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10/31 09:51:29
Name 제트버스터
Subject [기타] [햄탈워 3]카오스의 전사 소개
* 이 글은 햄탈워 3에서 개편된 카오스의 전사 팩션의 군주 및 유닛들의 장단점을 소개하는 글임을 알려드립니다.

1. 아카온 더 에버초즌(번역 명 : 영원의 선택 받은 자 아카온)

카오스의 전사의 대표 군주이며, 그에 걸맞게 마법과 근접전 둘다 준수하게 하는 하이브리드 전설 군주로 등장했습니다.
특히 2와 달리 3에서는 덩치도 커지고, 모션도 제법 화려해진 편이어서 이전보다 플레이 할 맛이 좀 더 커진 것이 장점.
카오스의 전사의 대표 군주이자 전신앙(=언디바이디드) 군주이기도 해서 다른 카오스의 전사의 전설 군주들보다 로스터의 유연성이 좀 더 괜찮은 편이며.
주로 코른이나 젠취 로스터로 구성하여 플레이 하는 것이 좋은 편입니다.
(또는 3개 이상의 카오스 4대 신의 유닛들을 섞는 것으로 로스터의 약점을 보완하는 것이 가능)
시작 지점도 꽤 무난한 위치인데다가
(남진을 하다가 서서히 서쪽으로 밀고 올라가는 방식의 커브드 루트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카오스의 전사가 개편된 봉신 시스템의 수혜를 꽤 잘 받는 편이기도 해서 봉신 스노우볼로 빠르게 영혼을 수급하면서 풀 선물 슬롯 플레이도 가능합니다.
딱히 약점이 없는 강력한 전설 군주.

2. 콜렉 선이터

카오스의 전사 중에선 유일한 괴수 전설 군주인 전설 군주이며, 근접전에 능한 무쌍형 전설 군주입니다.
(벨라코르도 있습니다만 얘는 괴수 판정이 아닌 악마 대공 판정.)
괴수 판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식한 질량 빨로 적의 전열을 웬만하면 무너뜨리는 것이 가능하고, 무쌍형 전설 군주이기 때문에 근접 전투력도 상당히 강한 편입니다.
다만, 괴수 판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상(3에서 추가된 단일 개체 유닛에 한해 발동하는 일정 체력 이하에서의 받는 피해 증폭 패시브)가 붙어있으며, 대 대형 병종에게 둘러 쌓인다면 녹아내릴 가능성도 크기에 아군의 보병진이 먼저 진입 한 다음에 콜렉이 들어가는 식으로 개싸움을 유도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거기에 어째선지 코른 쪽의 권위 수치가 -1로 스타트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전신앙 플레이를 강요 받는다는 아쉬운 문제도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화끈한 플레이를 좋아하신다면 추천해드릴만한 전설 군주.

3. 장엄한 자, 지그발트 왕자

네. 그 게이 왕자 맞습니다.
슬라네쉬를 믿는 전설군주 답게 슬라네쉬 유닛들을 위주로 로스터를 구성해서 플레이를 해야 편한 전설 군주이지만.
정작 자기 자신의 기본 스펙은 좀 어정쩡한 편이기 때문에 전열에 직접 나서기엔 약간 애매하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그나마 이런 문제는 슬라네쉬 유닛들의 높은 기동성과 고 관통 데미지를 통해 단기전으로 승부를 내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만은 슬라네쉬 로스터에 전적으로 의지하기 때문에 섣불리 다른 4대 신 유닛들을 투입하기가 애매하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로스터의 자유도는 콜렉이나 아카온보다는 낮은 쪽에 가깝습니다.

4. 그림자 대공, 벨라코르

카오스의 전사의 유일한 악마 대공이자, 악마 병종들을 유연하게 다루는 악마 병종 위주의 로스터를 구성하여 플레이 할 수 있는 전설군주입니다.
시작 위치는 침입을 웬만하면 당하지 않는 알비온에서 스타트하며, 악마 병종의 유지비 -25% 감소가 붙어있기 때문에, 악마 병종 위주의 구성을 통해 쉽게 게임을 풀어나갈 수 있습니다.
악마 병종의 유닛들을 중점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자전으로도 웬만하면 부대 손실이 잘 나지 않고, 수전을 해도 꽤 호쾌한 느낌으로 전투가 풀리기 때문에, 의외의 강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필멸자 유닛들의 비중이 다른 카오스의 전사 쪽 전설 군주들에 비해 유달리 낮은 편이어서, 순간적인 안정성에서의 불안함이 증폭될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는 것이 약간 아쉬운 부분.

5. 피투성이 발키아

코른의 전설 군주이자 카오스의 전사에선 유일한 여성 전설군주입니다.
기본 스펙은 무쌍형 전설 군주의 기본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며.
코른을 믿는 전설 군주 답게, 코른 유닛들과 코른 계열 악마 유닛들만을 사용해야 한다는 사소한 문제가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일단 전설 군주로써의 자체 스펙과 코른 유닛들의 기본 스펙을 믿고서 시원하게 미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외로 플레이 난이도는 그렇게 높은 편이 아닙니다.
시작 위치가 좀 난감해서 그렇지(...)
(시작 위치는 나가로스 북동부)

6. 거머리 왕, 페스투스

너글을 믿는 카오스의 전사의 전설 군주이자, 너글 학파의 마법사 군주입니다.
또한 토글형 스킬로 체력 회복 또는 주위 적에게 도트 데미지를 주는 능력을 사용할 수 있어서
상황에 따른 대응을 할 수 있으며.
너글 유닛들의 전투 지속력이 안 그래도 좋은 편인데 더 좋게 할 수 있는 시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젠취 유닛들은 사실상 못 쓰기 때문에 원거리 병종에 대한 이득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은 아쉬운 부분.
그럼에도 너글 유닛들을 믿고 후방에서 지원을 하면서 싸울 수 있다는 건 큰 이득.

