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8/07 01:18:30
Name 바인랜드
Subject [LOL] 게임은 선수들이 하지만 선수 선발은 감독이 하죠. (수정됨)
야구판과 롤판에서 통용되는 흥미로운 공통점 하나가 있습니다.

바로 경기, 인게임은 결국 선수들이 풀어나가는 것이다 라는 시각이죠. 그리고 이건 아마 두 스포츠 팬들 대부분 동의할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 공통점 때문에, 선수들의 플레이에 대해 내릴 수 있는 평가나 비판과는 별개로 온전히 감독의 책임으로 돌아가게 되는 영역이 감독의 선수 선발 권한입니다.

이번 올림픽 야구 대표팀 김경문 감독이 받고 있는 가장 큰 비판 중 하나가 바로 이 부분이기도 하죠. 리그에서 포지션별 1위에 가까운 뛰어난 성적을 보여주었던 최정, 강재민, 정은원 같은 현재 폼이 우수한 선수들을 배제하고 본인의 고집대로 선수들을 뽑아놓고는, 정작 그 뽑아놓은 선수들의 활용에 있어서도 (황재균, 조상우 등...) 엄청난 비판을 받고 있으니까요. 아직 도미니카전이 남아있긴 하지만...

이번 스프링 시즌 맨유, 아니, 티원에서 유래없는 돌림판을 보여주었던 양대인 전 감독 역시 티원 감독직을 수행하는 동안 본인이 감독으로서 선수기용 영역에서 쌓은 WAR, 승리기여도는 1.0은커녕 음수였으리란 점이 팀을 나간 후에야 여실히 드러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선수기용에 있어서는 유사한 욕을 먹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한화의 손대영 감독이나 KT의 강동훈 감독도 마찬가지구요.

스프링때 제가 양대인 전 감독의 막장 팀운영을 비판했던 가장 큰 골자가 바로 이 선수 기용, 다른 그 누구의 책임도 아닌 감독만의 영역에서 막장스러운 모습과 결과를 보여주었다는 데에 있었고... 티원으로 바뀐 이후 줄곧 이 팀 프론트를 비판해왔지만 이번 선택에 있어서는 (무척 약오르게도) 옳은 결정이었지 않나 합니다.



사족으로 SKT T1과 페이커의 오래디 오랜 팬으로서 작년부터 올해까지 정말 이래저래 속이 뒤집히는 일들의 연속이었습니다만... 물론 아직 남은 리그 경기도 있고, 플옵도 치뤄야 하며, 롤드컵 진출 여부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만...

비로소 13년부터 19년까지 이 팀, 그리고 페이커 선수가 보여주던 모습들이 서서히 되살아나고 있는 것 같아서 참 기쁘고... 지난 1.5년의 삽질(?)이 무척 원망스럽고 그렇네요.

