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11/07 10:47:45
Name 인간흑인대머리남캐
File #1 sf6kid.jpg (1.22 MB), Download : 559
Link #1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reetfighter&no=786517&page=1
Subject [기타] 번역) 스트리트 파이터6는 애들 게임인가? (수정됨)




얼마전에 열린 스파6의 올해 마지막 오프라인 투어 대회에서 14세 소년 히나오가 우승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히나오 뿐만 아니라 동년배인 블라즈, 더 어린 크라이메 등 아직 고등학생도 안된 친구들이 프로씬에서 경이적인 활약을 하고 있는 걸 보고

서양권 커뮤니티 일부에서는 스파6가 쉬운 게임이어서 애들도 경력20년의 선수들을 제치고 막 성과내는거다 스파3서드스트라이크 같은 게임은 얼라들은 손도 못댄다 따위의 의견이 화제가 되며 일부 지지를 받고 있는데

그에 대해 최상위권 스파6 선수 중 하나인 브로스키가 자기 의견을 얘기하는 모습입니다. 요약하자면 대부분의 인기격겜은 이미 어린 10대에 두각을 나타낸 영재가 늘 존재해왔으며 스파6가 특이한게 아니다입니다. 저기선 2d 격겜만 예로 들었지만 3d로 가면 뭐 철권 울산, 버파 꼬마아키라도 있지요

서양 커뮤니티 일부애들 말에 따르면 10살 이전에 프로 할 수 있고 10대에도 세계기전 우승할 수 있는 바둑은 아주아주 쉬운 게임일듯 크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레몬물
+ 25/11/07 11:06
수정 아이콘
나이가 젊어도 잘 할 수 있는건 그냥 그런 특징이 있어서지, 너 만만하거나 쉬운 것의 문제가 아니죠. 보통 인문학이나 법학, 의학 같은 분야는 지식 축적이 중요하다 보니 그러기 힘들지만 수학은 전혀 아니죠. 가우스, 갈루아, 아벨, 라마누잔 같은 이들이 젊은 나이에 보였던 능력과 성취는 무시무시한 수준이죠. 근데 수학은 자연과학의 왕이고 결국 학문의 왕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말이에요.
+ 25/11/07 11:21
수정 아이콘
젊은 친구들이 많이 유입되는 환경이라면 두각을 드러내는 영재는 나오게 돼있죠. 지금 스파는 그리고 격겜에서 모든 파이를 잠식하는 수준이니까요
마카롱
+ 25/11/07 11:25
수정 아이콘
결국은 이 게임을 해서 먹고 살 수 있느냐가 문제 같습니다.
현재 스파6 대회에서 입상한 어린 선수의 수가 증가한 것은 맞고, 그 원인이 게임 자체 보다는 상금이 늘어난 것이 더 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티아라멘츠
+ 25/11/07 11:49
수정 아이콘
사실 그냥 아마추어 참가자 수부터가 압도적입니다
어떤 칭찬이나 과장 없이 지금 격투게임 이벤트는 스파가 흥행캐리하는 수준이라
+ 25/11/07 11:38
수정 아이콘
사실 영재들이 유입될 매력이 있느냐가 문제지, 어떤분야든간에 영재들은 언제나 어른들을 쥐어패고 다녔죠.
Your Star
+ 25/11/07 11:43
수정 아이콘
신규 유입이 많다는 소린가요? 엄청 환영할 일이네요. 젊은 층이 많을수록 젊은 층이 우승할 확률이 높아지니까요.

유입이 많아지고, 2차 창작이 많아지고, 격투 게임 언급 횟수가 많아지고, 선순환이다.
모나크모나크
+ 25/11/07 11:44
수정 아이콘
이야.. 지금의 원로 취급 받는 격겜 레전드들은 영재가 많네요;;; 큰 형 다이고도 영재였어..
티아라멘츠
+ 25/11/07 11:49
수정 아이콘
나이든 사람들이 계속 해먹는 상황이라면 이 판에 유입이 끊긴 게 아닌가부터 의심해봐야하죠
모나크모나크
+ 25/11/07 11:58
수정 아이콘
듣고 보니 정말 이게 정답이네요
철권.. 힘내라
+ 25/11/07 12:00
수정 아이콘
이건 엄청나게 긍정적인 이야기죠. 지금 롤판을 보면...
새파란 신성이 레전드들을 개박살내야 하는데
루크레티아
+ 25/11/07 12:01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몰라도 반사신경이나 손의 움직임이 제일 중요한 격겜에서 늙다리들이 애들보다 더 잘할 이유가 얼마나 있다고 크크크
젊은 애들을 쥐어 패는 토키도나 우메하라가 이상한거지 지는게 정상인거죠
티아라멘츠
+ 25/11/07 12:03
수정 아이콘
토키도 형조차도 대공을 못 치고 임팩트 반응을 못 해서 떨어지는 거 보면 아.. 형 늙었구나..
어린이들이 토키도를 만나면 아 행님 행님은 늙었잖아요 이거 반응 못하잖 하고 대놓고 멸시 플레이 하는 경우가 종종 보입니다 크크크크
OcularImplants
+ 25/11/07 12:05
수정 아이콘
이건 롤도 비슷하죠 크크크
+ 25/11/07 12:40
수정 아이콘
격겜은 만17세 나이 제한이 없나보군요
+ 25/11/07 12:56
수정 아이콘
장르의 다양화가 되었으면 좋겠어서 대환영입니다.

