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4/05/19 21:59:29
Name Leeka
Subject [LOL] LCK, 7년만에 MSI 우승!!

4등 지투, 3등인 티원 상대로 2번 만나서 2번 다 짐

3등 티원, 2등인 비리비리 상대로 2번 만나서 2번 다 짐

2등 비리비리, 우승팀 젠지 상대로 2번 만나서 2번 다 짐


더블엘리에서 이렇게 완벽하게 서열 정리가 되다니..


----

특히 페이즈는 데뷔후 1년 반동안 4결승 4우승을..

진짜 우승 복덩이 아닌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원숭이손
24/05/19 21:59
수정 아이콘
BECOME THE UNKNOWN 그 자체
24/05/19 21:59
수정 아이콘
쵸비 드디어!!!
24/05/19 21:59
수정 아이콘
시리즈 MVP [대황킹갓나이트]
임의드랍쉽
24/05/19 22:00
수정 아이콘
좀 늦은감이 있었지만 역시 순수 실력 역대 최고 기캐쵸가 모이니 바로 혈 뚫리네요 허허
24/05/19 22:00
수정 아이콘
더이상 역체정 논란도 안 나올듯 리헨즈 파엠 줘야합니다 그리고
24/05/19 22:07
수정 아이콘
이런게 논란이죠.
역대란 말을 막쓰다가 어떤 꼴을 당했었는지 벌써 잊으신건가요?
지금 세체정은 캐년임
24/05/19 22:07
수정 아이콘
그럼 아직도 벵기가 역체정인가요? 오늘 캐니언 우승과 경기력으로 증명한거 같은데요.
24/05/19 22:09
수정 아이콘
역체정이 뭔데요?
그거 설레발하다가 4강 딱 정글러 됐던게 누군데요?
24/05/19 22:11
수정 아이콘
타이틀은 모자라긴한데 올 주전이라는 점과 평균 경기력보면 개인적으로는 이제 넘었다 생각되긴하네요
24/05/19 22:14
수정 아이콘
타이틀이 모자라면 채우고 나서 얘기해도 안늦을 거 같네요.
24/05/19 22:18
수정 아이콘
남는건 타이틀 뿐이라지만 사람들이 장님도 아니고 꾸준함 기여도 퍼포먼스 다 보고있는데 페이커급도 아니고 진즉 판 떠났고 현역때도 다른팀가서 잘 못했던 사람을 아직까지 역체정이라고 추켜세우는건 별로 공감이 안가네요
24/05/19 22:23
수정 아이콘
누가 역체정이라고 추켜세운다는거죠?
역체정이란 단어를 쓸려면 커리어는 맞추고 와야된다는
간단한 주장입니다. 그게 역대라는 거니까요
전 지금 세계에서 제일 잘하는 정글러가 캐년이란 얘기까지 했구요
24/05/19 22:25
수정 아이콘
역체탑 듀크 동의하시죠?
24/05/19 22:28
수정 아이콘
위키 항목에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커리어 순으로 줄세우는게 역체라는건 저로서는 도무지 이해가지 않네요.

보통 역체로 불리는 선수를 판별하기 위한 조건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적용한다.