사족 하나 더. 이 팀이 유리할수록 시야로 그 스노우볼을 굳히는 부분을 더 신경 써주었으면 합니다. 샌박전 바론스틸 장면에서의 갑론을박을 제외하고서라도, 샌박전에서나 오늘 젠지전에서나 운영의 우세가 흔들리는 순간은 언제나 상대들이 시야의 맹점을 잘 파고들어오는 순간 아닌가 싶거든요. 이 부분에서 케리아 선수가 가장 큰 비판을 받고 있기는 한데 오늘 시야 점수를 유심하게 보면 오너 선수 역시도 전체적으로 시야 점수가 뒤떨어지더라구요. 요즘 미드 일자부쉬에 시야없고 상대 매복 장면 너무 자주 보여서 그때마다 조마조마합니다. 오너나 케리아나 에포트가 조커 코치의 도움을 받았던 것처럼 울프의 원포인트 시야레슨이라도 다 함께 받아보면 좋지 않을지... 그냥 어떻게든 불안요소가 보완이 됐으면 해서 써봤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한방에발할라
21/08/07 01:21
수정 아이콘
그래도 양대인 정도면 양반인 거 같습니다. 작년에 7일의 전사 한다음 져놓고 그 멤버가 최선은 아니었다고 한 김정수는.....
바인랜드
21/08/07 01:25
수정 아이콘
중국 가서도 스프링 말아먹고 욕 먹던 것 같은데 썸머는 반등하는 것 같기도 하더니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네요. 새삼 스프링때 썼던 글의 제목이 되새겨집니다. '명장병'... 크크. 양반이라고 쳐주기엔 그냥 도찐개찐으로 봐도 무방한 것 같아요. 다만 책임감 면에 있어서는 끝까지 면피하던 김 전 감독보단 그나마 양 전 감독이 나았고...
기사왕
21/08/07 02:37
수정 아이콘
7일의 전사는 엘림이랑 구마유시 썰 들어보면 이미 선발전 때 팀 내부적으로 분위기 완전 박살나 있었을 확률이 큰 것 같더라구요.
스덕선생
21/08/07 03:26
수정 아이콘
김정수가 차라리 클로저 안고 선발전에서 폭사한거면 지금도 전 옹호했을겁니다. 클로저를 믿을거면 끝까지 믿던가요.
공항아저씨
21/08/07 01:50
수정 아이콘
뭐가됐던 지난날은 시원하게 잊을정도로 좋은 경기력 계속 이어나가서 만족할만한 성과 얻고 행복했으면 좋겠네요.
21/08/07 02:07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저는 양대인 감독은 티원의 로스터가 낼 수 있는 전력을 리그 우승을 다투는 탑급이 아닌, 겨우 롤드컵 진출 턱걸이 수준으로 결론 내린게 아닌가 싶어요. 그걸 우승 수준으로 끌어올리는게 감독의 의무지! 라기엔 (양대인 감독이) 팀의 주전력인 커즈-페이커-테디는 전성기에서 꺾인 선수들, 칸나 구마유시 오너 엘림 케리아는 아직 경험 부족한 풋내기들이라고 판단한건 아닌가.. 그래서 이것저것 조합해보고 실험해보고 감독 개인으로서 최적의 조합을 찾아본거라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스프링 이즈 나띵은 다들 암묵적으로 동의하는거고, 롤드컵 진출을 목표로 삼고 롤드컵에 맞춰서 전력 다듬고, 티원은 재료는 충분하니 이것저것 실험해서 롤드컵 본선에 최상의 레시피를 준비하겠다, 이게 감독 개인의 야망 아니었을지. 다시한번 말하지만 개인적으로 양대인 감독이 이렇게 생각한게 아닌가 싶은거고, 그래서 저 나름으로는 양 감독이 돌림판 돌리는것도 그럴 수 있지.라고 생각했습니다만..우습게도 감독 경질되고 새 판이 깔린 티원의 경기력과 성적이 일취월장했네요 크크크 저는 티원이 망하길 바란다기보다는 담젠농샌 혹은 담앞농샌을 롤드컵에서 보고싶었는데 이상태로 가면 티원이 한자리 차지할 느낌이네요.
21/08/07 02:26
수정 아이콘
그렇게 판단했다면 진짜 슬플거 같네요.
팬심을 빼고 봐도 T1은 투자 금액이나 선수 풀이나 뭘로 봐도 다 매번 윈나우 해야합니다.
경기력 박았어도 선수들이 말도 안되게 후지다는 평은 그렇게 까는 분들도 거진 안나왔으니까요. (억까 어그로 제외하구요)
못 먹어도 무조건 고입니다. 팀이 가져야 할 현실적인(?!!!) 목표는 매 순간 리그 우승 월즈 우승이죠.
하다 안 되야지 애초부터 목표가 그 밑이면 곤란합니다.

