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5/24 13:01:11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21_05_24_오후_12.58.32.png (50.1 KB), Download : 68
Subject [LOL] 중국 웨이보에 올라왔었던, 파워랭킹 산정 점수 (수정됨)


https://bbs.hupu.com/43049497.html


과거 MSI -> 우승 4점 / 준우승 2점 / 4강 1점
과거 롤드컵 -> 우승 16점 / 준우승 8점 / 4강 4점 / 8강 2점

최근 MSI -> 우승 8점 / 준우승 4점 / 4강 2점
최근 롤드컵 -> 우승 32점 / 준우승 16점 / 4강 8점 / 8강 4점




라이엇이 공식적으로 공개하진 않았습니다만.
중국에서는 저 점수로 금요일에 RNG가 결승가면서 4장 확정 / 토요일에 DK가 결승가면서 4장 확정. 을 알리긴 했습니다

저 표대로라면 므시가 끝난 지금 점수는

LPL - 57점
LCK - 53점
LEC - 30점
PCS - 2점
LCS - 2점

이 됩니다.



라이엇에서 공식적으로 말했던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MSI와 월드 챔피언십 성적 중 월드 챔피언십 성적에 가중치를 두었습니다.
(월드 챔피언십이 한 해의 가장 중요한 대회고, 또 가장 많은 팀이 참가하는 대회니까요.)
• 먼 과거의 성적보다 최근의 성적을 현재 실력을 더 잘 반영하는 지표로 간주하고 최근 성적에 가중치를 두었습니다.
• 상대했던 팀 또는 경기 기록에 상관없이 최종 진출한 단계에 따라 대회 성적을 평가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간atm
21/05/24 13:02
수정 아이콘
LCS 점수가 단촐하네요
코우사카 호노카
21/05/24 13:07
수정 아이콘
LCS 올해 PCS에게 역전당할것 같은 느낌이
21/05/24 14:23
수정 아이콘
그만해! LCS의 HP는 이미 0이야!..
이호철
21/05/24 13:08
수정 아이콘
4대 리그에 LCS의 자리는 없습니다.
오클랜드에이스
21/05/24 13:09
수정 아이콘
북미세계를놀라게하다
AppleDog
21/05/24 13:09
수정 아이콘
저대로 라면 담원이 4강 탈락이었어도 LCK 1장 더 받는게 바뀌진 않았겠군요
21/05/24 13:10
수정 아이콘
바뀝니다. 매드가 우승하면 LEC / LPL이 받죠...
AppleDog
21/05/24 13:13
수정 아이콘
매드가 4강 이기고 결승을 갔다고해서 RNG를 이겼을것 같지는....; 휴식과 분석할 시간이 더 있다는 건 큰 특권 같아서요
에바 그린
21/05/24 16:23
수정 아이콘
매드도 담원하고 한끗차로 비빈데다가 심지어 매드는 럼블에서 RNG를 잡았던 팀이죠. 갔으면 모릅니다.
사실 매드가 4강 4경기도 다 이겨놓고 오버 한방에 게임 다날려서 그렇게된거죠.
엘제나로
21/05/24 13:12
수정 아이콘
우승팀 1장 파워랭킹 1위 한장이라
당근케익
21/05/24 13:10
수정 아이콘
lcs.....
사이퍼
21/05/24 13:16
수정 아이콘
실제 위상 처럼 롤드컵이 거의 전부네요.
점수로만 따지면 롤드컵 4강 = msi 우승이군여
담배상품권
21/05/24 16:20
수정 아이콘
한해 농사 아무리 잘해도 롤드컵 망치면 쫑이죠.
17 T1이 스프링 msi 우승, 롤드컵 준우승인데 17시즌의 승자는 젠지죠.
롤드컵>>>>>>>>>>>>>>>>>>>>나머지입니다.사실 msi도 징검다리지 별 가치는 없죠.
21/05/24 13:19
수정 아이콘
대회별 해당 리그의 최고성적이 아니라 모든 소속 팀 성적을 합산하는군요. 이러면 월즈의 가중치가 엄청나게 높은 데다 4시드까지 진출시키는 리그가 파워랭킹 최상위권을 계속 해먹을 공산이 높겠습니다.
21/05/24 13:42
수정 아이콘
아무리 생각해도 고착화가 너무 심할 것 같은데... 저게 정말 맞나 생각이 들 정도네요.
21/05/24 13:47
수정 아이콘
모든 소속팀 성적 합산은.. 2017년에 공개했던 파워랭킹 기준에서도 나와있긴 합니다. (각 팀들의 성적들을 전부 예시로 넣어놔서..)

