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2/07 11:03:08
Name Leeka
Subject [LOL] LCK vs 해외팀들의 국제대회 다전제 히스토리 (수정됨)

* Bo5만 다전제로 적용
* 국제대회는 월즈/MSI만. 
* 플레이인은 제외함. 


12 월즈 결승 - 아주부 프로스트 1 : 3 TPA (패)

13 월즈 결승 - SKT 3 : 0 로얄클럽 (승)
14 월즈 8강 - 삼성 화이트 3 : 1 TSM (승)
14 월즈 8강 - 삼성 블루 3 : 1 C9 (승)

14 월즈 8강 - 나진 실드 0 : 3 OMG (패)

14 월즈 결승 - 삼성 화이트 3 : 1 로얄클럽 (승)
15 MSI 4강 - SKT 3 : 2 프나틱 (승)

15 MSI 결승 - SKT 2 : 3 EDG (패)

15 월즈 8강 - SKT 3 : 0 AHQ (승)
15 월즈 4강 - KOO 3 : 0 프나틱 (승)
15 월즈 4강 - SKT 3 : 0 오리젠 (승)
16 MSI 4강 - SKT 3 : 1 RNG (승)
16 MSI 결승 - SKT 3 : 0 CLG (승)
16 월즈 8강 - 삼성 3 : 0 C9 (승)
16 월즈 8강 - SKT 3 : 1 RNG (승)
16 월즈 8강 - ROX 3 :1 EDG (승)
16 월즈 4강 - 삼성 3 : 0 H2k (승)
17 MSI 4강 - SKT 3 : 0 FW (승)
17 MSI 결승 - SKT 3 : 1 G2 (승)
17 월즈 8강 - SKT 3 : 2 MSF (승)
17 월즈 4강 - SKT 3 : 2 RNG (승)
17 월즈 4강 - 삼성 3 : 1 WE (승)
18 MSI 4강 - 킹존 3 : 1 FW (승)

18 MSI 결승 - 킹존 1 : 3 RNG (패)
18 월즈 8강 - KT 2 : 3 IG (패)
18 월즈 8강 - 아프리카 0 : 3 C9 (패)
19 MSI 4강 - SKT 2 : 3 G2 (패)
19 월즈 8강 - 그리핀 1 : 3 IG (패)

19 월즈 8강 - SKT 3 : 1 스플라이스 (승)

19 월즈 8강 - 담원 1 : 3 G2 (패)
19 월즈 4강 - SKT 1 : 3 G2 (패)
20 월즈 8강 - GEN 0 : 3 G2 (패)

20 월즈 4강 - 담원 3 : 1 G2 (승)
20 월즈 결승 - 담원 3 : 1 수닝 (승)
21 MSI 4강 - 담원기아 3 : 2 MAD (승)

21 MSI 결승 - 담원기아 2 : 3 RNG (패)

21 월즈 8강 - 젠지 3 : 0 C9 (승)
21 월즈 8강 - 담원기아 3 : 0 MAD (승)

21 월즈 4강 - 젠지 2 : 3 EDG (패)
21 월즈 결승 - 담원기아 2 : 3 EDG (패)


* 총 26승 14패 65.0%

최다 연승은 15 월즈 8강 ~ 18 MSI 4강까지 이어지는 15연승 
최다 연패는 18 MSI 결승 ~ 19 월즈 8강까지 이어지는 5연패

LCK팀을 2번 이상 이겨본건 G2 (4회) / EDG (3회) /  IG (2회) / RNG (2회)  총 4팀이 존재함. 


추가로 중국과의 상대전적으로 좁혀본다면

13~17년 -> 7승 2패 77.7%
18~21년 -> 1승 6패 14.2% (아겜, MSC 포함시 1승 8패 11.1%)

18년을 기점으로, 담기가 수닝을 한번 이긴걸 제외하곤. 중국 상대 다전제 전패 중... 
(하지만 중국은 19 RNG / 20 LGD / 21 FPX, LNG가 조별딱.. 을 했지만
한국은 19~21 3년 내내 조별딱이 없다는. 평균 전력의 강점은 유지 중)



즉 LCK 최대 황금기는 15 월즈 ~ 18 MSI 4강까지.     국제대회 다전제 '15연승' / 조별딱 없음 / 월즈 결승은 한국팀 내전. 으로 이어지던 시기가 되며
18 MSI 결승부터 지금까지.  '중국 상대로 다전제 1승 6패(아겜, MSC 포함시 1승 8패).  로  
18 MSI를 기점으로 중국으로 균형이 기운 상태.. 로 볼 수 있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시마두장
22/02/07 11:12
수정 아이콘
대 LPL만 따지면 전성기 7승 2패로 잘 나가던 시절보다 더 심하게 두드려맞고 있는 셈이군요 흑...
League of Legend
22/02/07 11:18
수정 아이콘
체감하는 것 이상으로 차이가 심한데 올해는 다르길
더치커피
22/02/07 12:01
수정 아이콘
LPL은 다전제에서 질거 같은 팀들은 그냥 16강딱 해버리는 거네요 크
오늘하루맑음
22/02/07 12:02
수정 아이콘
저걸 최소 엄대엄으로 갈려면 올해-내년까지 다 쓸어담아야합니다

극단적으로 21 MSI가 중국 편향 주작이라고 전적에서 날려도 다전제 1승 5패죠

LCK가 비열하게(?) 이기고 싶으면 한국 서버를 우리나라 사람 혹은 LCK/LCK-CL에서 뛰는 외국 선수가 아니면

접속 금지 해버리는 방법도 있긴 합니다
스덕선생
22/02/07 12: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단판에선 이기고 다전제에서 지면 그냥 실력차가 났다고 봐야죠.