1. 압도적인 활약으로 유저들에게 남긴 임팩트
2. 시즌이 지나도 계속해서 상위권의 자리를 유지하는 꾸준함
3. 리그, MSI, 월즈를 비롯한 메이저 범주에 속할 만한 대회 커리어
4. 그간 선수 커리어를 통틀어 국제 대회와 자국 리그에서 보여줬던 행보
5. 리그 자체의 판을 뒤틀고 후대에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를 비롯한 상징성과 영향력
6. 리그 오브 레전드 관련 전문가와 관계자들의 찬사
7. 라이엇과 LoL e스포츠의 직접적인 공인
실제상황입니다
24/05/19 22:30
수정 아이콘
근데 커리어는 맞추고 와야 한다는 주장이
원래 스포츠판에서는 상댕적으로 마이너한 주장이잖아요?
퍼포먼스를 우선적으로 보는 편이죠.
24/05/19 22:32
수정 아이콘
월희 님//
전 그런 단어를 안씁니다만?
절대불멸마수
24/05/19 22:39
수정 아이콘
Take 님// 역체라는 표현을 아예 안쓴다는 주장이실까요..?
1. 그런 말씀을 처음부터해주셨으면 오해가 없었을것같고.
2. 역체미도 없다는 말씀이신건가요? 그러면 일관성은 있겠지만, 동의하는 팬은 거의 없을 것 같네요.
3. 혹...시나 역체미는 페이커인데, 역체정이란 용어는 아예 안쓴다고 하신다면 정말 재미있겠네요.
24/05/19 22:54
수정 아이콘
절대불멸마수 님//
역대란 단어는 상대적으로 그동안 이전에 잘했"었"던 선수에 대한 비교 우위 표현이라서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표현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대 최고]를 쓸려면, 제가 생각하는 최소한의 조건인 커리어정도는 넘고 와야 된다는 생각이구요.
이영호가 역대 최고의 테란이다. 라는 얘기에 반박하기 쉽지 않지만
저 표현으로 인해 그동안 수많은 빌드를 깎고 전략과 기본기를 연구해왔던 테란 우승자들은 다 이영호보다 못한 선수가 되는 것으로 느껴지잖아요.
정도의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24/05/20 01:29
수정 아이콘
절대불멸마수 님//
[이런게 논란이죠.
역대란 말을 막쓰다가 어떤 꼴을 당했었는지 벌써 잊으신건가요?
지금 세체정은 캐년임]
첫 댓글입니다.
1번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분명하게 얘기한 것 같네요.
2번과 3번은 비아냥의 의미를 내포하신 것 같아서 대답이 필요 없겠죠?
실제상황입니다
24/05/19 22:22
수정 아이콘
역체정이 정녕 캐니언인가 하는 의문은 있는데
솔직히 타이틀로 줄세우기는 별로긴 합니다..
24/05/19 22:13
수정 아이콘
현시점에서 역체정이 캐니언이라는거죠 그럼 16년 이후로 몇년이 지났는데 역체정 갱신 안 되는게 말이 됩니까? 벵기가 팀내 옵션이 높은 것도 아니고 확고한 주전이었던 것도 아니고 뭔 설레발하다가 4강딱 어쩌고 하던데 이미 캐니언은 월즈1회 준우승1회 MSI1회우승 했는데요? 지금 현역중에 이런 커리어 가진 정글러 없습니다. 커리어 내내 옵션도 항상 높았고 시장 평가 최상위에 선수 관계자 평가 최상위에 뭐가 설레발이죠?
24/05/19 22:15
수정 아이콘
팀 옮겨서도 잘되는거보면 꾸준함 측면에서 볼것도없이 역체정맞는듯
파비노
24/05/19 22:17
수정 아이콘
팀 옵션론을 얘기하면 이번 msi에서는 캐니언의 팀 옵션이 그렇께 높은건 아니었는데요. 그리고 쵸,기 다음 거론되는게 캐니언이죠. 그리고 몇년이 지났어도 농구는 마이클조던이 최고고 아직도 펠마메 논쟁이 있는데 최고는 그만큼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나서 역최라는 단어를 써도 안늦어요
24/05/19 22:20
수정 아이콘
그런 논리면 벵기도 역체 아니죠 그런 압도적인 모습 보여준적 한 번도 없는데 실제 퍼포나 주전 기간보면 나무위키 수상기록도르랑 괴리감 제일 심한게 벵기인데요. 역체정은 공석이겠네요 파비노님 말씀대로면요
파비노
24/05/19 22:24
수정 아이콘
그럼 공석으로 놔두면 되죠. 어쨌든 캐니언이 수상실적에서 아직 한참모자라잖아요 지금 역최원도 거이 공석인데...페이커 빼고 역최가 어딨나요 다 고만고만하지.
24/05/19 22:25
수정 아이콘
아니 그냥 앞으로 월즈 두번 먹으면 되는 간단한 걸
뭘 미리부터 설레발이냐 이거죠
정말 그렇게 잘하면 앞으로 월즈 두 번 더 먹겠죠
당장 올해도 먹을 거 같은데?
역대라는 단어는 그때 쓰면 됩니다.
사막곰
24/05/19 22:55
수정 아이콘
아아 로버트 오리 7회 우승 맞춘 포워드가 없어서 역체 포워드 자리는 공석으로 둬야하는게 안타깝습니다..
디스커버리
24/05/19 22:12
수정 아이콘
월즈 한번은 더 먹어야죠
자아이드베르
24/05/19 22:12
수정 아이콘
오늘같은 날엔 그냥 팬들이 기뻐서 설레발 한 번 친다 생각하고 너그럽게 넘어가주시죠.
24/05/19 22:15
수정 아이콘
이왕 기분내는 김에 오늘만큼은 역체팀도 젠지로 하죠.
24/05/20 00:19
수정 아이콘
독주머니 터지겠어요 크크
아니에스
24/05/20 18:37
수정 아이콘
맹독충이네요 크크크
마그네틱코디놀이
24/05/19 22:16
수정 아이콘
?? msi로요?
디스커버리
24/05/19 23:29
수정 아이콘
21에 역체 밀다가 후폭풍 온거 생각하면 아직은 조심스러운게 맞고 월즈만 한번 더 먹으면 이견1도 없이 역체정 박아도 된다고 봅니다 현시점에서는 세체정이 더 어울린다고 생각해요
wersdfhr
24/05/19 22:00
수정 아이콘
올해 MSI 진짜 재미있었네요 롤 고봉밥 잘먹고 가는 느낌
사쿠라
24/05/19 22:00
수정 아이콘
와 진짜 대단하네요. 와 진짜...
24/05/19 22:00
수정 아이콘
기인 MSI 우승 축하합니다
녀름의끝
24/05/19 22:00
수정 아이콘
오이오이 믿고 있었다구!
무딜링호흡머신
24/05/19 22:00
수정 아이콘
쏴리질러!! 비엘지 따운!! LPL 따운!!
앨마봄미뽕와
24/05/19 22:00
수정 아이콘
젠지 우승 축하합니다!! 끝까지 집중력 안놓는게 엄청났네요. 특히나 리헨즈 불안하다는 평가 완전히 뒤집어 엎었고 페이즈도 진짜 잘했네요. 5명 다 너무너무 잘함
냥냥펀치
24/05/19 22:00
수정 아이콘
쵸비야 사랑한다!!!!
24/05/19 22:00
수정 아이콘
리헨즈 MVP 밀어봅니다
24/05/19 22:01
수정 아이콘
와 진짜 쵸비 국제전에서 보여줘서 가치를 스스로 더 증명했네요.
종말메이커
24/05/19 22:01
수정 아이콘
(비웃음을 담아) ??: 그 퍼포먼스 국제전에서 좀 보여주지그래?