비교는 조악해도 맨시티급 투자하는데 감독이 챔피언스리그나 나갔으면 좋겠네 우승은 남 얘기지 하고 있는다? 바로 아웃입니다.
21/08/07 11:44
수정 아이콘
맨시티 급 이야기하기에 애초 21티원은 스토브 망하지 않았었나요?
21/08/07 11:48
수정 아이콘
투자는 망했으나 여태 돈 싸질러놓은건 최고(...)
액수만 놓고 얘기하는 겁니다.
감독도 최고연봉 줬다는 소문이 도는 판인데 해야 할 말은 우승이지 4등이면 오케이가 아니죠
트리거
21/08/07 04:33
수정 아이콘
정말 최적의 조합을 찾고, 롤드컵까지의 장기적인 플랜을 짰다고 하기엔 내부 분위기가 완전 무너져있었죠.
결정적으로 칸나 폼이 완전 주저앉았고, 팀웍은 개판이었으니까요.
gantz9311
21/08/07 02:16
수정 아이콘
이게 결국 결과론으로 가다보면 감코경질, 과연 옳았나? -> 양대인이 틀리고 슼론트+선수들이 맞았다 -> 양파 선임부터가 잘못됐다 -> 빛마쉬가 옳았다 -> 결국 모든게 슼팬탓이다로 빌드업도 가능한거라 크크 참 미묘하네요 결과

다르게 보면 페그오/메이플이란 거선을 침몰시킨 것도 누합폴부터 시작된 나비효과이니 조마쉬는 이러니 저러니 해도 그 자그만한 나비 날갯짓으로 대한민국에 지대한 폭풍을 몰고온 인물(?)이 되는게 아닐지
공항아저씨
21/08/07 02:20
수정 아이콘
양파선임부터가 잘못됐다부터는 조금 .. 아닌듯싶습니다 선생님! 선수들도 말했지만 양파 감코한테 배운게 많다고 했어요. 선수기용적인 부분이 해결되어서 이렇게 잘 풀리는거지 결국 T1플레이에 양파 감독의 노하우나 전략과 밴픽이 많이 녹아들어있다고 생각합니다. 넝담~ 삼아서 하신말씀이겠지만..
gantz9311
21/08/07 02:22
수정 아이콘
당연히 틀린말이죠, 결과론에 따른 억지 빌드업 예시를 든 것 뿐입니다!
21/08/07 02:32
수정 아이콘
...애초에 LS+폴트는 나중에도 절대 생기면 안될 선택지라.
지금도 GM 자리를 폴트 말고 리그 오브 레전드를 해본 프로 중 팀 컬러까지 관리하고 싶은 사람을 앉히는게 맞지 않았으려나...싶어요.
보다 미리 앉혀서 감독코치도 팀 컬러에 맞고, 선수도 팀 컬러에 맞게 조율해서 올려줄 수 있는 사람을요.
폴트가 무슨 대외업무를 하는건지 도저히 모르겠거든요
gantz9311
21/08/07 02:39
수정 아이콘
애초에 순수하게 나온 결과로만 억떡 굴리는 시나리오 적은거라 너무 몰입하실 필요 없습니다. 사실 억지 부리려면 끝까지 부릴수 있죠 예를들어 LS+폴트는 일어난적 없는 가정이고 미안하지만 양감독은 결과로 증명해라던가.. 크크
실제상황입니다
21/08/07 02: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스포츠는 결국 어느 정도는 결과론이라고 생각합니다. 로만이 경질 놀음으로 칭송받는 거 보세요. 결과론일 수 있겠지만 티원 정도 되는 팀에서 성적이 그 모양이면 짤리는 게 맞고, 감코 짤린 뒤에 잘나가는 거 보면 잘 짜른 게 맞는 거죠. 근데 애초에 양파 영입부터가 잘못됐었나 하면 그건 좀 애매하긴 하겠죠. 그렇다고 그게 잘못되지 않았다고 할 수도 없다 봅니다. 성적을 잘 내다가 꼬라박은 것도 아니고...
gantz9311
21/08/07 02:50
수정 아이콘
저도 생각은 비슷합니다. 사실 양감독 선임도 잘못된건 아닌데 너무 T1이랑 스타일이 안맞았고, 앞 두 감독분들이 페이커의 팀을 강화시키려기보단 자신만의 팀을 만드려는 생각으로 하다가 크게 데이지 않았나.. 일반 사회, 일반 재능들을 영함시켜 단단하게 하나로 만든다는게 대부분의 팀에 맞는 이야기일수 있으나.. 우리는 재능이 넘치는 슈퍼스타들이 소속된 팀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으니까요.

