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4/10/29 15:27:30
Name EnergyFlow
File #1 dadd6192c35042201fb62745a8116e42fc882421.png (2.33 MB), Download : 257
Link #1 인터넷
Subject [LOL] 2025년부터 새로 생기는 LCK CUP 진행방식 설명 (수정됨)


아래 글 영상에 나온 내용이지만 저처럼 영상을 보기 어려운 환경인 분들이 계실 것 같아서 그림으로 된 걸 퍼왔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네~ 다음
24/10/29 15:31
수정 아이콘
저게 이제 LCK 정규리그는 아니고 컵대회라는게 다행이라면 다행이랄까..
정규시즌에서 [내가 잘했는데 플인?] 이러면 그냥 커뮤 다터질듯..
DownTeamisDown
24/10/29 15:32
수정 아이콘
그래서 역으로 컵대회에서 이런방식을 쓰는거라고 봅니다.
정규에서 이랬으면 감당이 안되겠지만 컵대회라 신선한거 해보는거죠
수리검
24/10/29 15:38
수정 아이콘
무슨 올스타전에서나 할 법한 포멧을 ..

컵 대회/신규 국제대회 비중이 어느 정도 일지는 모르겠지만 전 너무 별로네요
두드리짱
24/10/29 15:39
수정 아이콘
공식기록이 아니랍니다.
이벤트전!
수리검
24/10/29 15:42
수정 아이콘
그럼 뭐 ..

이벤트전은 홍진호도 우승하는데
컨셉 좀 잡아도 +_+
사나없이사나마나
24/10/29 16:20
수정 아이콘
공식대회는 맞으니 공식기록도 맞죠, 다만 LCK 기록에 포함이 안 되는 거죠. LCK 기록에 월즈 기록이 포함 안 되는 것처럼요.
엔타이어
24/10/29 15:39
수정 아이콘
3월 국제대회의 위상은 과연 어떻게 될까요. 그야말로 이벤트전 느낌인데, 사우디컵과 MSI의 중간 정도 될까요.
24/10/29 15:41
수정 아이콘
이거 예전에 프로리그 1라운드에서 탈락인가 이후 1년내내 못나와서 해맸던 플러스팀 생각이...
로피탈
24/10/29 16:06
수정 아이콘
그거랑은 좀 다르죠
그냥 LCK컵 플인만 참가 못할 뿐이니까요
24/10/29 16:10
수정 아이콘
앗 그렇군요 그때 생각나서 순간 헉해서..크크
24/10/29 15:43
수정 아이콘
5승하고 플인직행 / 5패했는데 플인직행 쌉가능
이런 유연하고 도파민 넘치는 개편 두손수발 다 들고 환영합니다.
박민하
24/10/29 18:46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인생한방저도대환영
24/10/29 15:44
수정 아이콘
?? : 아니 한화 T1 잡고 나머지에게 다 지면 어떡하나고!!!!!

?? : 2승 3패면 밥값 한 거 아님?
김티모
24/10/29 15:47
수정 아이콘
2025년 멤버는 미드 하나밖에 정해지지 않았지만 팬들의 한결같은 믿음...
리니어
24/10/29 15:44
수정 아이콘
윤민섭 기자님 : LCK 컵에서의 기록(누적 킬 등)은 LCK 공식 기록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24/10/29 15:48
수정 아이콘
그럼 한화랑 젠지팀으로 나뉘는데 스토브 리그의 결과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화나 젠지가 택할 첫번째 팀도 궁금하네요.
오타니
24/10/29 15:56
수정 아이콘
무조건 T1이죠. 내가 택하면 나는 상대하지 않고, 든든한 우리팀 되는건데.
파고들어라
24/10/29 16:02
수정 아이콘
심지어 하위팀 패기 전문가라 든든한 점수 요원이겠네요.
KT 같은 의적형 팀이 제일 계륵이지 싶은데...
가져왔는데 상대 하위팀에게 점수 상납 -> 불탐
걸렀는데 우리 상위팀 잡고 득점 -> 불탐
수리검
24/10/29 15:49
수정 아이콘
직전 시즌 이라는게
전년도 서머인가요? 아니면 전년도 컵 대회인가요?