네 보여드렸습니다 크크

아아 기쁩니다 쵸비와 젠지 선수들!! 그 억까와 의심을 극복하고 해냅니다
레드빠돌이
24/05/19 22:01
수정 아이콘
마지막 쌍둥이 나가고 수비하는 동안의 운영은 100점만점에 100만점이였네요
특히 마지막 장로에서의 판단은 일시정지 시켜놓고 판단한것 같은 수준이네요
공염불
24/05/19 22:01
수정 아이콘
나이트가 시리즈 주연인듯 크크
모그리
24/05/19 22:01
수정 아이콘
젠지 선수들 우승 축하합니다 정말 강하네요!
인생의참된맛
24/05/19 22:01
수정 아이콘
대황젠
트리거
24/05/19 22:01
수정 아이콘
쵸비의 국제전 무관을 드디어 떨쳐버리네요 !!! 
무딜링호흡머신
24/05/19 22:02
수정 아이콘
롤 망할때까지 LPL은 개패주길 바랍니다. LCK선수들
쿼터파운더치즈
24/05/19 22:02
수정 아이콘
젠지 우승 축하합니다 LCK가 진짜 오랜만에 MSI 우승트로피를 손에 쥐는군요 ㅜㅜ
국제전 우승트로피만 없었던 쵸비도 드디어 국제전 트로피 손에 들어올렸고..기인도 젠지와서 트로피 계속 손에 쥐고 있구요
축하합니다

무엇보다 리헨즈 선수 다시 봤네요 스프링때도 댓글로 리헨즈는 큰경기 야외경기에서 너무 많이전다고 비판했었는데, 오늘 그냥 최고의 퍼포먼스로 우승트로피 거머쥐었습니다 저같은 사람의 우려를 멋지게 실력으로 증명했고 리스펙합니다
이번 파이널 MVP라고 봐요
여행가요
24/05/19 22:02
수정 아이콘
기인, 쵸비 드디어 성불했네요
24/05/19 22:02
수정 아이콘
기캐쵸 모이니 진짜 든든
거기에 페이즈 리헨즈 이번 MSI에서 점점 폼 올라오더니 결승에선 절정으로 증명하네요
Karmotrine
24/05/19 22:02
수정 아이콘
페이즈가 나이트 끊은게 반전의 시작이라 뭔가 있기는 있는듯
24/05/19 22:02
수정 아이콘
진짜 마음이 너무 강하네요 젠지
무딜링호흡머신
24/05/19 22:02
수정 아이콘
오늘 파엠은 리헨즈 주고 싶네요