물론 이게 뇌피셜이든 진피셜이든 되면 안되고 생각만으로 끝나야 정상이겠죠!
스덕선생
21/08/07 03: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 LS가 인게임 코치인게 문제지, 폴트가 감독 자리에 있는게 문제냐 싶어요 솔직히.

롤판의 명장이라 해봐야 현역 뇌지컬 플레이어들보다 잘 볼까요? 전혀 아닐겁니다. 이 판에서 코칭스탭이 할 일은 꿀챔 찾아서 가르쳐주고, 패치노트같은거 요약해서 잘 설명해주고, 스스로 발견하기 힘든 나쁜 쿠세 잡아주고 하는거죠.

감독은 더 간단합니다. 멘탈 잡아주고 선수들 요구사항 윗선에 전달하고 하는거죠. 이 사람은 롤을 잘 알 필요도 없어요 사실. 누가 잘하는지만 알면 되죠. 자기 할 일만 잘 하고 쓸데없는 간섭만 안 하면요.
21/08/07 08:35
수정 아이콘
폴트를 별로라 생각하는 이유는 그겁니다.
분명 GM이라고 롤토체스 선수계약 맺은지 반년도 안 된 사람 데려오더니 하는 건 GM이 아니라 조마쉬 대변인, 조마쉬 방패..
21/08/07 07:55
수정 아이콘
양파 선임을 슼팬들이 해달라 한것도 아닌데 갖다붙이기죠.
네파리안
21/08/07 02:24
수정 아이콘
FM에서도 감독으로써 가장 필요한 능력은 선수 현재능력 판단과 선수 성장가능성 판단이죠.
21/08/07 02:53
수정 아이콘
축구로 예시를 들자면 티원에게 어울리는 감독은 있는 선수들에게 어울리는 전술을 짜는 실리적인 색깔의 감독이 어울리는 것 같네요. 선수들을 자기 전술에 끼워넣는 자기 색깔이 강한 타입의 감독이 아니라....
HealingRain
21/08/07 04:01
수정 아이콘
축구로 예를 들자면 퍼거슨경이 떠오르네요.
1등급 저지방 우유
21/08/07 06:25
수정 아이콘
비단 야구뿐 아니라 모든 스포츠라 불리는 것들이 결국 인게임은 선수들이 풀어나가는게 아닌가요??
야구-롤 두개만 가지는 뭔가 특별한게 있나 고민해봐도 파팟!!하고 바로 떠오르는건 없네요
일반론에서 선수선발이 감독의 큰 역할 중 하나라는거엔 공감합니다
ioi(아이오아이)
21/08/07 07:25
수정 아이콘
감독의 영향력 쥐뿔도 없고, 그냥 잘 서 있기만 하면 된다. 논리를 듣기 좋고, 보기 좋게 풀어 놓은 거죠.
바인랜드
21/08/07 10:06
수정 아이콘
아뇨. 반대로 페이커, 더샤이 같은 초특급 스타들의 기용 여부까지도 좌지우지할 수 있는 감독만의 권한에 대해 인게임 상황을 끌어다 과소평가하지도 말고, 반대로 인게임 상황에 끼칠 수 있는 제한적인 영향을 감안해서 과대평가하지도 말자는 논리고 취지를 풀어본 것이었습니다만... 그렇게 비비 꼬아서 받아들이시겠다면 뭐... 제가 더 잘 쓸 걸 그랬네요. 크크.
워라밸이란
21/08/07 06:34
수정 아이콘
다들 오해하시는게 양대인은 오히려 커즈를 전력외로보고 스프링 2라 초반 인터뷰에선 다른 선수는 모두 돌림판에 써보지만 커즈는 아직 자기랑 추구하는게 달라서 출전 기회가 별로 없을거다 이런식으로 인터뷰했어요. 그러다 칸커페테케 조합이 후반에 승률 잘나오고 그나마 티원팬들이 좋아하는 조합이라 욕도 덜먹으니 그 후로 계속 쓴감도 있고요. 워낙 욕먹다 늬들이 원하는 조합으로 한번 계속해줄게 이렇게 태어난게 칸커페테케였죠..
올해는다르다
21/08/07 06:37
수정 아이콘
오너 9판 쓰면서 9판 다 페이커랑은 안써본거는 변명의 여지가 없어요.
황금경 엘드리치
21/08/07 06:50
수정 아이콘
아마 칸오클구케를 스프링 시즌 전에 주전으로 생각하다가
정-말 안굴러가고 칸커페테케 써보니까 괜찮게 굴러가니 선택의 여지없이 고정된 건 맞죠.