고인물이 다해먹는 장르면 이미 죽어가는 게임이 아닐까 싶습니다.
불대가리
+ 25/11/07 12: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철권은 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울산도 철권 10년넘게하고나서야 대회 두각나타내기 시작했어요

이건 제 생각인데 유스풀 차이가 아니라 게임특성때문에 머슬메모리에 때려넣어아햐는 양이 철권이 다른 격겜에비해 너무 많아서라고 생각해요
티아라멘츠
+ 25/11/07 13:23
수정 아이콘
에이 그것도 유스풀차이죠
압도적 재능들이 쏟아져들어오면 버티는게임 드뭅니다
파키스탄 정도의 국가만 추가되어도 갑자기 대지각변동이 일어난게 철권이라
스파6은 그걸 전세계에서 하고 있는거고
보통 무슨 게임만 특별하다는 그것보단 그냥 인기가 덜해서..
불대가리
+ 25/11/07 13:46
수정 아이콘
근데 말씀하신 파키스탄 정도의 국가 선수들이 다 철권 10년넘게하고 대회 두각나타낸건데요

철권이 인기가 없고 파이가 작은것도 사실이지만 주장하시는 근거로는 부족하네요
티아라멘츠
+ 25/11/07 13:50
수정 아이콘
음 솔직히 철권만 게임성이 특별하게 다르단거 자체를 못믿겠어요. 그것보단 그냥 인재가 없을 확률이 훨씬 더 높다고 생각해요
불대가리
+ 25/11/07 13:57
수정 아이콘
네 잘모르겠는데 믿을수가없으시다는걸로 알고 지나가겠습니다
티아라멘츠
+ 25/11/07 14:11
수정 아이콘
아랫분 설명이 있긴하네용
인간흑인대머리남캐
+ 25/11/07 14:09
수정 아이콘
아슬란은 이미 13살때부터 국내 대회 우승하고 다녔습니다. 국제 대회 데뷔가 늦은건 가정상황 + 파키스탄이란 국가 특성 때문이죠. 당시 아슬란이 파키스탄엔 자기보다 더 잘하는 애들이 많다고 했지요. 아슬란이 길 뚫고 줄줄이 파키스탄 친구들이 활약하게 된거고요. 울산도 이미 학생때부터 10년 넘게한 고수들 다 패고 다닌 영재입니다.
불대가리
+ 25/11/07 15:03
수정 아이콘
저 손철권 오래해서 울고때부터 봤는데 울산이 울고시절에 블라즈같은 재능이었냐 그러면 철권하는 사람들 다 웃을겁니다. 아예 틀린사실을 주장하고 계십니다. 동네에서 고수들 패고다닌거랑 아슬란이 13세에 파키자국대회 우승한거를 블라즈에 비교하시는건 본인이 생각해도 너무 급이 안 맞다고생각하지 않으신가요. 베트남 롤 2부리그 우승한 선수를 월즈 우승할 재능에 비교하신건데

말씀하신 사실이
스파보다 철권이 대회성적을 내는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제 주장에 대한 반론으로는 부족합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 25/11/07 17:14
수정 아이콘
아슬란-13살 GMC 2k10 우승, 울산-18살 ATL 시즌3 준우승
뭐 베트남 2부리그 우승이라도 그게 13살이면 엄청 대단하다고 봅니다요. 우리나라 13살 영재가 베트남 2부리그 우승할 수 있냐하면 흠... 근데 아슬란은 실제로 해냈고요, 울산은 심지어 이기고 올라간 상대중에 페이커가 있었져.. 이것만으로도 철권도 다른 격겜처럼 재능이 짬을 빠르게 이길 수 있다는 근거로 충분하다고 봅니다. 그 반대 근거는 아직 못들어봤네여
크랭크렁
+ 25/11/07 13:51
수정 아이콘
롤도 한참 한국에서 솔랭 붐일때는 신인들 우후죽순처럼 나오다가

