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10/01 22:04:42
Name OneCircleEast
Subject [LOL] 2023 아시안게임 국가대표의 3년전 모습 (수정됨)

2026년에도 리그오브레전드 종목으로 국가대표 경기가 열리게 된다면 그 때 국가대표로 출전 할 선수들은 지금쯤 뭘 하고 있을까....

하는 궁금증에 2023 국대의 2020년 9월 모습을 찾아보았습니다.


김정균
https://www.dailyesports.com/view.php?ud=2020091017172652243cf949c6b9_27
충격의 티원 감독 사임 이후에 처음으로 감독직을 맡게 된 비시게이밍에서 애매한 성적을 거둔 뒤
가정사(아내분의 임신)로 인해 사임하고 귀국합니다


최우제
https://www.gamep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5791
롤더넥스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고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우승은 당시 같은 팀 소속의 버돌 선수가 했습니다....


서진혁
https://www.xportsnews.com/article/1327698
LPL 서머 결승에서 그다지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긴 했습니다만 팀의 에이스로 확고히 자리매김하며 징동과의 장기계약을 맺었습니다


정지훈, 류민석
https://www.redbull.com/kr-ko/drx-story-like-a-movie
많은 분들이 그리워하는 바로 그 시즌의 DRX입니다.
류민석 선수는 비록 결승전에서는 패배했으나 최연소 롤드컵 출전선수로 데뷔 첫 해 롤드컵 진출이라는 대단한 일을 해냈지만,
정지훈 선수는 LCK 5시즌동안 4준우승이라는 기록을 세우면서 훗날 우승컵을 들어올릴 때 까지 많은 이들에게 부정적인 평가를 받게 됩니다.


이상혁
https://www.mbn.co.kr/news/sports/4276605
젠지와의 최종 선발전에서 패배하면서 롤드컵 진출이 무산된 시즌입니다.
김정수 감독에 의해 시즌 중에 클로저 선수와 교체기용 되기도 하는 등 순탄하지 않은 시즌을 보냈습니다.


박재혁
https://www.inven.co.kr/webzine/news/?news=244301&site=lol
롤드컵 진출전에서 좋은 활약을 보이면서 롤드컵 진출에 성공합니다.
다만 시즌 중에 보여준 완벽하지 못한 모습들로 인해 그렇게 많은 기대를 받지는 못합니다.



이렇게 모아놓고보니 당시에 '이 사람이 3년 뒤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나가서 금메달을 따게 된다'라고 말했을 때

한 치의 의심도 없이 받아들일만한 사람은 없지 싶네요

역시 사람 일은 어떻게 될 지 아무도 모릅니다....


+ 아침에 일어나서 댓글을 확인해보니 룰러선수의 평가에 대해서 제가 잘못 적어놓은 듯 하여 수정합니다
사실 생업에 바빠서 리그를 잘 챙겨보지 못했던 시기라서 평가는 그냥 당시 커뮤니티들에 올라온 글들을 참고했는데
룰러까가 올린 글을 제가 잘못 본 듯....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캡틴백호랑이
23/10/01 22:16
수정 아이콘
만약 작년에 아시아게임이 열렸었다면 카나비, 룰러도 없었죠
다른 멀티버스에선 작년에 열리고 데프트가 군면제가 되었겠죠..
23/10/01 22:26
수정 아이콘
작년엔 데프트도 못뽑혔을껄요 스프링끝나고 뽑은거라
캡틴백호랑이
23/10/01 22:52
수정 아이콘
작년엔 10명 뽑지 않았나요??
그래서 캐니언이 그때 데프트한테 번호 땄었다고 했었는데
23/10/01 22:56
수정 아이콘
후보는 베릴도 뽑혔죠.. 룰러는 고사했고
페로몬아돌
23/10/01 22:33
수정 아이콘
그때는 티원에서 케년이냐 쵸비냐 이야기 했던걸로 기억이 드는데요
종말메이커
23/10/01 22:37
수정 아이콘
작년에는 5T1 이야기하던 시절이죠
Bronx Bombers
23/10/01 22:48
수정 아이콘
작년 기준으로 뽑았으면 짤없이 5 T1+쵸비 또는 캐니언이었을 겁니다.
종말메이커
23/10/01 22:36
수정 아이콘
저 때 이 사람이 국가대표가 된다고 하면 가장 의외인 사람은 카나비겠네요
두번째로는 제우스...
종말메이커
23/10/01 22:39
수정 아이콘
이야기 나온김에 재미삼아 다음 아겜 국대도 뽑아보고 타임캡슐처럼 열어보면 재밌겠네요
DownTeamisDown
23/10/01 23:18
수정 아이콘
일단 2026인지 2027인지 부터 생각해봐야겠네요.
2027 아시안게임이라는 이야기도 솔솔 돌고 있어서
마라탕
23/10/01 22:45
수정 아이콘
2020년 9월의 룰러는 역대 최고의 원딜 폼 중 하나 아니었나요? 스프링때야 오락가락 했지만 저때 서머부터 플옵~선발전까지 파멸적인 폼이어서 기대 많이 받았죠.
Bronx Bombers
23/10/01 22:47
수정 아이콘
룰러에 대한 선수 기대치 자체는 그랬는데 정작 팀은 별로 기대를 못 받긴 했죠.....당시 배당 보면 8강 가까스로 드는 수준이었을 겁니다
마라탕
23/10/02 10:52
수정 아이콘
그건 맞는데 위 예시들 설명 보면 팀 기대보단 개인의 기대치를 말하시는듯 싶었어서..
리얼포스
23/10/01 23:12
수정 아이콘
계란론의 산 증인 같은 거였죠
EurobeatMIX
23/10/01 22:52
수정 아이콘
20룰러 당시 포스는 대단했는데요
니시노 나나세
23/10/01 22:58
수정 아이콘
20년 섬머 퍼스트멤버가 역대 퍼스트 멤버중에서 최고이긴 했는데...