근데 어차피 양대인 업보인게, 그 지옥의 돌림판 와중에 지금 조합은 안 써봤다는 게 웃기고(정말 클로저로 주전을 쓰고 싶었구나가 다시 느껴졌습니다)
계속 경기력 엉망이니까 마지막에 베테랑들에게 소방수 역할 부탁해서 겨우 불 끈거라서..

양대인이 그 조합을 고르고 싶지 않았을거란건 이해되는데 그 조합을 강제로 고르게 선택지 폭 좁힌것도 결국 양대인 자기자신이죠. 칸커페테케 베테랑 힘 안빌리고 쭉 돌렸으면 아마 스프링 시즌종료 직후 경질됐을거라 봅니다.
모아찐
21/08/07 09:35
수정 아이콘
[아직 자기랑 추구하는게 달라서]가 아니라 커즈 선수를 활용하기에 실력적으로 올라오지 않았다가 팩트죠

https://youtu.be/6OxyuxwLd5k
4분 18초
도르마무
21/08/07 11:27
수정 아이콘
그말인즉슨 끝내 양파감코진은 답을 찾지 못해서 팬탓으로 돌리기 위해 칸커페테케를 기용한거네요.
리스트린
21/08/07 12:31
수정 아이콘
어그로세요?
아랫글에도 동일한 내용의 댓글 올려서 줄줄히 반박 달린거엔 꿀먹은 벙어리 되시더니
여기에서 또 그대로 복사해서 갖다 붙이시네.
21/08/07 21:56
수정 아이콘
자꾸 옹호하는 척 하면서 양대인 씨를 자기 주관도 약하고 줏대없는 사람으로 만들지 마세요.
왜 본인 소신대로 일 열심히 하는 사람을 욕없이 쌍욕을 맥입니까..
오늘하루맑음
21/08/07 07:31
수정 아이콘
사실 지금의 전술도
[페이커 라인전도 이겨줘, 메인 오더도 해줘 해줘]라서
페이커에게 가해지는 프레셔는 좀 쌜껍니다

그 예로 한타에서 뜬금없는 포지션으로 짤리기도 하는데

예전처럼 미끼 플레이는 잘 안 되니까 따갚되가 되어버린라 어쩔 수 없는거긴 하지만요

대신 페이커 시키는데로 할 젊은 동료들로만 깔아놓는게 시너지 효과가 좀 나는 것 같네요

양대인이 원하는 그림은 강한 피지컬 미드 + 오더 가능한 베테랑 정글이었던거 같은데 그냥 T1에게 최선은 아니었다고 봅니다

사실 그런 정글러도 넛신이 있었는데 넛신도 모든 선수들을 다 자기 오더 듣게 해야 가치가 나오는 타입이라...
ioi(아이오아이)
21/08/07 08: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결국 이러나 저러나 페이커의 팀인데 폭사 할려면 페이커가 폭사해야죠. 그래야 미래가 있죠.

