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3/11 19:15:12
Name 매번같은
Subject [일반] 수원 거주민들의 이목을 끌고 있는 최근 1주 간 사건 3개 (수정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625045?sid=102

기사에는 장소가 정확히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화성에 있는 "수원대" 연못에서 50대 여성으로 추정되는 시신이 발견되었다는 기사입니다.
시신 발견일자는 [3월 5일]이고. 유서가 발견되었다고 하기에 사건성은 없는걸로 보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345642?sid=102

바로 다음 날 나온 기사입니다.
수원 광교신도시 공터 배수로에서 [3월 6일] 나체 상태의 50대 여성 시신이 발견되었다는 내용입니다.
속옷을 비롯한 옷가지가 시신 주변에서 발견되었답니다.
국과수에 부검을 맡기기 전 눈으로 봤을 때 멍자국이 발견되어 타살 쪽으로도 조사를 한다고 하네요.
후속기사는 아직 나오지 않은듯 하네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7402750?sid=102

오늘 [3월 11일]낮에 나온 기사입니다.
두번째 사건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영통구 원천저수지에서 오늘 오전 10시 경 20대 여성으로 추정되는 시신이 발견되었습니다.
시신에서 외상 등 타살 가능성을 보이는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하지만 아직 사건 초기라 뭐라고 확정할 수는 없어보이네요.

---

첫번째 사건은 자살 가능성이 농후해보이고
두번째 사건은 타살 가능성이 농후해보이나 아직 알 수 없고
오늘 사건은 아직 뭐라고 짐작조차 할 수 없습니다.

첫번째 사건은 수원이 아닌 화성시 수원대에서 일어난 사건이고 타살 가능성 적어보이지만
1주일간 3건의 시신 발견이 이어지다보니 수원 영통구에 사는 지인이 걱정을 좀 하시더군요.

타살로 판단된 사건이 있다면 조속히 범인이 잡혔으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3/11 19:23
수정 아이콘
수원대 연못이 사람 빠져죽을만한 깊이가 아닐텐데
24/03/11 19:31
수정 아이콘
광교가 연쇄살인이 일어나기도 시체 유기하기도 어려운곳인데 굳이? 라는 생각이 들지만 거주민 입장에선 불안하긴하네요
매번같은
24/03/11 20:29
수정 아이콘
아직 정보가 부족하지만 기사 나온 것만으로 겉핥기 식으로 생각하면 "연쇄" 붙을 사건들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근처 거주민들 중 이런 사건에 불안해하실 분들은 꽤 있을거 같더군요.
24/03/11 20:00
수정 아이콘
2번째 3번째 사건 모두 광교인가요???

