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24 00:10:51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944755492
Subject [일반] <미세리코르디아> - 욕망이 그려내는 막장극. (노스포)
제레미는 오랜만에 마을로 돌아옵니다. 그런데, 이 사람, 딱히 환영받는 느낌은 아닙니다. 미망인의 부탁으로 하루 머무르다가 하루가 며칠이 되고, 일주일 동안 남게됩니다. 그리고, 그 일주일 동안, 실종 사건이 벌어집니다.

영화 <미세리코르디아>는 인물 관계도라는 측면에서, '막장극' 혹은 '개판'이라는 표현이 적절합니다. 혹은, 그거보다 훨씬 센 표현이 필요하든가. 다만, 한 두 장면 정도, 명확한 관계도를 그리고 나면, 나머지 장면, 특히 과거에 대해서는 많은 부분이 상상에 의존하는 경향도 보입니다. 그러니까, 머릿속에서 자동 재생되는 장면들이 훨씬 위험(?)한 장면들이 많다는 뜻입니다.

영화는 상당히 '스릴러' 적이면서도, 묘하게 블랙코미디 같습니다. 막 되게 빵터지는 장면은 없으면서도, 킥킥거리는 장면, 곱씹으면 묘하게 이상한 장면들이 나오는 영화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소재적인 측면에서 여러모로 캡사이신을 때려붓는 영화기도 합니다.

동시에, 영화는 상당히 기묘한 이야기를 꺼내놓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저는 이상하게도, <팬텀 스레드>가 생각났어요.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계약(혹은 그 반대)을 다루는 <팬텀 스레드>와 달리, 헌신과 사랑, 오해와 이해가 기묘하게 교차되는 영화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어디까지 알고 있느냐'와, '그럼에도 불구하고'가 교차하는 영화라고 해야할까요.

영화가 그렇기에 상당히 복합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그러니까, 영화 자체의 호불호에 대한 복합성이라기보단, 영화가 기묘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거든요.

저는, 개인적으로 이 영화가 욕망에 대한 영화라고 생각해요. 그러니까, 정확하게는 욕망의 이중성에 대한 영화요. 욕망이라는 건, 위험한 동시에, 어리석은 것이라는 생각이 들거든요. 영화의 위태한 측면은 욕망이 내재하고 있는 위험성에 대한 이야기이고, 또 영화의 피식 웃게 만드는 블랙 코미디는 욕망이 가진 어리석은 측면이 아닐까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욕망이 이 두 가지를 다 가지고 있고, 영화는 그 욕망을 따라가기에, 두 측면이 모두 드러난 영화는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주체와 객체가 혼동되고, 선후관계가 뒤바뀌는 욕망의 막장극으로써 이 영화를 바라보게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24 14:57
수정 아이콘
따로 저장해 놓은 영화인데 감상평 감사합니다. 보러 가야겠습니다.
aDayInTheLife
25/07/24 15:51
수정 아이콘
재밌게 보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093 [정치] 어느정도까지 평등해야 만족하시나요? [167] 수지짜응14294 25/09/28 14294 0
105092 [일반] 교황의 용병 [3] 식별6090 25/09/28 6090 12
105091 [정치] 한강버스, 내일부터 한 달간 운항 중단..."성능 안정화 점검" [130] 동굴곰11837 25/09/28 11837 0
105090 [일반] [팝송] 에이바 맥스 새 앨범 "Don't Click Play" [2] 김치찌개5888 25/09/28 5888 0
105089 [일반] 올해도 불꽃놀이를 보고 왔습니다 [14] 及時雨7730 25/09/27 7730 10
105088 [정치] 좌우 양쪽에서 까이고 있는 권력의 변방 3대장 [267] 유동닉으로14993 25/09/27 14993 0
105087 [일반] 중세 용병들의 일상생활을 알아보자 [10] 식별5027 25/09/27 5027 8
105086 [일반] 그래서 XXX는 영포티 브랜드인가요? [70] 카레맛똥10317 25/09/27 10317 5
105085 [정치] 민주국가는 성장을 못하는가 (2/3) 한국의 성장에 독재는 필수였나 [72] 사부작5191 25/09/27 5191 0
105084 [일반] 국가 전산망이 멈추었습니다. [58] 군림천하8750 25/09/27 8750 7
105083 [일반] 겪어보기 전엔 모르는 세계 – 부모되기 [18] 굄성3735 25/09/27 3735 18
105082 [정치] 종교개혁의 함의: 정치적 패배와 문화적 승리 [11] 슈테판4361 25/09/27 4361 0
105081 [정치] 2009년 국정원 심리전단이 하던 일 [227] 바람돌돌이16094 25/09/27 16094 0
105080 [정치] 영포티 타령, 인신공격의 최저선 [624] 딕시32078 25/09/27 32078 0
105079 [일반] 간짜장 썰 [19] singularian8313 25/09/26 8313 15
105078 [정치] 민주국가는 경제성장을 못하는가 (1/3) 독재를 경제성장론이 다뤄온 역사 [99] 사부작8407 25/09/26 8407 0
105077 [일반] 한국인은 왜 영어를 잘 못할까? [119] Quantumwk9220 25/09/26 9220 26
105076 [일반] 이탈리아의 영국인 용병대장, 존 호크우드 [2] 식별5107 25/09/26 5107 10
105075 [정치] 이쯤에서 보는 미일투자-관세합의각서 [165] DpnI14377 25/09/26 14377 0
105074 [정치] WSJ) 대미투자액 3500억불=>5500억불에 가까워질 수 있다 [543] 전기쥐23764 25/09/26 23764 0
105073 [정치] 영포티가 패션(브랜드)에만 적용되지 않는 이유 [168] 수지짜응12046 25/09/26 12046 0
105072 [정치] 키보드로는 영포티를 치지만 취향은 솔직한 분들에 대하여 [174] 유동닉으로13978 25/09/25 13978 0
105070 [정치] (재수정) 국힘, 정부조직법 등 4개 법안 대상 필리버스터 [36] 다크서클팬더9715 25/09/25 971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