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8/05 15:46
    
        	      
	 이게 이렇게까지 갈 일인가 싶다가도,
 소액이라도 인버스 들어가길 잘했다는 생각과 함께 안도하다가도... 국장 수익률 보고 있으면 피눈물이 엉엉 
	24/08/05 16:22
    
        	      
	 실물 경제는 망하는데 집값만 오르는다는건 환상의 이야기일 뿐이죠.
 올해 주담대가 30조가 증가했다던데 오늘 주가 하락이 일시적인 현상인건지 아니면 실물 경제가 망해가는데 오르는 집값이 문제인건지, 무엇이 잘못됐는지는 시간이 말해주겠죠. 
	24/08/05 16:50
    
        	      
	 집값은 정책이 만들어낸 괴물이 되어가고 있죠... 앞으로 정책이 부동산을 더 키울지 모르겠으나 확실한건 이미 임계상태에 놓인 부동산을 계속 키우다간 더 큰 하락이 시작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4/08/05 17:10
    
        	      
	 코로나때는 실물경제가 흥해서 주가가 수직상승 한게 아니라는걸 생각해보시면.... 
 실물 경제랑 모든게 꼭 같이 가진 않죠.. 심리적인 요인 + 정책적인 요인 + 기타 등등이 복합적으로 나오는 거다보니.. 지금 실제로 서울을 필두로 분당 - 수지 쭉으로 이어지는 라인들 집값이 올해 생각보다 엄청 많이 오르고 거래량도 쭉쭉 느는 상태라.. 여기서 세계경제 폭락 빔을 맞고 다시 내려갈수도 있지만 반대로 '금리 인하' 빔을 맞아서 더 달릴수도 있습니다.. 
	24/08/05 18:18
    
        	      
	 예시가 잘못된 것 같네요.
 코로나때 기업들 실적들은 매우 좋았습니다. 그러니 주가가 오르는게 당연했고요. 그 실적들이 빚으로 만들어진 것이 문제였고 그 빚이 꺼진 이후 자동차를 제외한 대다수 업종들이 힘들어 하고 있고요. 주식이든 주택이든 좋으면 오르고 나쁘면 떨어진다는게 제 의견입니다. 그런데 지금 이렇게 안 좋은 상황에서 30조 빚만으로 오른거라면 금리 인하 레버가 동작하지 않은 가능성도 있다는 것입니다. 
	24/08/05 16:5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855736
 ['최악의 하루' 코스피 9% 코스닥 11% 폭락…시총 235조원 증발(종합)] 2024.08.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