너구리 캐니언 쇼메이커 룰러 베릴
히라테유리나
23/10/01 23:13
수정 아이콘
진짜 올해에 열려서 정말 다행이라고 할 수 밖에 없네요. 작년이었다면 한국 국대가 중국 국대처럼 비난받을 뻔
에바 그린
23/10/01 23:46
수정 아이콘
20 서머의 룰러는 미쳤는데 롤드컵때 중이염 이슈가 아쉬웠죠.
그리고 사실 중이염 걸린 룰러보다 팀원들이 더 아쉬웠고.
23/10/02 00:06
수정 아이콘
쵸비는 가능하죠.룰러도 이상할거 없고..
10빠정
23/10/02 05:52
수정 아이콘
맨날 만약에~ 라면서 투닥투닥 하지만 그게 너무 꿀잼이라 끊을수가없네요 크크
Un Triste
23/10/02 08:17
수정 아이콘
20서머 룰러는 개인기량 최전성기 찍었다며 엄청 고평가받던 시즌인데 (그 이후에 더 높은 곳이 있었다는 게 충격과 공포지만) 기억을 잘못하신듯
OneCircleEast
23/10/02 09:04
수정 아이콘
아침에 일어나서 댓글을 확인해보니 룰러선수의 평가에 대해서 제가 잘못 적어놓은 듯 하여 수정합니다
사실 생업에 바빠서 리그를 잘 챙겨보지 못했던 시기라서 평가는 그냥 당시 커뮤니티들에 올라온 글들을 참고했는데
룰러까가 올린 글을 제가 잘못 본 듯....
데몬헌터
23/10/03 08:44
수정 아이콘
기대 못받는 젠지는 여전히 못막는중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301 [LOL] 한중 스위스딱. 그 주인공은 누가 될 것인가? [76] Leeka13136 23/10/24 13136 4
78295 [LOL] 재미로 보는 LCK 팀들의 대진 난이도 [29] Leeka11012 23/10/23 11012 1
78286 [LOL] 징동, 젠지 8강 진출 확정! [120] Leeka19415 23/10/21 19415 5
78283 [LOL] 징동의 오랜친구에 대한 우정표시 [22] Leeka13442 23/10/20 13442 0
78279 [LOL] 중국, 8강 진출 확정 - 스위스 2일차 후기 [31] Leeka18029 23/10/20 18029 2
78277 [LOL] Last hope of Europe - G2 [18] Leeka9489 23/10/20 9489 2
78269 [LOL] 또 너냐 ??? [128] insane14410 23/10/19 14410 1
78268 [LOL] 이번 월즈 결과로 변동할 수 있는 역체라인 [49] 잘생김용현11034 23/10/19 11034 0
78252 [LOL] T1 롤드컵 자켓 입고 관련 추가 공지 [40] Leeka10169 23/10/18 10169 0
78239 [LOL] 노페의 스위스 스테이지 메타 예측.txt [31] Bar Sur12132 23/10/16 12132 0
78235 [LOL] 롤드컵 역사상, 한중 조별딱은 몇번이나 있었을까? [22] Leeka10280 23/10/16 10280 0
78223 [LOL] 베트남 본선진출 확정!! + 유럽과 대만은 누가 갈 것인가? [19] Leeka12932 23/10/14 12932 3
78207 [LOL] 한국 오는 주요 외국팀들 부트캠프 위치 [23] Pzfusilier12866 23/10/11 12866 0
78194 [LOL] LCK 4팀의 시드어드벤티지 정리 [14] Leeka12945 23/10/09 12945 3
78193 [LOL] 한국 롤드컵 중계가능 BJ 9인이 확정되었습니다 [25] Leeka13421 23/10/09 13421 0
78190 [LOL] 캐드럴이 뽑은 파워랭킹 TOP 25 [57] 코우사카 호노카13671 23/10/08 13671 0
78185 [LOL] 월즈 참가 4개 구단의 롤드컵 자켓 일정이 나왔습니다 [31] Leeka12106 23/10/06 12106 0
78169 [LOL] 롤드컵 중계 가능한 팀 스트리머 명단 유출(?) [19] Leeka12786 23/10/04 12786 1
78155 [LOL] [펌글] 야마토캐논의 월즈 팀 티어리스트 및 평가 (feat. LCK+LPL+G2) [42] 아롱이다롱이11544 23/10/02 11544 2
78151 [LOL] 2023 아시안게임 국가대표의 3년전 모습 [23] OneCircleEast11298 23/10/01 11298 2
78125 [LOL] KT롤스터 월드 챔피언쉽 유니폼 공개 [35] 껌정11808 23/09/27 11808 2
78123 [LOL] 젠지 월드 챔피언쉽 유니폼 공개 [63] 껌정11669 23/09/27 11669 2
78121 [기타] e스포츠산업 이론 강의 3년. 우리는 어디까지 왔는가 [10] 노틸러스11664 23/09/27 11664 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