페이커의 팀이면서 페이커가 주역이 되지 않아도 이길 수 있는 팀이라는 팬들이 납득 가능한 팀이 완성 되었고

이제 이걸로 유의미한 성적이 나온다면 팬들이 지속 가능한 팀이 되겠죠.

뭐 팬들의 기대치가 롤드컵 4강급이니 지속 가능한 팀이 되긴 힘들겠지만
umlaufsatz
21/08/07 11:36
수정 아이콘
위에 글부터 티원에 악감정이 있으신거 같은데 롤드컵 4강급을 벌써부터 판단하시는 근거는 무엇인지요?
ioi(아이오아이)
21/08/07 12:01
수정 아이콘
롤드컵 4강급은 언제 어디서나 어렵다 라는 게 판단 근거입니다.
아무리 운이 좋아도 최소 세계 7위 급 실력은 있어야 올라가고 운 없으면 세계 2위 급 실력으로 떨어지죠.
umlaufsatz
21/08/07 12:14
수정 아이콘
T1이라는 팀의 그동안의 성적때문에도 당연히 팬들 기대치는 그럴수밖에 없는거죠;; 말씀하신대로 당연히 4강급은 언제 어디서나 어렵지만 그럴거면 팬들한테 기대도 하지말라는 말과 같네요…
ioi(아이오아이)
21/08/07 12:34
수정 아이콘
팬들이 기대하는 것과 그것을 충족시키는 것에 어려움을 말했을 뿐입니다. 팬들은 당연히 기대해야죠.
왜 소비자가 생산자 배려까지 해주고 물건 사줍니까 당연히 가격도 좋고 성능도 좋아야죠.
umlaufsatz
21/08/07 12:50
수정 아이콘
그런 의도셨으면 굳이 앞에 페이커 폭사 이야기를 굳이 하시는 이유는요? T1 팬들 중 다수는 아직 폼이 어느정도는 살아있는 페이커와 함께 성적을 내는걸 원하는거고 지금 그래서 유의미한 성적이 나오고 팬들이 어느정도 만족하는거죠 그리고 첫댓글과 대댓글처럼 쓰신대로 보면 어느팀이든 기대하면 안됩니다. 애시당초 롤드컵 4강 시작부터 장담하는 팀이 몇이나 되며 그렇게 기대받고도 못하는팀도 많잖아요. 전 댓글의 의도가 와닿지가 않아서 여쭤본겁니다.
ioi(아이오아이)
21/08/07 13:08
수정 아이콘
T1은 페이커의 팀이니, 페이커에게 모든 것을 맡겨야 된다는 의미입니다.
영광도 페이커가, 폭사도 페이커의 플레이가 ,
대다수 T1 팬들은 페이커가 폼이 살아있든, 죽어있든, 페이커와 함께 하길 원합니다.
페어커 없이 성적 내기 VS 페이커와 함께 성적 망하기 중에 후자를 선택하는 게 대다수 T1팬이니까

