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4/09/30 19:58:50
Name 카페알파
Subject [기타] '단간론파' 게임을 해 봤습니다.
안녕하세요.

얼마 전 게관위 관련 시끄러웠던 '단간론파' 시리즈를 해 보았습니다. 사실 그 건이 이 게임을 한 결정적인 계기는 아니고요. 2010 년에 첫 작품이 나온 시리즈를 지금에서야 한 것은, 음....... 일단 제가 마작 게임을 두 가지 합니다. 뜬금없이 왠 마작 게임 이야기냐? 고 하시겠지만, 일단, 제가 '작혼' 하고 '마작 일번가' 를 하거든요. 그런데, 마작 일번가에서 단간론파와 콜라보를 하더군요. 별로 연관성이 없어보이는 게임들이라 다소 뜬금없다는 평이 있었는데, 어쨌든 단간론파 캐릭들을 콜라보를 했고, 저도 관련 캐릭을 뽑아서 지금도 가끔 쓰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그럴 생각이 없었는데, 자꾸 단간론파 캐릭을 (마작)게임에서 보다 보니 단간론파를 직접 하고 싶어지더군요.

사실은 '단간론파' 라는 게임이 있다는 것은 전부터 알고 있었습니다. 다만, 무슨 게임인지도 모르고 해서 그냥 그런 게임이 있나보다 했던 정도였는데, 하고 싶어져서 알아보니, 어라? 이거 추리게임이더군요. 예전에 역전재판 시리즈를 재밌게 했던 터라 꼭 해봐야겠다고 마음 먹었고, 마침내 구해서 했습니다. 그리고 플레이하다 보니 마작 일번가의 단간론파 콜라보 포스터(?)에 스포당했었다는 것도 깨달았습니다.(...)

하는 김에 1, 2, V3 까지 모두 해 봤고, 애니도 봤습니다. '절대절망소녀' 도 구하기는 했는데, 왠지 취향에 맞지 않아서 초반부만 플레이하고 중지한 상태입니다. 차후에 좀더 하고 싶어질 때를 기다려봐야 할 듯합니다.

아무래도 '역전재판' 을 전에 플레이했던 터라 역전재판을 떠올리면서 했는데, 역전재판을 좀 오래 전에 해서 기억이 좀 가물가물하긴 하지만, 비슷한 점도 있고 다른 점도 있는 것 같더군요. 일단 말이 '재판' 이긴 하지만, 토론에 가까운 분위기고, 특정한 '증언' 을 '(말의) 탄환' 을 써서 논파한다는 점이 흥미로왔습니다. 뭐랄까, 뭔가 '사냥'을 하는 쾌감같은 것도 느껴지고요. '증언'을 논파하는 난이도는 초반부의 경우 역전재판보다는 조금 더 어려운 것 같았습니다(중간 난이도 기준). 전체적인 추리 난이도도 단간론파 쪽이 살짝 더 어렵지 않나 생각하지만, 역전재판의 경우도 뒤쪽의 사건은 만만찮게 어려웠던 기억이라서.......

다만, 단간론파의 경우는 배경이 클로즈드 서클인데다가, 사건이 일어날 수록 인원이 점점 줄어서 제작자의 난이도가 많이 높았을 것 같습니다.(...) 더구나, 역전재판은 이런저런 연령대가 섞여 있는데, 단간론파는 고등학생으로 연령층이 한정되어 있어서 여러 상황이나 연출에 있어서도 역전재판보다는 제작 난이도가 좀 더 어려웠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추리로 상대의 의견을 논파하는 것만으로는 단조롭다고 생각했는지, 탄환논파(단간론파)에 타임리밋을 준다든가, 여러 아케이드 게임 요소를 추리에 도입한다든가 하는 게 있었는데, 몇몇 시간을 끄는 아케이드 게임은 없는 게 낫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고 재미있게 즐긴 분도 많으시겠지만, 저같은 경우, 뭔가 거기서 스토리가 뚝 끊어지고 진행이 너무 느려지는  느낌이라...... 특히 레이싱류의 게임 쪽은 없는 게 낫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리고, 역전재판도 그랬었는지는 기억이 잘 안 나는데, 단간론파의 경우 몇몇 트릭은 '어? 저게 된다고?' 하고 고개를 꺄우뚱하게 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특이하게도 트릭이 화려하고 좋은 평가를 받는 2편이 그게 심하더군요. 초강력 스포가 될 거라,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어서 다른 게시물로 다시 작성하겠습니다. 그리고, 애니메이션도 다른 게시물로 작성하는 게 나을 것 같네요.

V3 의 경우, 역시 재밌긴 한데, 뒷부분이 좀 특이하더군요. 이런저런 말이 많지만 결국 이제 단간론파 시리즈는 안 만들겠구나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다만, 단순히 그렇게 끝내기에는 애니메이션 '단간론파 3 -The End of 키보가미네 학원-' 의 존재와(만일 단간론파 시리즈가 다 픽션이었다면 이 애니메이션의 이야기의 존재를 부정하는 게 되어 버리죠), '기억 라이트' 의 존재가 다른 논란을 일으킬 여지가 있는데, 제작자가 여기까지는 미처 생각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아니, 어쩌면 여기까지 생각은 미쳤는데, 생까고 그냥 끝내겠다고 한 것일 수도 있고요.