솔랭 점차 시들어지니 어느새 기존 고인물들이 해먹는 판으로 갔죠

어린데 잘하는 선수가 있는 판이 건강하다고 봅니다
+ 25/11/07 15:16
수정 아이콘
인기있는 게임의 특성 아닐까요. 인기없는 게임은 어린 학생들이 들어올 유인이 없어요.
꿈꾸는드래곤
+ 25/11/07 16:46
수정 아이콘
제가 롤모델로 삼던 격겜 선수가 나이가 들어 반응속도보다 패턴위주 플레이어가 됐는데 젊은 선수가 압도적인 반응속도를 자랑하며 1위먹는거보면 확실히 젊은게 참 좋긴합니다.
+ 25/11/07 16: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철권은 머슬메모리도 맞고, 유스풀도 맞습니다.
"모르면 죽는"게 너무 많으니 신규인원들이 유입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그나마 지금은 재정적이유로는 나은편입니다.
최소한 게임샀다가 문제생기면 반품하면 되기도 하고.
좀 배우려고 들어와서 300원 넣고 원콤패턴원콤패턴해서 20초만에 게임 끝나면 그 게임 안하죠....

스파6은 그렇게 되지 않기위해 각고의 노력을 했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888 [LOL] 도란과 퍼펙트, 마지막에 웃는 사람은 누가 될 것인가. [10] 작심만자531 25/11/07 531 0
81887 [LOL] 2026 시즌을 위해 1억 위안(한화 약 200억)을 준비하겠다는 징동 [74] kapH1772 25/11/07 1772 0
81886 [모바일] 우마무스메 관련 특허침해소송 화해로 종료 아네모이665 25/11/07 665 0
81885 [모바일] 저도 카제나 후기입니다. [5] 리테712 25/11/07 712 1
81884 [모바일] 겜한분이 쓰는 카제나 이야기 [29] 류지나1790 25/11/07 1790 6
81883 [기타] 번역) 스트리트 파이터6는 애들 게임인가? [28] 인간흑인대머리남캐1971 25/11/07 1971 0
81882 [LOL] 디플러스 기아 사옥 이전하나요? [15] 햇빛비추는날5679 25/11/07 5679 0
81881 [LOL] 당신이 월즈 결승의 감독이라면 밴픽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70] 능숙한문제해결사8400 25/11/06 8400 1
81880 [LOL] LCK컵에 ‘슈퍼 위크’ 도입된다…정규시즌은 아시안게임으로 4라운드 축소 운영 [57] telracScarlet8271 25/11/06 8271 0
81879 [LOL] 롤을 보는것이 너무 고통스럽다... [163] 호루라기장인10504 25/11/06 10504 23
81878 [LOL] 스위스 스테이지 도입 이후 LPL팀들의 월즈 마지막 경기들 [69] Butternut Squash12501 25/11/05 12501 2
81877 [LOL] 월즈 이벤트 참여는 다들 하셨나요? [22] 능숙한문제해결사9213 25/11/04 9213 3
81876 [LOL] 피넛이 롤드컵에 남긴 불멸의 징크스 [24] Arcturus10595 25/11/04 10595 6
81875 [LOL] 투닥거리더라도 좀 더 유쾌하게! [30] Janzisuka11914 25/11/04 11914 1
81874 [LOL] 월즈 플레이 하이라이트 10선 [10] 김삼관8990 25/11/04 8990 1
81873 [LOL] KT가 코인토스 승리, 1세트 블루진영 선택 [56] 반니스텔루이12523 25/11/04 12523 6
81872 [LOL] G2의 충격적인 스크림 데이터 [35] 라면10486 25/11/04 10486 0
81870 [LOL] 쵸비 응원글 [42] 하늘의이름7941 25/11/03 7941 56
81869 [LOL] T1-AL 전 문도픽의 비밀 [127] FIJI12799 25/11/03 12799 13
81868 2025 LOL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 - 우승팀 예측 이벤트 [332] 及時雨4220 25/11/03 4220 8
81866 [LOL] 신화와 동화, 이야기의 결말을 향해. [11] aDayInTheLife3364 25/11/03 3364 3
81865 [LOL] 그 팀은 언제나 노력했으나 나는 그렇지 못했던 이야기 [39] Janzisuka6775 25/11/03 6775 33
81864 [LOL] T1 VS KT 결승전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229] 미카11869 25/11/03 11869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