구멍이라는 오명을 쓰고 슈퍼캐리
종말메이커
24/05/19 22:03
수정 아이콘
정말 파엠받기 충분합니다
파란짬뽕
24/05/19 22:05
수정 아이콘
리헨즈 안주면 안될수준으로 이긴세트는 너무 돋보였습니다
24/05/19 22:06
수정 아이콘
기캐쵸페리 중 유일하게 파엠이 없는데 오늘 받아서 5파엠 조합 했으면 좋겠네요
돼지콘
24/05/19 22:06
수정 아이콘
리헨즈 롤챔스 5셋부터 계속 증명해내는게 정말 대단합니다.
HighlandPark
24/05/19 22:09
수정 아이콘
파엠은 리헨즈!! 라고 쓰려고 들어왔습니다
raindraw
24/05/19 22:12
수정 아이콘
전에 도란이 못받았듯이 못받을까 걱정될 정도네요
모그리
24/05/19 22:19
수정 아이콘
진짜 역대급이었음다 크크
뜨거운눈물
24/05/19 22:02
수정 아이콘
젠지는 축하하고
BLG는 연달아 백도어 판단하다가 끊킨거는
너무 감정이 앞선거 같다
24/05/19 22:02
수정 아이콘
리헨즈 갠적으로 선수인생 최고의 퍼포먼스
자아이드베르
24/05/19 22:03
수정 아이콘
너무 침착합니다. 우승할 자격이 있었습니다.
사이버포뮬러
24/05/19 22:03
수정 아이콘
기절하는줄 알았습니다
심장이 입으로 튀어나올 뻔..
파다완
24/05/19 22:03
수정 아이콘
아 너무 좋다.... 오늘 일하면서 간간히 봤는데 너무 기쁘네요 크크
24/05/19 22:03
수정 아이콘
미드촤이
한발더나아가
24/05/19 22:03
수정 아이콘
아직 좋아하기 이르다
[그거]까지 이제 겨우 절반 왔다
자가타이칸
24/05/19 22:03
수정 아이콘
??? : 준우승이 머죠?..... 먹는건가?
24/05/19 22:04
수정 아이콘
나이트 쌍둥이에서 대준것땜에 끝 크크크
파란짬뽕
24/05/19 22:04
수정 아이콘
진짜 마지막세트 심장이 아파서 못보는줄... LCK의 므시 탈환 너무 좋네요!
종말메이커
24/05/19 22:04
수정 아이콘
상대방도 말하면... 진짜 BLG도 더럽게 강하네요... 극찬입니다
24/05/19 22:12
수정 아이콘
진짜 강했습니다... 마지막엔 진짜 살떨리는 경기였네요...
24/05/19 22:04
수정 아이콘
오늘 시리즈 MVP는 SIUUUUUUUUUUUU! 예상합니다.
봇라인이 핵심이었고 봇라인전 밀렸던 3경기가 그래서 패배했다고 생각하네요.
그나저나 4경기 진짜...
저 정도급 선수들이 차례차례 던지는 플레이는 정말 대단했네요.
본인들이 분명히 쎈 타이밍이었는데 와우!!!
아드리아나
24/05/19 22:04
수정 아이콘
캐니언 므시 땄다 헤헤
14년째도피중
24/05/19 22:05
수정 아이콘
말이 쉽지 쌍둥이 없는데 카밀 트타 백도어 다 막아가면서 싸움도 이긴다는게 말이 되는지.
심지어 넥서스 건드려보지도 못함. 와.
반니스텔루이
24/05/19 22:05
수정 아이콘
아 젠지 축하드립니다!! 바론 스틸 당하고 진짜 졌다 싶었는데 이걸 이기네요. 드디어 MSI 우승컵을 되찾았네요 얼마만이여~~~

그리고 나이트 쌍타에서 던져줘서 너무 고맙습니다 크크
돼지콘
24/05/19 22:05
수정 아이콘
젠지도, BLG 도 너무 잘 해줬습니다. 눈이 호강하는 경기였네요.

