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5/24 00:52:10
Name 타바스코
File #1 092d0f3957890225023203108e4fe59e.png (313.2 KB), Download : 1169
Link #1 https://www.fmkorea.com/5798680317
Subject [LOL] LJL AXIZ 코바야시 대표 "E스포츠는 버블이다"



LJL팀 AXIZ 대표 코바야시 다이스케
매킨지, P & G, 리쿠르트, Gree 를 거쳐 일본테레비에서 
일본테레비 E스포츠팀 AXIZ 창단후 대표 취임

AXIZ는 2019년 시즌부터 LJL에 참가 했는데
무려 일본내 매출순위 2위의 대기업 방송국이기에
사람들이 20년에 소프트뱅크 들어오기 전까지만해도 기대를 엄청했었습니다.

하지만 19년 시즌 도중 인터뷰에서

"최고의 팀이 항상 비즈니스에서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상위권 팀들은 선수 영입 비용과 연봉이 높기에 종종 적자를 기록한다"

"우리 AXIZ는 스타급 선수들을 한번에 사들여서 우승을 노리는게아니라 시행착오를 통해 본격적으로
팀 구성과 훈련 노하우를 익히고 꾸준히 이 사이클을 유지해서 강팀을 노릴거다 "

라고 말하며 대기업 산하의 팀으로는 생각하기 어려운 지속가능한 경영을 말합니다.

그리고 8위 꼴등으로 순위를 마감하지만,

"이스포츠는 지금 버블이라고 나는 말했고, 우리는 버블 터저도 버틸만한 기초가 탄탄한 경영을 할거다"

라고 말하면서, 아니 이게 8등팀이 말할 말인가? 라고 일본팬들에게 안좋은 화제를 일으킵니다.

라이엇 재팬에서 LJL 팀당 보조해주는 보조금
(썰로는 선수 1명당 1년에 200만엔, 코치 1명 200만엔, 게이밍하우스 운영비등 보조라고합니다.)
으로 운영할만한 초저가 라인업구성을 이어가고

같은 리그의 DFM, 센고쿠게이밍, 소프트뱅크가 LPL 우승경험자인 로컨, 롤드컵우승자 블랭크, 푸만두, 
그리고 이름있는 감독 코치등 마이너리그 임에도 LEC급으로 돈을 쓰며 선수보강에 힘을 쓰는데

한국인 용병이 무조건 필요한 LJL 특성상, 비싼 용병이 아닌 진짜 안알려진
아프리카 TV BJ, 진짜 프로해보고 싶은 열의가 있는 선수들 정말 무명의 선수들을 픽업해가며
돈을 절약하면서 팀을 운영합니다. 

물론 일본 굴지의 대기업 팀이다보니 주거라던지 게이밍하우스라던지 생활면이나 복지는 괜찮다고합니다.
연봉이 짠거지.

이 코바야시 대표도 열정은 대단하거든요. 
매번 오프라인 이벤트 같은거 하면 자기가 직접 뛰어가면서 컨트롤하는 모습도보이고.
온라인으로 했었던 LJL결승을 팬들이 오프라인으로 볼수있게 일본테레비 홀에서 이벤트를 개최한다던지 
많은면에서 리그에 관심도 가지고있고...


2019년 7월에 했던 인터뷰 내용입니다.

-------------------------------------------------------------------------
"나는 e스포츠에 대한 일시적인 관심의 증가, 버블이 최고조에 달했다고 느낀다.
그리고 어떤 시장에서든, 버블은 무조건 터진다. 이걸 잊어버리고 많은 투자를 하거나
e스포츠라는 능력 이상의 일을 하려다가는 사람들의 관심이 떨어질 때 고통을 겪게 되고, 사업을 접을수도있다."

"나는 한번에 많이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그렇게 사라지는걸 원하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나는 게임과 e스포츠를 믿는다.
나는 시장 성장 속도와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꾸준히 주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단기 투자보다는 끈기 있는 중장기 사업을 전개해 대기업 팀의 강점을 살리고자 한다"

"우리는 버블이 터진뒤를 보고있다.  나는 아이들이 열쇠라고 생각한다.
오늘날의 아이들은 e스포츠에 익숙해져있다. 아이들이 성장함에 따라 e스포츠 선수와 관중은 자연스럽게 증가할 것이고,
일부는 훌륭한 프로게이머가 될 거다. 그래야만 e스포츠 문화가 점차 뿌리를 내릴 거니까.
미래의 시장 성숙을 위해 e스포츠를 지속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물론 비판받을 부분이 많습니다. 

그나마 한국인 용병 로또가 제대로 터져서 3등을 2번하긴했지만..
리그에 기생한다는 말도있고, 너무 정도를 넘었다 등 지금 리그 참여하면서 5년동안 매번 최하위권 이기에..

롤이라는 E스포츠 특성상,  단년계약이 대부분이다보니 장기적으로 팀을 운영하기가 정말 힘들기도하고
일본이라 병역의 의무는 없다보니 조금 길수 도 있겠지만. 선수 수명도 엄청 짧고요. 

하지만 이번 DRX를 보면서 우승하며 바로 터지는 모습을 보니.. 이게.. 맞나.. 싶긴도 한 점도 있기도합니다.

