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4/01 09:41:55
Name 102
File #1 PWS1.jpg (322.4 KB), Download : 931
File #2 PWS2.jpg (408.8 KB), Download : 933
Link #1 https://liquipedia.net/pubg/PUBG_WEEKLY_SERIES/2023/KOREA/Phase_1
Subject [기타] 배틀그라운드 대회도 살아있어요. (PWS PHASE1 그파 결과)




대회일정이나 방식같은건, 관심없는분은 관심없을거같고
아직 배그대회에 관심있는분들은 다 알고계실듯하여 자세히 적지는 않겠습니다.

최대한 간단히 최근 배그프로판 돌아가는방식을 적어보면
PWS1 - PGS1 - PWS2 - PGS2 - PGC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PWS = PUBG WEEKLY SERIES
PGS = PUBG Global Series
PGC = PUBG Global Championship

각 지역별로 역사와 전통 그리고 스폰서 조직구조, 팬덤, 실력 등등을 종합평가하여 파트너팀을 선정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젠지 1팀이 뽑혔습니다.
파트너팀은 어떤 혜택이 있느냐,  
첫째로 해당 파트너팀을 상징하는 인게임 아이템등을 팔아서 일부 수익을 받습니다.
둘째로 PGS (PUBG Global Series) 자동참가 시드를 받습니다.

어제 끝난 PWS1는 PUBG WEEKLY SERIES (PHASE1)  입니다.
결과를 보면 알겠지만 상위권 경쟁이 상당히 치열했습니다. 오랜만에 대회를 본 분들은 모르는팀이 많아서 당황스러웠을겁니다.
아마추어팀들도 참여했습니다. PWS가 아마추어들에게도 몇자리를 열었거든요.
PWS에서 4팀만 PGS에 참가할 수 있는데, 글로벌파트너팀은 순위와 상관없이 무조건 4팀안에 들어간다고 위에 적었습니다.
이번 그랜드파이널에서 젠지는 4등안에 들지못했지만, PWS에는 자동진출했습니다. 그래서 최종4등인 광동프릭스는 PGS에 나가지못합니다.
하지만 글로벌파트너팀도 PGS까지는 자동출전이지만, PGC는 자동출전이 아닙니다.
PGC는 PGC포인트 상위팀들이 올라오는데, PGC포인트를 얻으려면 PWS에서 높은순위를 기록하여 포인트를 쌓아야 하거든요.

쉽게 풀어보면 PWS를 통해 PGC포인트를 획득해야한다.
PWS상위팀과 글로벌파트너팀이 PGS에 진출한다.
PGS대회는 PGC포인트가 없다. [단 PGS누적 상위4팀은 PGC에 직행한다]