T1 전부터 BLG 좀 잘 한다 싶으니 귀신 같이 튀어 나오려던 분탕맨 컷 당한 것까지 완벽합니다.
모그리
24/05/19 22:06
수정 아이콘
불판 등장했던데 그 분은 왜 이렇게 LCK 팀들을 싫어하는걸까요? 크크
돼지콘
24/05/19 22:08
수정 아이콘
본인의 모자람을 프로 까내려가면서 대리충족하려는 의도가 아닐까 싶긴 합니다.

근데 어느 쪽이든 상관 없는게, 어차피 롤드컵 시즌까지 다시 입꾹닫 잠행할 분이죠.
무딜링호흡머신
24/05/19 22:21
수정 아이콘
몇번불판글보면 되나요?

경기 집중하다보니 불판못봐서...
일모도원
24/05/19 22:05
수정 아이콘
경기도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BLG도 강합니다 다음에도 명승부가 기대 되는군요
젠지 축하 합니다 굿밤~!!!
내사랑핑크허니
24/05/19 22:05
수정 아이콘
쵸비축하해요
종말메이커
24/05/19 22:05
수정 아이콘
그리고 오늘 빈 카밀 상대로 젠지선수들도 진짜 잘 대응했습니다.
기인에게도 정말 칭찬해주고 싶네요
마그데부르크
24/05/19 22:05
수정 아이콘
축하축하
시린비
24/05/19 22:05
수정 아이콘
젠지, 네가 넘버원이다.
로오나
24/05/19 22:06
수정 아이콘
그랜드 슬램 기대해 보나요~근들근들
24/05/19 22:06
수정 아이콘
진짜 진짜 기캐쵸리 각자가 가진 스토리가 있어서 이번 우승 울컥했네요
페이즈는 젠지가 유스부터 키워서 나이되자마자 올린것부터 맨날 형들이 펜타챙겨주는것까지 그냥 타고난 왕자님 맞네요 실력이 되고 항상 노력하니까 형들이 이뻐해주는거겠구요
24/05/19 22:06
수정 아이콘
젠지 축하합니다. 드디어 msi를 우승하네요.
24/05/19 22:06
수정 아이콘
서버도 별일 없으면 젠지가 우승할꺼 같고 그랜드 슬램에 도전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정말 엄청난 경기력이었습니다.
24/05/19 22:06
수정 아이콘
이기고, 경기꿀잼. 내전없음. 이번 MSI가 진짜 시청하기엔 베스트였는듯
태랑ap
24/05/19 22:06
수정 아이콘
msi우승 몇년만에 가져오는건지
우승 축하합니다
24/05/19 22:07
수정 아이콘
젠지 우승 축하합니다. 마지막까지 집중력있게 끝내는 장면 멋있네요.
이번 MSI는 막판까지 꿀잼!
24/05/19 22:07
수정 아이콘
서머도 부탁합니다
월즈때는 주접좀 떨어보게요
24/05/19 22:07
수정 아이콘
24젠지 5명 다 오더가 없고 병사들이라느니 억까들 이겨내고 증명해낸게 너무 멋있네요. 4세트는 철통같은 운영이었습니다
24/05/19 22:08
수정 아이콘
기인과 쵸비 성불하는거 보니 티원팬인데도 엄청 기쁘네요 크크크 상대가 우리팀이 아니라 그냥 순수하게 기쁨
24/05/19 22:08
수정 아이콘
지난 7년의 설욕을 젠지가 갚아주네요ㅠㅜㅠㅜ정말 수고 많았습니다 젠지!!!
toujours..
24/05/19 22:08
수정 아이콘
마지막 수비 운영 진짜 개 지렸습니다
밤수서폿세주
24/05/19 22:09
수정 아이콘
7년만에 LCK에 MSI 우승컵을 기캐쵸페리가 가져오네요. 쵸비 이대로 쭉 가길!
24/05/19 22:09
수정 아이콘
라인 스왑 덕분이기도 한 것 같고 메타 자체가 무조건 밴 해야 되는 슈퍼오피챔이 없어서 서로서로 숙련도나 팀 전력에 따라서 밴픽 양상이 자유롭게 나와서 꿀잼 대회가 된 것 같아요.
데이나 헤르찬
24/05/19 22:09
수정 아이콘
7년 진짜 길었네요 크크크크
디스커버리
24/05/19 22:09
수정 아이콘
와 드디어 국제대회서도 성불을 하는군요
2대0 까지만 해도 맘편하게 누워서 보고 있었는데 4세트에서 바론 스틸 당하고
각잡고 봤습니다 특히 쌍둥이 나가고 이후는 긴장하면서 봤네요
이제 바텀 약하다는 프레임도 쏙 들어가겠네요
마그데부르크
24/05/19 22:10
수정 아이콘
스틸 이후 머리 뜨거워지더군요
사이버포뮬러
24/05/19 22:15
수정 아이콘
저 누워있다가 일어나서 선풍기 켰습니다
ekejrhw34
24/05/19 22:09
수정 아이콘
추카합니다
24/05/19 22:10
수정 아이콘
골든 로드 5부 능선 넘었습니다(팩트) 크크
그리고 작년 징동보다 훨씬 가능성 높아 보입니다. 이 팀은 메타 안 타는 팀이예요. 주도권? 이 팀이 가장 잘합니다.
조심스럽게 올 해 연말에 역체팀 논의 진지하게 될 거라고 봅니다.
디스커버리
24/05/19 22:15
수정 아이콘
??? : 롤든 로드 저희가 막겠습니다
24/05/19 22:29
수정 아이콘
하지마세요 크킄 저 2세트 끝나고 불판에서 괜히 설레발 치다가 식겁했습니다.
24/05/19 22:33
수정 아이콘
지금 설레발 쳐야죠 크크 클템이 항상 하는말입니다. 설레발 칠 수 있을때 쳐라!
24/05/19 22:38
수정 아이콘
아?! 역대급팀입니다! 전라인 순수체급 최강팀!!
골든로드 확률 제일 높아보이는거 동의합니다 크크킄
24/05/19 22:47
수정 아이콘
다른팀은 가능성이 0이죠 크크크
처음이란
24/05/19 22:10
수정 아이콘
우오와 드디어~~~~~~~~~~~~~~~~~ 선수들 및 감코진들 너무 고생했습니다. 섬머,월즈까지 갑시다!!!!!!!
24/05/19 22:10
수정 아이콘
마지막세트 투타워 밀리고 쫀쫀하게 막는 운영
대단하더군요

