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6/20 18:09:59
Name 자아이드베르
File #1 20230620_174542.jpg (65.3 KB), Download : 489
Subject [스타1] [추억] 저그 유저의 로망, 투신 박성준


일단 저는 저그 유저였음을 밝혀둡니다.

제가 스타를 처음 시작했을 때 저그 유저들의 상황은

처참했습니다. 단 한 명의 개인리그 우승자도 없었죠.

유일한 희망이었던 폭풍 저그 홍진호 선수도 결승만 가면

패배하여 슬픔을 이루 말할 수가 없었습니다.

진짜 이 종족으로는 우승할 수 없나? 라고 의구심을 품게 될

즈음에 혜성같이 등장해 저그 유저들의 숙원를 풀어준 선수가

바로 이 싸인의 주인공, 투신 박성준 선수입니다.

04 질레트배 OSL을 시작으로, 05 ever배 우승 그리고

제가 이 싸인을 받은 시점에는 전성기에서 내려왔다고

평가받던 2008년 즈음이었어요.

마읍읍, 이제동 선수 등 내로라하는 저그 프로 선수들이

많이 등장했었지만, 저는 저그의 암흑기를 뚫어내고

첫 광명을 찾게 해준 박성준 선수를 여전히 응원하고 있었습니다.

(롤드컵에서 LCK 암흑기를 이겨내고 우승을 차지한 담원을 응원하게 된 건 어찌보면 제게 필연이었을 수도 있겠네요 크크)

당시 대 공군전을 3:0으로 이기고, 용산 이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싸인을 받으려고 대기하다가 박성준 선수를 만났습니다.

그는 흔쾌히 싸인을 해주었고, 이번 스타리그에서 꼭

우승해달라고 부탁했죠. 그리고 3개월 후에 도재욱 선수를

이기고 진짜로 우승 후 골든마우스를 획득했습니다.

저는 05, 08년도 우승을 직관했었는데 이 맛을 못 잊어서

아직도 이스포츠를 보고, 응원하고 있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6/20 18:13
수정 아이콘
질레트배 대단했죠... 유튜브서 4강 다시봐도 재밌더라고요
자아이드베르
23/06/20 18: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상대가 당시 최강 포스 최연성 선수였죠. 아직도 기억에 남는 명경기입니다.
대구머짱이
23/06/21 11:12
수정 아이콘
실질적인 스코어는 5대0이라는 그 시리즈..
천혜향
23/06/20 18:24
수정 아이콘
itv랭킹전을 보고 나서 본게 질레트배라서 더 놀라웠던거 같아요.
무적의 원배럭더블을 그냥 박살내버림
자아이드베르
23/06/20 18:52
수정 아이콘
당시 테란 유저들이 너무 미웠습니다 크크 역대 본좌 라인에 테란 유저들이 즐비했으니...
김연아
23/06/20 19:16
수정 아이콘
플토유저이자 플토빠가 저그선수의 팬이 되어버렸어요
자아이드베르
23/06/20 20:02
수정 아이콘
저그의 첫 우승이었지만, 박성준 선수의 화끈한 스타일은 정말이지 팬들을 열광케했습니다.
데몬헌터
23/06/20 19:27
수정 아이콘
이때를 기점으로 저그에게 환호했고, 그 녀석 떄 전율을 느끼고,이제동 어윤수선수가 결승에서 연거푸 지는걸 보고 아쉬움을 삼키고, 어윤수 선수가 마침내 월즈를 먹는걸 보고 오열하고, 세랄이 저그로서 스타판의 최강자가 될 때 뭐라 말하기 어려운 혼돈의 감정을 느꼈습니다
그게 벌써 20년이 되는군요.
자아이드베르
23/06/20 20:03
수정 아이콘
그 녀석 크크 그 사건만 없었더라면 정말 임요환의 뒤를 잇는 스타계의 아이콘이 되었을 수도 있었을텐데 아쉽습니다.
Life's Too Short
23/06/20 20:35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 최고로 좋아하던 선수입니다
할수있습니다
23/06/20 20:44
수정 아이콘
ITV랭킹전으로 입문해서 빠져들었죠. 케스파1위 장기집권까지. 팀 뎁스가 조금만 더 좋았다면 당시기준 MSL에서도 좋은성적 얻지 않았을까 아쉬웠어요.
자아이드베르
23/06/20 21:24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좀 더 빨리 강팀에 갔더라면 더 장수할 수 있었을텐데요. 물론 전 POS-엠겜 시절에 소년가장 느낌도 좋았지만요.
딱총새우
23/06/20 23:53
수정 아이콘
최초의 테란을 때려잡는 저그로 기억합니다.
지탄다 에루
23/06/21 00:39
수정 아이콘
박성준 선수는 초기 등장 때 포스도 정말 대단했지만
기량이 떨어진 후반기에도 토스전의 승률이 너무 엄청났고 그게 정말 멋졌던 기억이 납니다.
롱런하던 선수들이 프로리그 세대들에게 점점 밀려나던 시기, 마지막 스타일리스트 같은 모습이었어서 로망이 있었던 것 같아요.
자아이드베르
23/06/21 01:41
수정 아이콘
정말 스타일리쉬했죠. 말씀하신대로 기량이 떨어진 시점조차도 토스전은 엄청나서 결승전에서 도재욱 선수를 울리고 말았죠...
스파이도그
23/06/21 01:13
수정 아이콘
정말 좋아하는 선수중하나...

투신박성준 닉네임도 너무 잘 어울리죠
청운지몽
23/06/21 05:13
수정 아이콘
치즈러쉬오니깐 드론러쉬로 맞받아친적도 있지 않나요?