뭐, 단간론파에서 모방살인이니 뭐니 이야기가 나오는데, 하면서 느낀 건 단간론파를 하고 나도 모방살인은 힘들겠구나하는 것입니다. 게임 내 사건에서의 피해자들이 죽는 것 ─ 칼에 찔리거나, 얻어맞거나 등등 ─ 은 이미 다른 소설, 심지어는 실제 사건 보도에서도 나오는 것들이니 단간론파를 모방했다고 할 수 없고, 처형과 몇몇 특수한 살해 방법의 경우는 그만큼의 설비나 장비가 필요한데, 실생활에서 어지간한 재력 없이는(...), 그리고 실제로 재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구현하기는 어렵죠.

어쨌든 스토리든 플레이 방법이든 '재미'로선 꽤 강렬한 게임이었습니다. 당분간은 다른 게임들은 뭔가 이렇게 재미를 느끼지 못할 것 같습니다. 어나더나 구해서 해볼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음속의빛
24/09/30 21:25
수정 아이콘
본편도 본편이지만, 저는 유튜브에 있는 단간론파 어나더1, 2가 참 명작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24/10/02 10:25
수정 아이콘
1/2는 난이도가 너무 낮아서 추리물로써의 가치는 거의 없는게 아쉬운 점입니다.

그런 점에서 V3가 가장 낫긴 한데 얘는 말씀하신대로 스토리 평가가 애매한게 단점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503 [LOL] [LEC] 2025 시즌 포맷 안내 [19] BitSae8508 24/10/30 8508 1
80502 [LOL] 월즈 결승전에 2회 이상 출전한 전설적인 선수들 [43] Leeka13347 24/10/30 13347 2
80501 [LOL] 결승전 1세트 티원 블루진영 확정 [64] Leeka13913 24/10/30 13913 7
80500 수정잠금 댓글잠금 [LOL] 근황글 [44] 전설의용사30783 24/10/30 30783 21
80499 [LOL] 페이커) 월즈 4강 퍼포먼스 별로였다 / 쵸비는 언젠가 월즈를 먹을 선수. [166] Leeka21703 24/10/29 21703 8
80498 [LOL] 결승 직후 시작될 스토브리그 전 현황 대충 보기 [217] TempestKim22440 24/10/29 22440 21
80496 [LOL] Dplus Kia, 이재민 감독 박준형, 김상수 코치 계약 종료 [56] 라면10479 24/10/29 10479 1
80495 [LOL] LCK CUP + 신설 국제대회는 피어리스, 본게임은 미정. [43] Leeka9831 24/10/29 9831 0
80494 [LOL] MSI 선발전 일정 공개 [6] Leeka8308 24/10/29 8308 0
80493 [LOL] 2025년부터 새로 생기는 LCK CUP 진행방식 설명 [44] EnergyFlow8798 24/10/29 8798 0
80492 [LOL] 2025년 LCK 시즌 변화점 [131] 라면14792 24/10/29 14792 2
80491 [LOL] 캐드럴이 밝히는 "방송에서는 왜 계속 페이커만 띄워주는가"에 대한 생각 [152] EnergyFlow19218 24/10/29 19218 9
80490 [LOL] 월즈 우승 스킨은 무엇이 나올까? [41] T1008630 24/10/29 8630 0
80489 [LOL] 결승전이 확정되고 다시 보는 G2의 역대급 억까 대진 [20] Leeka9229 24/10/29 9229 0
80488 [LOL] 젠지에게 개인적으로 아쉬운 것 [157] 티아라멘츠14405 24/10/29 14405 11
80486 [LOL] 생각보다 잘 했던 T1 [14] 아몬12912 24/10/29 12912 9
80485 [LOL] 용한타에서 보여줬던 기인의 슈퍼플레이 [68] Leeka13030 24/10/29 13030 13
80484 [LOL] [LCP] 소프트뱅크가 감독 공개모집을 합니다. [16] 타바스코8605 24/10/28 8605 2
80483 [기타] 스팀게임 리뷰 [15] 모찌피치모찌피치8567 24/10/28 8567 1
80482 [기타] 삼국지8리메이크 간단 후기 [50] 겨울삼각형16712 24/10/28 16712 2
80481 [LOL] 이렇게 보니 생각보다 더 대단했던 팀 [84] 포스트시즌15192 24/10/28 15192 16
80480 [LOL] 제오페구케, 결성후 3년간 모든 대회 올포디움 달성 [89] Leeka12702 24/10/28 12702 8
80479 [LOL] 뒤늦은 T1 VS 젠지 4강전 후기 [26] TAEYEON10975 24/10/28 10975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