미니맵 쉴새없이 핑 찍히면서
와드 있을만한곳 다 체크하고 다니는거 대단했습니다
레드빠돌이
24/05/19 22:12
수정 아이콘
늑대 앞 와드 발견하고 일부러 안 깨고 본대 앞으로 보내서 텔 유도하는건 진짜 천재인가 싶었던....
닉네임여덟자기억
24/05/19 22:11
수정 아이콘
이번에 대회 전반적으로 꿀잼이어서 좋았습니다. lpl은 유럽한테 백도어 하는 법 좀 배워야 크크
24/05/19 22:11
수정 아이콘
진짜 재밌었네요. 역대급 대회
빠독이
24/05/19 22:11
수정 아이콘
선수들 대회 내내 번갈아가면서 좋은 모습 보여준 게 가장 좋았습니다.
시린비
24/05/19 22:12
수정 아이콘
서머랑 월즈까지 먹으면 정말 역대급인거같은데... 물론 패치가 어찌될진 모르지만 현시점 포스로는 가능할거같은데
최종병기캐리어
24/05/19 22:12
수정 아이콘
더블엘리미의 뒷말이 나올수 없는 경기결과네요.
말다했죠
24/05/19 22:12
수정 아이콘
축하합니다!
비오는풍경
24/05/19 22:12
수정 아이콘
드디어 MSI를 가져왔네요
BLG 경기력도 만만치 않은 부분이 있었는데 그런 팀을 제압하는 경기력이 대단했습니다
이제 월즈로 갑시다
마작에진심인남자
24/05/19 22:13
수정 아이콘
경기력이 다른팀보다 월등히 좋았네요.
특히 리헨즈 회광반조가..
24/05/19 22:13
수정 아이콘
보면 질거 같아서 일부러 안봤습니다
근데 지난번 롤드컵때 사라졌던 그 사람 BLG이기니깐 바로 또 등장했었나보네요?크크크 근데 지니깐 바로 사라졌네?아니 진짜 굳이 왜그러나 싶은데 그냥 당당하게 나와서 계속 LPL응원이나 하지 뭐하는 추태인지
24/05/19 22:13
수정 아이콘
축하합니다 재밌었네요
라이엇
24/05/19 22:13
수정 아이콘
경기가 어지러워지니 리헨즈가 정신을 차려버리는 크크
태랑ap
24/05/19 22:15
수정 아이콘
저평가 본인손으로 슈퍼캐리하며 리헨즈가 파엠!!
24/05/19 22:15
수정 아이콘
2024 LCK 스프링 파이널 MVP 기인
2020 월즈 파이널 MVP 캐니언
2023 LCK 서머 파이널 MVP 쵸비
2023 LCK 스프링 파이널 MVP 페이즈
2024 MSI 파이널 MVP 리헨즈
24/05/19 22:15
수정 아이콘
두 번 연속 박살내는게 말이 안 된다 생각하는데 이게 나왔네요.진짜 축하합니다.
종말메이커
24/05/19 22:15
수정 아이콘
크 리헨즈 선수 파엠 축하합니다
개하드캐리였어요
24/05/19 22:15
수정 아이콘
4세트는 도파민이 심하게 분비되어서 머리가 다 아플 지경이었어요. 쌍둥이 나가고 심장이 터지는 줄!! 젠지 정말 축하합니다.
Capernaum
24/05/19 22:16
수정 아이콘
티원팬이지만 축하드립니다