원천저수지면 광교한복판아닌가요???
매번같은
24/03/11 20:05
수정 아이콘
제가 수원 지리를 전혀 몰라 영통구 저 저수지가 광교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첫번째 사건은 화성입니다. 지도에서 보니 수원과 그리 멀지는 않지만요.
표팔이
24/03/11 21:12
수정 아이콘
흔히 얘기하는 광교호수공원이 저기입니다
DownTeamisDown
24/03/11 20:29
수정 아이콘
광교 한복판 이긴 한데 저수지가 꽤 커서 심야라면 사람들눈 피할순 있을것 같습니다.
표팔이
24/03/11 21:11
수정 아이콘
원천저수지 저기는 아예 12시 넘어가는 심야 아니면 산책하는사람들 바글바글합니다
DownTeamisDown
24/03/11 21:59
수정 아이콘
예 제가 말하는 심야가 12~5시정도?
탑클라우드
24/03/11 20:05
수정 아이콘
부모님 수원 사시는데 괜시리 걱정되네요
인간실격
24/03/11 20:19
수정 아이콘
수원대는 완전 깡촌이고 보통 수원이라 할 때 생각하는 수원역 인근이랑 영통 광교쪽은 엄청난 분위기 차이가 있죠. 영등포랑 서초 정도?
원천저수지 부근은 워낙 통행인이 많은 곳이라 타살 가능성은 클 것 같지 않은데...불안하긴 하겠지만요.
No.99 AaronJudge
24/03/11 20:25
수정 아이콘
엥…….?
이또한다지나가리
24/03/11 20:57
수정 아이콘
원천저수지 근처 사는데 걱정이네요..
순둥이
24/03/11 21:25
수정 아이콘
두번째 위치는 우발적인 사건이 나기엔 좀 구석지고 사람이 다니지 않는 곳이라 살해 후 저기에 유기했을 가믕성이 높지 않나 싶네요. 두번째 위치 근처라서 소식 듣고 검샥하니 수원대 사건 나와서 뭐야 했는데 오늘 또 나왔군요
김재규열사
24/03/11 22:09
수정 아이콘
예전에 수원에 살았는데 하필 강호순 사건이 터진 때라서 불안한 마음을 안고 하루하루를 보냈던 추억이 떠오르네요.
드아아
24/03/12 05:29
수정 아이콘
뭐 호수공원은 17년도에도 자살 많이 했었죠. 수원 부시장하던 분이었나? 그 분 투신하고나서 한달새 계속 이어져서 기사화 됐던것도 기억나는군요
타카이
24/03/12 06:40
수정 아이콘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곳에 조금 외진 곳에서 범행이 있으면
오히려 용의자 단정 및 추적이 쉽지 않죠
24/03/12 09:05
수정 아이콘
광교면 수원 중심가 아닌가 덜덜..
24/03/12 10:59
수정 아이콘
수원토박이 와이프말 들어보니 원래 광교호수공원이라고 불리는 원천저수지가 시체 유기로 말이 많은 곳이었다고..
퀀텀리프
24/03/13 07:57
수정 아이콘
화성..
매번같은
24/03/13 08:11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821706?sid=102
제가 원문에 적은 타살 가능성이 농후하다 본 두번째 사건도 경찰이 사건성이 없다고 결론 내렸군요. 사망자 동선을 따라 CCTV를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이 추운 날 밤늦게 혼자서 길거리를 돌아다니다가 마지막에는 저체온증으로 죽었다고 보고 있군요. 저체온증이 지속되면 오히려 옷을 벗어버리는 경우도 있기에 알몸으로 죽어있는게 이상한게 아니라고...허덜덜.
이게대체
24/03/15 10:27
수정 아이콘
친지가 그쪽에 살고 있긴 한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182 [일반] '브로콜리 너마저'와 기억의 미화. [9] aDayInTheLife6421 24/03/25 6421 5
101181 [일반] 탕수육 부먹파, 찍먹파의 성격을 통계 분석해 보았습니다. [51] 인생을살아주세요7706 24/03/25 7706 71
101179 [일반] 한국,중국 마트 물가 비교 [49] 불쌍한오빠9446 24/03/25 9446 7
101177 [일반] 맥주의 배신? [28] 지그제프10947 24/03/24 10947 2
101175 [일반] [스포있음] 천만 돌파 기념 천만관객에 안들어가는 파묘 관객의 후기 [17] Dončić8489 24/03/24 8489 8
101174 [일반] [팝송] 아리아나 그란데 새 앨범 "eternal sunshine" [2] 김치찌개4959 24/03/24 4959 4
101173 [일반] 한 아이의 아빠가 되었습니다. [143] 천우희9459 24/03/23 9459 109
101172 [일반] 모스크바 콘서트장에서 대규모 총격테러 발생 [36] 복타르12659 24/03/23 12659 0
101170 [일반] 대한민국은 도덕사회이다. [58] 사람되고싶다11720 24/03/22 11720 30
101168 [일반] 올해 서울광장서 6월 1일 시민 책읽기 행사 예정 [46] 라이언 덕후9702 24/03/21 9702 1
101167 [일반] 러닝시 두가지만 조심해도 덜 아프게 뛸수 있다.JPG [43]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2956 24/03/21 12956 18
101166 [일반] 이번에 바뀐 성범죄 대법원 판례 논란 [94] 실제상황입니다13243 24/03/21 13243 9
101164 [일반] 이건 피지알러들을 위한 애니인가..? 스파이 패밀리 코드: 화이트 감상(스포 조금?) [28] 대장햄토리6682 24/03/21 6682 3
101163 [일반] 박노자가 말하는 남한이 사라진 가상 현대사 [102] 버들소리11509 24/03/20 11509 2
101162 [일반] 참으로 안 '이지'했던 LE SSERAFIM 'EASY'를 촬영해 봤습니다. :) [14] 메존일각5091 24/03/20 5091 9
101160 [일반] 삼성전자 990 프로 4TB 42.8만 플스 5 호환 O 떴습니다 [55] SAS Tony Parker 8617 24/03/20 8617 1
101159 [일반] [역사] 가솔린차가 전기차를 이긴 이유 / 자동차의 역사 [35] Fig.19668 24/03/19 9668 33
101158 [일반] 일러스트레이터 이노마타 무츠미 사망 [17] Myoi Mina 31974 24/03/19 31974 1
101157 [일반] [번역글] 추도:토리야마 선생 희대의 혁명아가 걸어온 진화의 길 [13] Starscream5745 24/03/19 5745 8
101156 [일반] 자애와, 동정과, 역겨움을 담아 부르는 ‘가여운 것들’ (스포일러 주의!) [10] mayuri5358 24/03/19 5358 2
101154 [일반] 평범한 개인 투자자는 주식을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가? [76] 사람되고싶다11230 24/03/18 11230 15
101152 [일반] 해외직구는 좋지만... 역차별 받는 국내 수입업자들? [123] 아서스18010 24/03/18 18010 6
101151 [일반] 슬램덩크 극장판을 얼마전에야 봤습니다. [35] rukawa7384 24/03/17 738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