LCK 황금기때 점멸늑대가 단판제에서 롤드컵 우승권팀 간간히 잡았다고 세체팀이라고 안 하는 것처럼요.

밴픽에서 준비성이 좋았다고 우기려고 해도 빈말로도 코칭스탭이 잘했다곤 못 하겠고요. 당장 롤드컵 우승한 EDG도 어이없는 밴픽과 발운영으로 뒷목을 잡게 했는데 체급으로 우승했죠.
그림자명사수
22/02/07 12:44
수정 아이콘
준비성 좋아서 우승한 사례는 펀플러스 정도 생각나네요
물론 체급이 낮은건 아니었지만 G2와의 결승전에서 상대의 장점을 완벽하게 카운터치는 운영을 준비해왔죠
22/02/07 12:21
수정 아이콘
g2의 대 lck 전적이 대단하긴 하네요.
22/02/07 12: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lpl이 조별리그에서 자꾸 북미나 유럽한테 발목을 잡히는 경향이 있죠. 근데 8강부터는 lck 북미 유럽 상대 안가리고 다 패면서 올라갑니다.
최근 4년간 lck vs lpl은 의외로 단판제는 엄대엄인데, 다전제에서 거의 다 지고있죠.
18년도부터 lpl이 lck를 앞지르기 시작한건 사실입니다. 진짜 20년 담원 아니었으면, 끔찍했을듯.
22/02/07 13:59
수정 아이콘
17년도 까지만 해도 다전제에서 한국팀이 지면 충격의 대이변급이었는데, 18년부터 줄줄이 패패패패패를 보니 속이 쓰리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272 [LOL] 실버스크랩스는 정말 흔하게 나오는 노래인가? [17] Leeka17094 22/09/03 17094 0
75271 [LOL] [기타] T1 원데이 클래스 이벤트 [2] 살아가라~13397 22/09/03 13397 1
75270 [LOL] [클템] DRX vs KT 월즈 선발전 찍어! [14] 삭제됨16586 22/09/03 16586 1
75268 [LOL] 롤드컵 최초 두자리수 진출 횟수를 지닌 프나틱 [18] 반니스텔루이16085 22/09/03 16085 0
75266 [LOL] It is time, 프나틱 [17] 이거쓰려고가입15031 22/09/02 15031 1
75264 [LOL] 갑자기 선수교체가 마구 나오는 한중 다전제 [29] Leeka18591 22/09/02 18591 0
75262 [LOL] 나는 도대체 왜 이 팀을 응원할까 [87] Arcturus19440 22/09/02 19440 31
75261 [LOL] EDG가 중국 3번시드로 월즈에 & 기가바이트마린즈도 월즈에 옵니다! [36] Leeka18150 22/09/02 18150 1
75259 [LOL] 리브샌박 나와!! 다시 붙자 - 선발전 패자조 후기 [92] Leeka19263 22/09/02 19263 4
75258 [LOL] 랜덤픽이 아닌 줄 알았는데 맞았던(...) 랜덤픽 [54] 삭제됨16603 22/09/02 16603 0
75257 [LOL] 진영선택권의 코인토스 방식은 유지되어야 하는가 [85] gardhi20746 22/09/02 20746 7
75255 [LOL] [클템] DWG vs SB 선발전 찍어! [51] 삭제됨18558 22/09/02 18558 0
75254 [LOL] 신지드에게 감사를 표현하는 덕담과 켈린 [25] Leeka18835 22/09/02 18835 7
75253 [LOL] 2022 롤드컵 조추첨 9월 12일 LCS 결승전 이후 진행, 그룹 구성 방식 [13] 타바스코14704 22/09/02 14704 2
75252 [LOL] 롤드컵 조편성 방식이 공개되었습니다 (지옥의 플레이인..) [22] Leeka17591 22/09/02 17591 1
75251 [LOL] CTBC Flying Oyste 가 13번째 롤드컵 진출팀이 되었습니다 [4] Leeka13164 22/09/01 13164 0
75250 [LOL] 중뽕들아 재키러브 룰러급이라며, 중체원 퍼스트라며 [64] Leeka19796 22/09/01 19796 0
75249 [LOL] 카나비 LPL 2회 우승 달성!! 재키러브가 재키러브한 LPL 결승 [43] Leeka18078 22/09/01 18078 1
75248 [LOL] 룰러 선수 및 BJ냥슬 공지 [64] 이거쓰려고가입18180 22/09/01 18180 14
75247 [LOL] 리그별 티켓 배정 및 선발 방식 총정리 [2] Leeka13480 22/09/01 13480 0
75246 [LOL] 양대인 인터뷰 일부(돌림판, 밴픽 등) [108] 에바 그린19652 22/09/01 19652 3
75245 [LOL] LCK 최초 4년연속 롤드컵 진출을 달성하는 담원기아!! [113] Leeka20976 22/09/01 20976 6
75244 [LOL] 빙빙 돌아가는 회전목.. 아니 돌림판 (feat. LCK, LPL) [37] 이거쓰려고가입17728 22/09/01 17728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