LCK 자존심을 지켜주셨네요 손에 땀을 쥐고 본 명경기...

이제 아무도 국제전가지고 쵸비 못놀리게 되었음요
24/05/19 22:17
수정 아이콘
파엠 리헨즈 축하요
사이버포뮬러
24/05/19 22:17
수정 아이콘
리헨즈 축하하고 젠지는 바텀때문에 우승 못한다고 글마다 댓글 다시는 분 계셨는데 제발 앞으론 그러지 마셨으면..어떤 선수라도 사람 앞일을 그렇게 장담하지 마세요.
24/05/19 22:49
수정 아이콘
갑자기 기침이 나오네요
타르튀프
24/05/20 00:34
수정 아이콘
이런 글에서는 코빼기도 안 보이시죠. 
기사조련가
24/05/19 22:18
수정 아이콘
솔직히 비전 켜고 해도 마지막에 운영하기 힘들었어요 진짜 막기 힘든건데 그걸 막네요 솔직히 10판 하면 9판은 지는 상황
24/05/19 22:19
수정 아이콘
페이즈는 결승 승률이 100%네요

워워 쵸비
종말메이커
24/05/19 22:20
수정 아이콘
김정수 감독도 참 다사다난한 일 겪고 국제전 우승컵을 또 드네요
고생했습니다
마타코치도요!
아니에스
24/05/19 22:20
수정 아이콘
마지막 경기는 진짜 레전드 운영이었네요
24/05/19 22:22
수정 아이콘
비엘지도 정말 잘했습니다
역대급 대회였어요
젠지 롤드컵도 먹자!
Polkadot
24/05/19 22:26
수정 아이콘
리헨즈 빅경기에 약하다 스몰가슴이다 했는데 반성합니다.
차은우
24/05/19 22:27
수정 아이콘
페이즈는 형들이 개근상받고 왜 감격하는지 이해 안될듯
당근케익
24/05/19 22:28
수정 아이콘
길었다 ㅠ 7년이라니!
젠지 축하합니다
raindraw
24/05/19 22:28
수정 아이콘
4세트는 다시 봐도 바론 스틸 하나로 질 뻔 했었네요. 그 바론 스틸 없었으면 무난히 이겼을 듯
다레니안
24/05/19 22:28
수정 아이콘
롤드컵도 더블엘리 꼭 좀 도입했으면 좋겠습니다.
진짜 이렇게 재밌는데요 크크크크크크크
24/05/19 22:28
수정 아이콘
진짜 미친 시리즈였습니다
특히 리헨즈는 이 이상 해줄 수 있을까 싶을정도로 멋졌음 크크크크
네오스
24/05/19 22:29
수정 아이콘
올해 그랜드슬램하겠는데요~ LCK가 우승하기 가장 힘든 대회를 우승했으니, 서머랑 월즈도 압도적으로 우승하기 바랍니다. 기캐쵸는 참 역대급 상체인 듯 하네요.
Fred again
24/05/19 22:29
수정 아이콘
진짜 너무 재밌었네요
축하합니다 젠지
윈드워커
24/05/19 22:30
수정 아이콘
스프링 때 리헨즈 서폿 퍼스트 못 받아서 아쉬워했는데 이렇게 진가를 증명해주니 좋네요
Lemegeton
24/05/19 22:32
수정 아이콘
젠지 축하드립니다. 멋진 경기였어요.
수퍼카
24/05/19 23:02
수정 아이콘
마지막까지 숨 죽이고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명경기였습니다. 젠지 우승 축하합니다.
mooncake
24/05/19 23:05
수정 아이콘
와 리헨즈 파엠인가요? 그러고보니 17슼 므시도 울프였는데 서포터로 대단하네요 크크
24/05/19 23:12
수정 아이콘
벵기 역체정 우기는 꼴은 언제까지 봐야하는 지 아우 크크크 진짜 벵기 모욕하는게 누군지 스스로 깨달았음 합니다
24/05/20 00:24
수정 아이콘
크크 독주머니 터진거죠
인연과우연
24/05/20 00:23
수정 아이콘
드디어 lck가 msi를 가져 오네요
젠지 축하합니다
룰러가 못한 골든 로드를 젠지가 도전하네요
타르튀프
24/05/20 01:51
수정 아이콘
젠지 우승 축하합니다!!
LCK가 다시 므시우승컵을 들어올려 감개무량하고 무엇보다 쵸비가 드디어 국제전 무관을 탈출했네요. (아겜은 번외니까..)
24/05/20 10:22
수정 아이콘