후자라면 올해는 누가 팀장 ..?
나른한우주인
24/10/29 15:50
수정 아이콘
직전대회면 전년도 서머일거 같은데요.
EnergyFlow
24/10/29 15:50
수정 아이콘
현재 규칙은 전년도 서머로 되어있습니다
수리검
24/10/29 15:57
수정 아이콘
두분 감사합니다
오타니
24/10/29 16:01
수정 아이콘
딴건 모르겠고,
[농심,브리온,DRX] : 오?!! [우리중에 승자조]에 가는 팀이 있다고??!!!!
24/10/29 16:04
수정 아이콘
아니 저게 공식기록이 아니면, 뭐하러 하는겨..
오타니
24/10/29 16:05
수정 아이콘
신설국제대회 참가하여 우승 + 그랜드슬램을 위한 첫걸음
롤드컵 선발전도 공식기록 아님
네~ 다음
24/10/29 16:22
수정 아이콘
누군가는 뉴 골든로드를 도전해야하니까..
24/10/29 16:22
수정 아이콘
재미와 수익을 위해서죠.
프로 스포츠가 존재하는 이유 그 자체입니다.
24/10/29 16:53
수정 아이콘
FA컵 같은 개념 아닌가요?
24/10/29 17:02
수정 아이콘
fa컵은 공식기록이니깐요. 저걸 하는건 이해하겠는데, 왜 공식기록으로 인정을 안해주는지는 의문이네요
오타니
24/10/29 20:51
수정 아이콘
lck 공식기록이 아니라는 거고,
공식기록은 맞죠.
선발전같은거라고 보면되겠죠
오타니
24/10/29 16:04
수정 아이콘
팩트 : LCK컵은 정규리그는 아니어서 시즌 누적전적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한해의 그랜드슬램 여부에는 들어갑니다.
이유 :
신설국제대회+MSI+롤드컵+각지역시즌우승 이게 그랜드슬램인데,
신설국제대회는 LCK컵 우승해야 참가가능
Liberalist
24/10/29 16:10
수정 아이콘
아, 그러네요. 그랜드슬램 하려면 모든 리그, 국제대회 다 휩쓸어야 하니까 이벤트전이라고 마냥 무시할만한 대회는 절대 아니네요.
Liberalist
24/10/29 16:09
수정 아이콘
이벤트전이라고 생각하니까 이런 대회 포맷 개꿀잼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전 리라를 리그 단위에서 팀 갈라서 하는 느낌도 들고 그렇습니다 크크크크
랜슬롯
24/10/29 16:24
수정 아이콘
경기 텀이 너무 길다고 저도 느껴서 좋은거같습니다 좀 경기수가 많아져야지 팬들도 보는 맛이살지 너무 흐름도 끊기고..

하위권팀들도 국제무대 못나가는거 생각하면 사실상 롤드컵기간/MSI기간 완전 쉬는거라..
24/10/29 16:41
수정 아이콘
올해 kt랑 같은 그룹인데 저러면 지옥이겠는데요
젠지 한화 잡고 광동 브리온한테 져버리기
24/10/29 16:55
수정 아이콘
?? : 아무튼 2승 2패 해줬잖아
구성주의
24/10/30 09:58
수정 아이콘
WWE를 4개의 같은 팀슬롯에게 당하겠군요