실제 성능과 기대는 전혀 관계 없는 이야기입니다. 기대하면 안된다? 왜 기대하는 데 제한을 두어야 하죠?
전교 꼴등 부모님도 서울대 기대하는 겁니다.
umlaufsatz
21/08/07 13:17
수정 아이콘
이제야 댓글이 저도 이해가 됐습니다. 페이커와 함께 현재 유의미한 성적을 내는 이 조합이 팬들이 계속 응원할만하다. 하지만 티원 팬들 기대치는 항상 롤드컵 4강 이상이니 그르케까지 지속되기 어려울거 같다는 말씀이신걸로 저는 알겠습니다. 다만 첫 표현이 제가 느끼기엔 공격적이다보니 뒤에 워딩들이 다 공격적으로 보여지고 팬들이 기대치가 지나치다로 해석이 되었거든요. 암튼 설명댓글 감사합니다.
21/08/07 11: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그래도 공식이나 티원 컨텐츠로 올라오는 오프더레코드들을 들어보면 예전처럼 라인전부터 페이커에게 샷콜이 몰빵되다시피 하는 형태는 아니고 예전과 양감독 때의 중간 어딘가쯤 되는 것 같습니다. 예전처럼 라인전 단계에서 다른 라인이나 정글까지 다 보던 부담은 줄이고 자기 라인에 집중하면서 운영단계에서는 양대인 감독때보다는 콜이 늘어난 형태로....
Hudson.15
21/08/07 08:45
수정 아이콘
스타더스트 대행이 밝혔던 대로 만약 커즈가 휴식 요청을 한 것이 사실이라면 현재 성적은 대행 감코의 공이 크죠
애플리본
21/08/07 08:46
수정 아이콘
시즌 시기도 그렇고 경기력도 그렇고 이 멤버가 혹시 있을 선발전과 롤드컵까지 가겠네요. 이런 경기력이라면 결과도 기대되지만 결과가 나쁘더라도 납득 할 것 같네요.
21/08/07 09:21
수정 아이콘
저는 올해가 페이커 롤드컵 우승 도전의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해서
감독문제고 뭐고 지금 상황이 만족스럽습니다.
라스보라
21/08/07 09:26
수정 아이콘
감독이 할수 있는 부분이 있고, 그렇지 않은 부분이 있는거 같은데요.
우리나라에서는 감독의 역활이 너무 과대 평가 된거 같다는 생각도 가끔 들때가 있습니다.
바인랜드
21/08/07 10:10
수정 아이콘
위에서도 적었지만 감독의 역할에 대한 과소평가와 과대평가가 공존하고 있는 상황 같아요. 저는 그 와중에 다른 누구에게도 책임을 돌릴 수 없을 선수기용의 문제에 있어서 롤판 감독의 역할과 책임을 보다 냉정하게 따져봐야 한다... 는 취지로 써보았던 것입니다. 알고 있는 사례가 제한적이라 한국인 감독들만 이렇게 권위주의적인가? 싶기도 한데, 꼬마-김정수-양대인 전 감독들 모두 페이커 선수를 벤치로 돌린 적이 있던 건 물론이고 더샤이 선수 같은 경우도 (김정수 전 감독이었죠?) 마찬가지이듯, 이 선수 기용과 출전 여부에 있어서는 감독의 권한이 절대적으로 앞서죠. 아프리카 스피릿 선수와 정노철 코치의 갈등도 있었고, 이번 썸머 시즌 한화 팬들과 KT 팬들도 손대영 감독과 강동훈 감독의 돌림판을 비판하고 있는 상황이구요.
뻐꾸기둘
21/08/07 14:28
수정 아이콘
선수 선발 권한은 온전하게 감독 권한이라 말이죠. 조마쉬가 엔트리까지 짜주고 서명만 한거면 모르겠습니다만 스프링 돌림판 생각하면 기회는 받을만큼 받은거죠.
양파폭탄
21/08/07 10:00
수정 아이콘
이 악물고 까던 사람들은 면이 좀 안살게 되긴 했어요
공항아저씨
21/08/07 13:19
수정 아이콘
우연의 일치겠지만 닉이..크크크
스킨로션
21/08/07 10:26
수정 아이콘
애초에 최후의 모든 책임이 감독에게 있는 이유는 롤판에선 선수영입에 감독이 깊게 관여하고 선발도 감독이 하는거니까요.
플옵에서 티원vs담원 빨리 보고싶습니다.
도르마무
21/08/07 11:20
수정 아이콘
kt전 승리 후 페이커와 양감독의 방향성에 대한 인터뷰>>아프리카전 패배>>젠지전 승리(내가 책임질게)>>이어진 농심전에서 다시 패배, 이후 경질.
일련의 상황을 놓고 보면 양파감코진이 칸오페구케를 돌렸어도 인게임흐름은 지금과 크게 달랐으리라 봅니다.