아래 글을 보고, 다시 코바야시 대표가 말했던게 생각나서 작성해 보았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키모이맨
23/05/24 00:57
수정 아이콘
긑쎄 롤에는 그 고통을 모르시는분들밖에 없어보인다니까요?크크크
이거쓰려고가입
23/05/24 01:07
수정 아이콘
나폴리도 이번에 우승하고 공중분해 각이 보이는거 보면 비단 E스포츠만의 일은 아닌 것 같기도 하고..
묻고 더블로 가!
23/05/24 02:39
수정 아이콘
나폴리 선수들은 그냥 더 돈 많은 팀으로 가는 것 뿐이죠...
Polkadot
23/05/24 01:33
수정 아이콘
오락실 대회가 세계구급으로 커진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23/05/24 02:35
수정 아이콘
이해는 가네요 연봉이 짜도 너무 짜보이긴하는데 단순히 장사라고만 생각해봐도 리스크를 줄이는대신 자기의 시간을 투자하는 경우도 꽤나 있으니 일본은 롤드컵 8강에 와본적없는곳아닌가요? 냉정하기 투자한다고 8강을 뚫는다는 일은 나오기 너무 어려우니까요 단지 너무 연봉이 짜도 심하게 짤뿐
계약을 개판치는것도 아니고 돈을 안주는것도 아니라면 이해갑니다
닉네임바꿔야지
23/05/24 09:05
수정 아이콘
이해 됩니다. 심심하면 오고가는 주제가 E스포츠 연봉 너무 높다. 이거 지속 가능한 거 맞냐? 이런말 이니까요.
인센스
23/05/24 09:23
수정 아이콘
일본인이 '버블은 곧 터진다'라고 하니 꽤 묵직하게 다가오는 것이 있네요...
방침 자체는 이해가 갑니다.
23/05/24 14:24
수정 아이콘
대부분 동의하는데 DRX를 사례로 들기엔 좀....
여긴 자멸한 느낌이 강한데.
본인 주가 올라갈떄도 그냥 연장계약한 선수들도 있는데 항상 22DRX 터진걸로 뭐 한다 이러는거 솔직히 이해 안가긴 합니다.
23/05/24 14:25
수정 아이콘
맞말만 하시는 배우신 분인거 같은데...
23/05/24 14:49
수정 아이콘
롤에서도 머니볼이 될런지
23/05/25 01:57
수정 아이콘
맞는이야기죠.
단, 버블이 터질때까지 롤판이 유지된다는 전제 하에서 말이죠.
phenomena
23/05/25 04:00
수정 아이콘
뭐 이해는 가고 동의하는 부분도 있는데
솔직히 일본서 롤판버블이다 거품이다 이러는건
한국서 노벨상 거품이다 필요없다 하는거랑 비슷한 느낌이라..

그렇게 결국 거품으로 무너지면 지금 최상위권 선수들도 버티지 못할텐데
이름없는선수들과 유망주로 그걸 버틸수있을진 잘 모르겠네요. 막말로 그 거품덕분에 라이엇재팬서 천만엔가량 보조해주는걸로 본인 게임단 유지중인거 아닌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766 [LOL] 2024 롤챔스 서머 결승전 개최 도시 응모를 받고 있네요. [33] 매번같은16045 23/11/27 16045 0
78765 오피셜) 일본리그(LJL) PCS 플레이오프 합류(합병) [16] 오타니17115 23/11/27 17115 0
78764 [LOL] 딱 한자리만 남아있는, LCK 1부리그 로스터 정리버전 [49] Leeka19048 23/11/27 19048 0
78763 [LOL] T1 로치 코치 재계약 [21] MurghMakhani17812 23/11/27 17812 2
78762 [LOL] 중국 월즈 진출 4팀의, 인기투표로 알아보는 현 시점 민심 [35] Leeka17968 23/11/27 17968 0
78761 [LOL] 한중 국제대회 다전제가 15:15로 동률이 되었습니다. [68] Leeka19584 23/11/27 19584 1
78760 [LOL] 유관력을 어떻게 수치화 할 것인가? [60] 삭제됨19803 23/11/27 19803 0
78759 [LOL] 오늘의 롤마노 이야기 대충 정리 [68] 리니어24452 23/11/26 24452 0
78758 [LOL] 롤마노) 1 바이퍼 = 1KT로 팀을 만든 일화 [50] Leeka21676 23/11/26 21676 0
78757 [LOL] 피넛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 [95] 작은형20598 23/11/26 20598 3
78756 [LOL] 중국 스토브리그 참고용 - 중국의 로컬 룰 [16] Leeka17299 23/11/26 17299 0
78755 [PC] 메이플스토리 디렉터 긴급방송 영상 및 내용 전문 [4] 별빛정원12952 23/11/26 12952 11
78753 [기타] 메이플 스토리 디렉터 긴급 방송 요약 [78] 닭강정16965 23/11/26 16965 4
78752 [LOL] [루머] 징동 탑은 아카데미 선수가 될 것이다 [69] 리니어15758 23/11/26 15758 0
78751 [LOL] 낭만과 현실, 그리고 스토브리그 [24] Arcturus15518 23/11/26 15518 13
78750 [기타] 맹목적으로 타인을 혐오하고 그것을 드러내는데 있어서 일련의 부끄러움도 느끼지 못하는... [39] rsnest16490 23/11/26 16490 32
78749 [LOL] 스토브리그에 빛나는 젠지 프론트 [211] 대장군24529 23/11/26 24529 2
78748 [PC] 이번 사태에서 가장 강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게임 [43] 묻고 더블로 가!18067 23/11/26 18067 8
78747 [기타] 스튜디오 뿌리 공식 사과문 떴네요. [129] 굿럭감사20923 23/11/26 20923 1
78746 [LOL] 왜 페이커는 국제전, 큰 경기에 강할까 feat. 천마의 무기는 혼돈 [64] Taima20988 23/11/26 20988 7
78745 [LOL] 결국 또 lck 미드는 이녀석들이다. [104] 원장23751 23/11/26 23751 2
78744 [PC] 주말을 불태우는 게임사들 [310] 카루오스33278 23/11/26 33278 19
78743 [LOL] 펌) T1의 롤드컵 메타 해석이 미쳤던 이유 [72] TAEYEON24963 23/11/26 24963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