디시 마갤 완장은 바쁠듯 합니다
24/10/29 16:53
수정 아이콘
딱 봐도 경기 수 무쟈게 많아보이네요 크크크
공염불
24/10/29 18:48
수정 아이콘
프로에게 경기수 많길 바라는건 인지상정 크크
아주 좋네유
리니시아
24/10/30 08:33
수정 아이콘
찬성. 일단 경기수 많아져야함.
Winter_SkaDi
24/10/30 08:50
수정 아이콘
컵대회의 권위가 궁금하네요.
어쨌든 골든로드 먹으려면
컵 msi 시즌우승 롤드컵 다먹어야하긴 하는데..
네~ 다음
24/10/30 11:17
수정 아이콘
결국 상금이... 중요하지않겠습니까.
구성주의
24/10/30 09:57
수정 아이콘
이제 팀점이라 1경기지면 같은 슬롯 4개의 팀에게 WWE 당할듯합니다.ㅠㅠ
포커페쑤
24/10/30 13:30
수정 아이콘
냉정하게 근데, 강팀 상대 2승이든, 약팀상대 2승이든 그게 그거긴합니다. 어차피 그룹으로 묶이는 형태기때문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605 [스타1] 3연벙 X 20 [7] SAS Tony Parker 10062 24/11/13 10062 0
80604 [LOL] 브위포가 말아주는 썰(펨코 펌) [40] 람머스15581 24/11/13 15581 20
80603 [콘솔] 데스스트랜딩 디렉터스 컷 XBOX 용 발매 및 할인 [1] 엑세리온6772 24/11/12 6772 2
80601 [PC] CDPR, 위쳐 3 한국에서 100만장 판매 돌파 및 한국 유저를 위한 영상 [37] Myoi Mina 10662 24/11/12 10662 6
80600 [LOL] 재미삼아 해보는 진지한 역체 논쟁 [107] roqur14896 24/11/12 14896 1
80599 [LOL] 농심 에디 피터 미디르 코치 코코 노블레스 계약 종료 [54] 카루오스13283 24/11/12 13283 1
80598 [모바일] 만 번 깎은 모델링..(명조1.4버전 낮의 문을 두드리는 야밤) [17] 대장햄토리17563 24/11/11 17563 0
80597 [LOL] 운타라의 결승 후 회식 인터뷰 재밌네요 [21] 마술의 결백증명14194 24/11/11 14194 2
80596 [LOL] KeSPA컵이 돌아옵니다. [58] BitSae13923 24/11/11 13923 1
80595 [LOL] 딮기 공트) farewell moham [149] 리니어15656 24/11/11 15656 4
80593 [LOL] 새로운 왕조의 탄생 [T1scord 2024 Ep.18] [110] 반니스텔루이17841 24/11/11 17841 10
80592 [기타] 메탈 슬러그 택틱스 후기: 인투더브리치는 갓겜이다 [8] 티아라멘츠12700 24/11/09 12700 0
80591 [스타2] 이번년도 스2 하면서 느낀 짧은 소감 [10] 원장12818 24/11/09 12818 0
80590 [PC] [메타포: 리판타지오] 엔딩 보고 쓰는 스포 포함 뻘글! [24] 통피12652 24/11/09 12652 3
80589 [PC] 바람의 나라 클래식 오픈 베타 테스트 시작 [21] 及時雨11189 24/11/09 11189 2
80588 [LOL] 여러분의 칼바람은 안녕하십미까 [31] seotaiji14279 24/11/09 14279 1
80587 [LOL] 오늘자 롤마노 방송 요약 펌 [203] kapH23246 24/11/09 23246 4
80586 [기타] 프로야구스피리츠 2024 메뉴 BGM 드문6353 24/11/09 6353 2
80585 [LOL] 재미로 보는 스토브리그 여러가지 썰들 [142] Leeka21965 24/11/08 21965 5
80584 [LOL] e스포츠 뷰잉파티에서의 팬 경험 : '빛의 시어터'와 함께하는 결승전 T-Gether [41] 노틸러스12051 24/11/08 12051 21
80583 [LOL] BLG가 다른 선수 모두 계약시, 나이트는 자동 재계약된다 [35] Leeka15095 24/11/08 15095 3
80582 [LOL] 프로관전러PS의 월즈결승 3부작 마지막 편 [28] TAEYEON13812 24/11/07 13812 3
80581 [기타] 요즘 즐겁게 즐긴 게임들 [24] Cand13488 24/11/07 13488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