대한민국의 PWS (PUBG WEEKLY SERIES)를 통해 자동진출인 젠지포함 4팀이 선발되어 PGS (PUBG Global Series) 대회에 나갑니다.
PGS (PUBG Global Series)1차대회는 4월27일 말레이시아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PWS 다나와의 우승을 축하하며, PGS 한국팀의 활약도 기대해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이스타일
23/04/01 09:46
수정 아이콘
어제 젠지의 19킬 치킨과 다나와 마지막 치킨 보는데 물 올랐더군요
작년 PGC에서는 교전능력 자체에서 해외팀과 격차가 많이 느껴졌었는데 올해는 좋은 모습 보여주면 좋겠네요
23/04/01 10:00
수정 아이콘
어제 다나와 마지막에 2대4 상황에서 2명씩 전담할때 소름돋긴 하더군요. 개개인 능력치도 좋은데 잔실수 줄이면 더 좋을거같아요. 화끈한건 다나와인데, 안정감 자체는 기블리가 보기 편한느낌이 들더군요.
raindraw
23/04/01 11:24
수정 아이콘
지금보면 꽤 재밌는 대회인데 초창기에 운영을 잘못해서 별로 보는 사람이 없어서 안타깝습니다.
23/04/01 12:42
수정 아이콘
지금와서 이랬었으면...이런말 해도 소용없다는게 더 슬프네요.
저도 배그프로판 이전부터 대회방식등에대해 개인입장으로 별별 아이디어 다 내봤는데
몇개는 반영되었고 더 많은부분은 반영되지않았네요.
지금정도의 시스템으로 프로화 되었다면 분명 더 흥했을겁니다.
배그자체는 역대급 게임인데 참 아쉽습니다.
요즘 재밌는 이유중 역설적인부분은 프로팀이 줄어들어 전프로들이나 아마추어들이 많이 들어왔고
하위권은 실력차이가 확실히 나기 때문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감정이입도 확실히 되고, 뭔가 압도당한다는 느낌도 주고..
이부분은 예전에 제가 대회흥행을 위해선 몇팀은 스트리머팀이나 여성팀, 연예인팀등에게 시드를 주자고 주장한 적 있거든요.
동의못하는 분들이 많겠지만요 흐흐
23/04/01 12:52
수정 아이콘
젠지 현재 멤버구성이 파트너팀 선정 이후인지 이전인지는 모르겠지만 젠지가 선정된게 아쉬운건 사실이네요
23/04/01 13:43
수정 아이콘
젠지도 충분히 강팀이고 잘하고있긴한데, 다나와 새로꾸린 멤버구성이 워낙 탄탄하긴하죠.
솔직히 다나와 멤버구성을 보면 이번 PWS 점수를 더 받았어도 다들 고개 끄덕였을겁니다.
하지만 파트너팀 선정은 여러 조건들을 합산해서 결정한 결과라고 봅니다.
중국의 경우는 4AM과 17게이밍이 선정되었는데, 2년전 PGC 우승하고 작년 중국 PCL 우승했던 NH가 뽑히지 못했죠.
23/04/01 15:45
수정 아이콘
아뇨 뭐 그런거보다 BJ팀이 파트너팀이 됐다는게...
23/04/01 20:51
수정 아이콘
배그는 비제이가 프로이기도하고..벽이 그리없는거같아요.
23/04/01 22:43
수정 아이콘
프로가 대회 전날에 다른게임 방송하진 않죠
23/04/01 23:09
수정 아이콘
아 그런일이 있었군요. 저도 몇년전 프로대회전에 집중안하고 딴거하는경우 몇번본적있아서 어떤기분느끼셨을지 알거같습니다.
ShamanRobot
23/04/01 17:37
수정 아이콘
제가 대회자주보지는 못하지만 볼때마다 잘한다고 느끼는 선수 둘이 다나와에 모였고 역시 우승하네요 살루트와 로키도 잘하는 선수니
23/04/01 20:50
수정 아이콘
아쉽고 실망스런모습 보이다가 막날3치킨으로 우승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25667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90653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61752 13
81654 [기타] 슈퍼로봇대전 Y 후기(스포) [16] 티아라멘츠7470 25/09/12 7470 3
81650 [기타] 어떤 게임 신작과 신기한 저작권법 [13]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127 25/09/10 10127 3
81649 [기타] 대도서관이 연 길. 1인미디어, 스트리밍 플랫폼, 그리고 e스포츠 : 대도서관님을 추모하며 [19] 노틸러스12932 25/09/09 12932 41
81644 [기타] 난이도는 평가에 들어가야 하는가? 실크송의 평가 [51] 롤격발매기원8937 25/09/09 8937 0
81637 [기타] 올해의 최다 고티는 어떤 게임이 될까요? [75] Winter_SkaDi8521 25/09/08 8521 2
81625 [기타] 대도서관. 자택에서 사망 발견 [60] SAS Tony Parker 12536 25/09/06 12536 1
81612 [기타] EVO 일부 지분 사우디 공영기업 키디야가 인수 롤격발매기원3301 25/09/04 3301 0
81609 [기타] [작혼] 작성1로 승단했습니다. [26] 마작에진심인남자3619 25/09/04 3619 4
81596 [기타] QWER의 히나, DRX 공식 엠버서더로 합류 [11] EnergyFlow8008 25/09/01 8008 2
81560 [기타] 갖겜 모비노기의 신비한 공지사항 [23] 겨울삼각형8562 25/08/21 8562 0
81551 [기타] 출산 임박이라 휴가 가는 이현경 아나운서 [9] SAS Tony Parker 19548 25/08/16 19548 2
81545 [기타] ewc 철권 2일차까지 결과 [12] 김경호9164 25/08/15 9164 0
81530 [기타] (활협전) 업뎃이 떴느냐? [16] 길갈8369 25/08/11 8369 2
81527 [기타] 격겜 토키도는 왜 일본에서 빈집털이라고 불렸는가? [22] 페이커758001 25/08/11 8001 4
81505 [기타] 게임업계 검열에 나타난 강적, 맞서는 GOG [30] 설탕물10054 25/08/05 10054 3
81499 [기타] [철권]아슬란 애쉬의 EVO 우승 약쟁이의 EVO 우승 [52] 불대가리8793 25/08/04 8793 3
81481 [기타] [철권8/스파6] EVO 2025 한국어 중계 방송 & 뷰잉파티 (8.1~4) 염력의세계8050 25/07/29 8050 0
81471 [기타] 2025 T1 홈그라운드 2일차 정산: 홈그라운드 이벤트의 명과 암 [4] 노틸러스6238 25/07/26 6238 18
81466 [기타] 최근 글로벌 게임업계 동향에 대한 글 소개 [8] EnergyFlow9475 25/07/25 9475 1
81455 [기타] 번역) 빡침을 줄이는 법 [12] 인간흑인대머리남캐6727 25/07/24 6727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