7. 아자젤

슬라네쉬를 믿는 카오스의 전사의 전설 군주이자, 사실상 슬라네쉬를 제외하면 슬라네쉬 계열에선 2인자로 불리는 전설 군주입니다.
하이브리드 전설 군주이며, 슬라네쉬 계열의 전설 군주 답게
장갑이 '5'라는 최저 수치의 장갑을 자랑합니다만.
이를 강력한 슬라네쉬 학파의 마법들로 커버하면서 무쌍도 할 수 있는 꽤 독특한 전설 군주이기도 합니다.
다만 코른 권위가 -2이기 때문에 코른 유닛들은 못 써먹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장기전은 꿈도 꾸지 말아야 합니다.

8. 저주하는 자 빌리치

젠취의 전설 군주이자, 하이브리드 군주입니다만은..
카오스의 전사나 다른 팩션들의 하이브리드 군주에 비하면..
얘는 대체 뭐 하러 나온건가 싶을 정도로 마법과 무쌍이 미묘합니다.
마법은 젠취 학파를 써서 화력적인 면에선 좋은데 정작 자체 생존력을 보장 받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무쌍 쪽은 워낙 강한 무쌍형 군주들이 많아 빛을 발하지 못합니다.
그럴 정도로 좀 많이 애매한 전설 군주.
오죽하면 현재까지도 캠페인 클리어율이 가장 낮을 정도로 연구가 안되고 있다는 문제가 존재합니다.
거기에 젠취 유닛들을 써야하기 때문에 근접전에서도 큰 이득을 볼 수 없다는 문제도 결부되어있어서
이래저래 안습한 하이브리드 군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류지나
22/10/31 10:00
수정 아이콘
아카온이 햄2 까지만 해도 유목이라 너무 재미없었는데, 드디어 제작사가 유목민족은 노잼이라는 걸 깨닫고는 좋은 방향으로 패치해주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060 [LOL] 마타가 팀을 구하고 있습니다 [78] Leeka20664 22/11/16 20664 0
76059 [LOL] 프리시즌 정글 대격변과 탑 영향력 증가 [27] 말레우스17725 22/11/16 17725 2
76058 [LOL] 프리시즌 패치 완료 [22] 반니스텔루이16326 22/11/16 16326 0
76057 [기타] 카드게임 밸런스와 메타의 건전성은 동일한가? [17] 티아라멘츠14335 22/11/16 14335 3
76056 [LOL] 검증된 선수가 정말 필요한 게 맞는가? [88] 티아라멘츠18669 22/11/16 18669 3
76055 [LOL] 롤마노 한상용의 오늘 썰풀이 모음. [51] Lazymind20257 22/11/15 20257 3
76054 [LOL] 롤도사는 양대인이 만든게 맞았다? - 베릴 뉴 인터뷰 [146] Leeka25026 22/11/15 25026 16
76053 [LOL] 2023 LEC 1스플릿 로스터 (거피셜) [39] BitSae12985 22/11/15 12985 0
76052 [LOL] 한상용이 말하는 S급 선수 [49] Leeka20584 22/11/15 20584 2
76051 [LOL] 도인비가 오늘 말하는 연봉 및 스토브리그 이야기 [90] Leeka23034 22/11/15 23034 1
76050 [LOL] 2022 한중일 이스포츠 대회 상세일정/중계진/방송 플랫폼 안내 [7] 14734 22/11/15 14734 1
76048 [LOL] 신연재 기자 최저연봉 관련 정정 트윗 [22] 리니어16681 22/11/15 16681 0
76047 [LOL] 롤도사가 말하는 DRX가 우승할 수 밖에 없는 이유 3가지 [16] Leeka16221 22/11/15 16221 9
76046 [LOL] 2022 Summer 정규 바텀 밴픽 [3] 로크13095 22/11/15 13095 0
76045 [LOL] 구마유시 개인방송 썰 요약 모음 [85] Leeka23905 22/11/15 23905 4
76044 [LOL] 데프트피셜 억제기 한대 남았을때 신이 나를 버렸구나 생각했다 [27] insane17679 22/11/15 17679 8
76043 [LOL] 데프트) 쵸비랑 케리아가 롤드컵 내내 내 방에 놀러왔다. 외 데프트 썰 모음 [33] Leeka22222 22/11/15 22222 16
76042 [LOL] 킹겐피셜 쏭감독이 애틀란타에서 뽑은 포춘쿠키 부정탈까봐.jpg [23] insane14486 22/11/15 14486 5
76041 [LOL] 하나은행 × T1 아마대회 총상금 4400만원.jpg [5] insane14457 22/11/15 14457 0
76040 [LOL] 데프트는 모든 소속팀에서 롤드컵을 갔고, 4개의 팀에 트로피를 선물했다. [12] Leeka14946 22/11/15 14946 1
76039 [LOL] 칼바람 대규모 패치 예고 [70] Leeka18513 22/11/15 18513 2
76038 [LOL] 동서양 메이저 리그의 격차가 얼마나 벌어졌는지 알 수 있는 기록 [36] 묻고 더블로 가!18103 22/11/15 18103 3
76037 [모바일] [몰루 아카이브] 11/15(화) 업데이트 상세 안내 [11] 캬옹쉬바나12701 22/11/14 1270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