요함을 느낀 감독 자신의 이야기가 투영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8.
오랜만에 술자리에서 고성이 오갔다. 한때 초록색 병을 앞에 두고 벌어지는 지질한 언쟁은 그의 트레이드마크였지만, 최근 몇 년간 그의 영화는 조용했다. 이번 작품에서 보는 사람이 다 민망할 정도로 속내를 토해내는 동화의 모습을 보니, 왠지 모를 반가움이 느껴졌다.


9.
스스로 예술가이고 싶은 사람이 '가족'이라는 새로운 세상, 새로운 자연에 편입되는 과정은 얼마나 두려운 일일까. 동화에게 자연은 언제나 영감의 원천이자 도피처였다.

하지만 그가 지켜온 낭만과 고집의 세계는 이제 끝났다. 새로운 관계 속에서 공존하기 위해, 그는 무엇을 내려놓고 또 무엇을 마주해야 할까. 영화는 흐릿한 화면 너머로, 우리 모두에게 그 질문을 던지는 듯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구경남b
25/09/18 21:45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피지알에서 이런 영회비평을 더 자주 접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리니시아
25/09/18 23:2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간혹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65 [일반] 추진중인 3차상법개정, 자사주소각 그리고 우선주 [37] 퀘이샤9566 25/10/23 9566 2
105264 [정치] 갤럽 조사상 처음으로 주식 투자 선호 비율이 부동산 투자를 앞질렀습니다. [294] 마라떡보끼14002 25/10/23 14002 0
105263 [일반] 전공의도 근로자…대법 "40시간 초과근무 수당줘야" [193] 신정상화12943 25/10/22 12943 2
105262 [일반]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의 저지대 통합 [2] 계층방정5315 25/10/22 5315 5
105261 [일반] 강의 특성에 따라 4대문명이 달라진 이유 [29] VictoryFood10570 25/10/22 10570 29
105260 [일반] 유혹하고 돈 버는 구조 [14] 신정상화8774 25/10/22 8774 2
105259 [일반] 캄보디아 청년, 다수는 그저 또 다른 가해자인가? [81] 신정상화10982 25/10/22 10982 7
105258 [정치] “수십억 아파트 갭투자하고 국민은 안된다?” 정부, 여론 들끓자 전문가 불러 ‘당부’ [부동산360] [424] petrus16241 25/10/22 16241 0
105257 [정치] 조희대의 대법원, 12월 3일 계엄 따른 조치 논의됐나? [462] 빼사스15275 25/10/21 15275 0
105256 [정치] 김건희 이배용과 함께 경회루에서? [18] 삭제됨5791 25/10/21 5791 0
105255 [정치] 돈을 번 아파트, 돈을 못 번 아파트 분석 [45] 바람돌돌이9682 25/10/21 9682 0
105254 [일반] 뉴미디어 시대, 중세랜드의 현대인 [11] meson5255 25/10/21 5255 0
105253 [일반] "트럼프, 젤렌스키에 지도 던지며 압박에 욕설까지" [83] 철판닭갈비13183 25/10/21 13183 11
105252 [정치] “한두 잔 마신” 지귀연 술자리 170만원…대법 감사관 “징계사유 안 돼” [129] 빼사스13970 25/10/21 13970 0
105251 [정치] 이 대통령 '냉부해' 논란 보도, 명태균·김건희 공천 개입 보도보다 2배 많았다 [29] lightstone6953 25/10/21 6953 0
105250 [정치] 부읽남 국토부차관에게 듣는 부동산 썰 [258] 문재인대통령15084 25/10/21 15084 0
105249 [정치] 검찰청 ‘연어 술파티’ 의혹 당일, 김성태 ‘페트병에 술 준비’ 지시 녹취 확인 [112] 베라히10923 25/10/20 10923 0
105248 [일반] 놓치고 뒤늦게 후회하며 쓰는 SMR주 이야기(겉핥기) [30] 깃털달린뱀5523 25/10/20 5523 4
105247 [일반] 나를 스쳐지나간 불꽃 [2] 내꿈은세계정복3678 25/10/20 3678 26
105246 [일반] (주식 관련 글이 올라오길래) 20년 시장생존자의 의견 [21] 퀘이샤5869 25/10/20 5869 11
105245 [일반] 이 시국에 집 팔고 주식에 몰빵한 썰 [154] 휘군13399 25/10/20 13399 23
105244 [일반] <어쩔수가없다> - 기묘한 합리화. (강스포) [10] aDayInTheLife4749 25/10/19 4749 2
105243 [정치] 정부가 보유세 손대려나 봅니다 [470] 비브라늄22180 25/10/19 2218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