공항아저씨
21/08/07 13:20
수정 아이콘
뭐가됐던 지금 경기뛰고 있는 선수들에게는 지금 상황이 최적의 상황이라는 것 그리고 이전과 분위기가 확연히 달라졌다는 것..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995 [LOL] 몰락한 명가의 봄 [77] Arcturus14495 21/03/07 14495 25
70988 [LOL] 감독님 한잔하세요 이제 더 이상 강등은 없자나요? [175] TAEYEON19496 21/03/06 19496 19
70626 [LOL] 재미로 보는 LCK 개막 전 개인적인 팀 별 로스터 감상 및 이런저런 이야기 [13] 토루10800 21/01/13 10800 7
70306 [LOL] 지금까지 확정된 LCK 라인업 현황 [80] roqur14462 20/12/01 14462 2
70104 [LOL] KT 스맵 말랑 레이 소환 보노 쿠로 투신 계약해지-감코진재계약 [120] 카루오스15341 20/11/16 15341 0
69935 [LOL]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감독(과 스토브리그)에 대한 주저리주저리 [12] gardhi11344 20/11/06 11344 5
69896 [LOL] 앰비션 방금 개인방송에서 페이커 언급.txt [72] Hestia19536 20/11/04 19536 28
69893 [LOL] DRX 구단주 vs 강동훈 감독 관련 PSG 전 감독이엿던 서민석 감독 의견 [88]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6639 20/11/04 16639 9
69891 [LOL] 오늘 DRX 방송 킹부사정 관련 요점 정리(출저 pgr) [46] 실제상황입니다17432 20/11/04 17432 4
69825 [LOL] 롤드컵 끝! 스토브리그 시작 [72] 스위치 메이커10412 20/11/01 10412 0
69347 [LOL] 선발전 총 감상평 [20] 루데온배틀마스터10917 20/09/10 10917 2
69311 [LOL] KT의 2020년이 끝났습니다 [102] Leeka14575 20/09/07 14575 2
69089 [LOL] KT 강동훈 감독이 일정 그냥 고지 받은거라고 했네요 [34] 카멘라더12951 20/08/10 12951 5
68854 [LOL] 위기의 순간에 업셋을 보여준 KT - LCK 16일 1경기 후기 [82] Leeka14762 20/07/08 14762 1
68410 [LOL] 최근 2년간 LCK로 보는 감코진의 중요성? [94] Leeka14709 20/04/30 14709 0
68349 [LOL] 재키러브의 하극상은 성공할 것인가? [22] 신불해17436 20/04/24 17436 10
68292 [LOL] 2020 LCK 스프링 어워드 영플레이어, 베스트 코치상 발표 [55] 신불해12200 20/04/21 12200 1
68260 [LOL] 2020 스프링 수상을 개인적으로 뽑아봤습니다. [59] jakunoba9687 20/04/17 9687 0
67434 [LOL] 완성된 내년 팀 로스터를 보며 [31] Souless12976 19/12/06 12976 13
67348 [LOL] 27일 21시 기준, LCK 공식 로스터 정리 [28] Leeka10920 19/11/27 10920 0
67328 [LOL] 26일 21시 기준, LCK 라이엇 공식 로스터 총정리 [14] Leeka11247 19/11/26 11247 0
67302 [LOL] 25일 23시 기준, LCK 공식 로스터 총정리 [4] Leeka8589 19/11/25 8589 1
67280 [LOL] 11/24일 0시 기준 LCK 공식 로스터 정리 [11] Leeka12437 19/11/24 12437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