기캐쵸페리 대단했어요 특히 리핸즈 시리즈mvp 인정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664 [기타] [철권] 대회에서 고의 페어링 테러로 의심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2] 인간흑인대머리남캐349 24/06/03 349 0
79662 [콘솔] 셋업 연습, 하지 마세요 - 스파6로 격투게임을 입문하며 [5] Kaestro875 24/06/02 875 1
79661 [모바일] 레전드 운영중인 명조. 이 운영은 뭐지?? [36] 대장햄토리2212 24/06/02 2212 0
79660 [발로란트] 젠지, 아메리카 리그 1시드 압도 상위 라운드 진출 [13] 김삼관1271 24/06/02 1271 0
79659 [기타] 지역연고+실업리그는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님블뉴런 윤서하 팀장 인터뷰 [14] 환상회랑1680 24/06/02 1680 3
79658 [기타] [하데스 2] 플레이 후기 [1] 데갠1137 24/06/02 1137 0
79657 [콘솔] 곧 발매하는 진 여신전생 5 벤전스 변경점들. [15] 김티모1774 24/06/02 1774 1
79656 [발로란트] 국제전 진행중, 상하이에서 3:0으로 무패질주중인 젠지 [6] 김삼관3348 24/06/01 3348 0
79655 [오버워치] [OWCS] 댈러스 메이저가 곧 시작합니다. [4] Riina4180 24/05/31 4180 2
79654 [LOL] 6월 29일 T1 홈 그라운드 당일 스케쥴이 나왔습니다. [39] 매번같은8623 24/05/31 8623 0
79653 [LOL] 최고의 순간들에 인게임 트로피를 넣을수 있을줄알았다 [43] Leeka8222 24/05/31 8222 12
79652 [기타] 너구리, 로컨, 호잇 이터널 리턴으로 프로 복귀!? [12] 환상회랑6611 24/05/31 6611 2
79651 [LOL] T1, 미드 자크픽의 범인은 누구? [77] Leeka10341 24/05/31 10341 1
79650 [PC]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 9월 20일 스팀 발매 [35] 김티모3789 24/05/31 3789 0
79649 [모바일] 우마무스메 육성 개론(3) - 역대급 팀이 있어도 클린스만은 아시안컵을 우승하지 못했다 [9] Kaestro2104 24/05/31 2104 7
79648 [LOL] 피어엑스X에어부산 협약 [10] SAS Tony Parker 4981 24/05/30 4981 1
79647 [모바일] 한 달에 한 번씩 세계여행하는 게임.(리버스 시작하기 좋은 타이밍+추천글) [21] 대장햄토리7449 24/05/30 7449 5
79646 [LOL] T1 2023년 영업손실 120억원 [152] 종말메이커14825 24/05/29 14825 15
79645 [LOL] 2024 LCK 서머 6월 29일 토요일 T1-KT 정규 경기, 고양 소노 아레나에서 진행 [52] 매번같은8131 24/05/29 8131 4
79644 [LOL] 대마왕의 유산 | 전설의 전당 이벤트 트레일러 [95] 리니어10921 24/05/29 10921 11
79643 [모바일] 우마무스메 육성 개론(2) - 인자작 없는 육성은 로또다 [15] Kaestro4158 24/05/28 4158 4
79642 [기타] 포켓몬 팬게임 포케로그 소개 [22] 아드리아나6604 24/05/28 6604 1
79641 [LOL] 사우디컵 진행 방식 + 참가팀 + 상금 공개 [50] Leeka8777 24/05/28 877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