화끈함이 참 매력적인 선수로 기억에 있네요
자아이드베르
23/06/21 10:09
수정 아이콘
제 기억이 맞다면 스니커즈배 이윤열전이었던 거 같은데, 엄청났죠. 타이밍상 앞마당에서 막아보려 했으면 10에 9는 졌을겁니다. 참으로 박성준 선수다운 과감한 발상이어서 중계진도 무척 즐거워했죠.
청운지몽
23/06/21 12:39
수정 아이콘
아 이벤트대회였었죠!
그리고 우승자가 그때 홍진호였나요 아마 크크
자아이드베르
23/06/24 19:18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크크 이벤트전의 황신!
제가LA에있을때
23/06/21 08:21
수정 아이콘
4강 마지막 경기를 마치고나서
저그가!!! 이야!!! 하면서 소리지르던 중계진이 생각나네요.
자아이드베르
23/06/21 10:09
수정 아이콘
엄옹의 목소리가 여기까지 들려오는 것 같습니다 크크
제가LA에있을때
23/06/21 08:22
수정 아이콘
아직도 유튜브에서 질레트 4강이나 08에버 결승을 봅니다. 속이 시원해요
자아이드베르
23/06/21 10:10
수정 아이콘
저도 오랜만에 옛 경기를 좀 들춰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갑자기 땡기네요.
지구 최후의 밤
23/06/21 09:22
수정 아이콘
08 우승이 진짜 감동적이었죠.
하지만 입벌린 김택용이 제 기억을 오염시켜서 그 장면만 떠오릅니다 ㅠ
자아이드베르
23/06/21 10:10
수정 아이콘
크크 떠올려버렸습니다...
23/06/21 09:49
수정 아이콘
저한테는 '호감 있는 선수가 종족이 저그인 경우'와 '저그 플레이가 멋진 선수'가 조금 다른 의미인데, 전자가 김준영 선수고 후자가 박성준 선수네요. 박성준 선수의 저그는 무척 멋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아이드베르
23/06/21 10:12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으로 가장 저그스럽게 플레이한 선수를 2명 꼽자면 홍진호 선수와 박성준 선수를 꼽고 싶습니다. 김준영 선수의 결승전 서사도 너무 멋졌죠. 우승하고 아버님과 포옹하는 그 장면은 이스포츠 손꼽히는 명장면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지구 최후의 밤
23/06/21 11:54
수정 아이콘
5세트는 진짜 명경기였죠.
엄옹의 주옥같은 멘트도 함께 떠오르네요
자아이드베르
23/06/24 19:18
수정 아이콘
대인이... 대인이 되야합니다!
23/06/21 09:56
수정 아이콘
‘왜냐하면 투신이기 때문에’

그 감동은 영원히 기억할 것 같습니다
자아이드베르
23/06/21 10:13
수정 아이콘
크 선수로서 가장 영광스럽고 탐나는 호칭이 아닌가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970 [스타1] HBD GOAT [21] SAS Tony Parker 12952 23/09/04 12952 7
77961 [스타1] 그래 한번 들이받아 보자. [17] kimera13034 23/09/02 13034 18
77908 [스타1] 쌈장 이기석이 근황 올림픽에 나왔습니다 [5] SAS Tony Parker 11799 23/08/26 11799 0
77735 [스타1] 정명훈 피셜 레이트 메카닉은 내가 만들었다.JPG [26] insane15059 23/08/09 15059 1
77656 [스타1] 스타판을 돌아보면 생각나는 선수들의 계보 [23] meson18296 23/07/31 18296 13
77470 [스타1] [추억] ES FORCE, 그리고 기타 소장품들 [21] 미국11871 23/06/30 11871 9
77445 [스타1] [추억] 비록 기억이 희미할지라도 [3] 발그레 아이네꼬11267 23/06/27 11267 2
77440 [스타1] [추억] 최초의 프로게이머 스타1 공략집 [26] 알렉스터너11813 23/06/26 11813 4
77428 [스타1] [추억] 히어로샵을 아십니까 [4] Xeri9966 23/06/24 9966 4
77427 [스타1] [추억]MBC GAME HERO [5] 해맑은 전사10264 23/06/24 10264 3
77411 [스타1] (베틀넷) 스1 리마스터 반값 할인 [18] SAS Tony Parker 14351 23/06/21 14351 0
77406 [스타1] [추억] 저그 유저의 로망, 투신 박성준 [32] 자아이드베르12736 23/06/20 12736 12
77405 [스타1] [추억] 파이터포럼을 아십니까 [44] 솜사탕흰둥이12982 23/06/20 12982 12
77404 [스타1] [추억] 랜파티 갔다가 [26] 허브메드12818 23/06/20 12818 26
77402 [스타1] [추억] 코엑스 세중게임월드에서 받은 마우스패드 [4] Titleist10533 23/06/20 10533 8
77392 [스타1] [추억] 이스트로를 아십니까? [52] bifrost12716 23/06/19 12716 6
77200 [스타1] 왜냐맨 장민철 근황(스타1 BJ) [32] 김재규열사17358 23/05/18 17358 4
77157 [스타1] 준우승이 프로게이머에게 미치는 영향.mp4 [24] insane13866 23/05/08 13866 1
77142 [스타1] 귀족 테란 김정민이 말하는 초창기 프로게이머 썰 [44] Avicii18452 23/05/06 18452 18
77024 [스타1] ASL 최초 우승자가 탄생할 ASL 15 [26] insane12888 23/04/11 12888 3
76855 [스타1] ASL 조지명식에서 김지성은 장윤철을 왜 그렇게 무서워했나.. [22] 마르키아르11287 23/03/17 11287 0
76842 [스타1] ASL 시즌 15 조지명식 결과 [28] insane12999 23/03/15 12999 2
76782 [스타1] 송병구가 말한 김가을 감독 썰.txt [25] insane17072 23/03/07 17072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