그래서 므시 우승 한방으로 시드권 배정이 있다고 생각되는..
돌아온탕아
21/05/24 13:29
수정 아이콘
만약 매드 준우승 담원 4강이었으면 롤드컵 준우승+MSI 우승,준우승 vs 롤드컵 우승+MSI 4강2번 이어서 어떻게 되는건지 의견이 좀 갈렸었는데
최근 성적 보정에 롤드컵 비중이 생각보다도 커서 엄청 널널했군요. 이게 대회 위상 고려하면 맞기도 하고요.
허저비
21/05/24 13:29
수정 아이콘
LCS는 그냥 리스트에서 빼줘...
굳이 넣어서 저게 더 굴욕 크크크크크
Extremism
21/05/24 13:35
수정 아이콘
LCS 3글자만 넣어도 정보글이 유머글이 되는 놀라운 마법
다레니안
21/05/24 13:35
수정 아이콘
담원 38점, SKT 5점, DRX 4점, 젠지 4점, 그리핀 2점
이렇게 구성되어 있네요. 그냥 담원이 다 했군요. 크크
그런데 제일 높게 올라간 1팀 성적이 아니라 모든 팀 합산이면 4번 시드 먹은 LPL LCK가 시드권 뺏길 일이 과연 있을까 싶습니다.
계속 시드권은 한국/중국이 노나먹겠는데요....
엘제나로
21/05/24 13:41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제가보기엔 합산이 아니라 그냥 최고점 찍은팀으로 계산할듯
21/05/24 13:46
수정 아이콘
라이엇에서 2017년에 플인으로 개편하면서 선정방식을 공개했던 짧은 내용에서도 모든 팀의 성적을 다 표기했었습니다.. (최고성적만 표기한게 아닌..)
21/05/24 13:45
수정 아이콘
므시 우승.. 한방이면 시드권이 넘어가는 구조라 19 G2처럼 한팀만 튀면 바로 시드권이 넘어가게 되어있긴 합니다.
다레니안
21/05/24 13:50
수정 아이콘
하긴 서머시즌처럼 우승팀은 포인트 관계없이 무조건 4장이니까 그냥 MSI 우승하면 장땡이긴 하네요. 크크
그런데 우승을 못하는 이상 포인트로는 절대 LCK LPL을 못 넘을 것 같습니다...
21/05/24 14:00
수정 아이콘
공정한 세계 대회 진행을 위하여
고심 끝에 MSI 우승자인 LPL에 한 장,
최고 랭킹 리그인 LPL에 한 장 주기로..?
내맘대로만듦
21/05/24 14:30
수정 아이콘
그리고 개최국인 LPL에 한장..
리그오브레전드 발전에 기여한 공로의 의미로 LPL 한장..
FRONTIER SETTER
21/05/24 15:12
수정 아이콘
고심 끝에 롤드컵 해체 후 LPL의 리그명을 월드 챔피언십으로 개명...
엘롯기
21/05/24 15:55
수정 아이콘
북미 크크크크
에바 그린
21/05/24 16:32
수정 아이콘
중국쪽에는 이런 정보가 있었나보네요? 이걸 미리 알았다면 어제 다섯장 같은 집단광기는 안 일어났을텐데..
그림자명사수
21/05/24 16:37
수정 아이콘
중국이 이기면 다섯장이라는 얘기가 있었어요?
킹이바
21/05/24 16:38
수정 아이콘
그런 말은 어디서든 나온 적 없는데 불판에서 이러다 lpl이 5장 가져가는거 아니냐 셀프메이드 논란이 있었죠
에바 그린
21/05/24 16:43
수정 아이콘
위에 정보도 오피셜한 정보는 아니지만, 무튼 정확한 파워랭킹 산정법이나 파워랭킹이 공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용준 캐스터가 그냥 중립적인 멘트로. 우승하면 시드 추가, 그 외에는 파워랭킹에 따라 한장 더 주어진다.
는 식의 그냥 너무나도 원론적인 발언을 했는데 그거 듣고나서
불판에서 '중국 다섯장 준다는거냐?' '준우승하면 LCK 말고 다른리그 주겠다는거아니냐?' 식의 창조논란을..
그림자명사수
21/05/24 17:42
수정 아이콘
어처구니가 없는 창조논란이지만 이해는 가네요
이미 어처구니가 없는짓을 한 놈들이니...
아웅이
21/05/24 16:43
수정 아이콘
합산하면 많이 나간 리그가 점수가 높으니 합리적이지 못한듯 합니다.
자몽맛쌈무
21/05/24 16:49
수정 아이콘
세계를 놀라게한 LCS
키모이맨
21/05/24 17:04
수정 아이콘
저는 lpl lck lec안가리고 플레이인부터 시작하는 4시드들은 마이너1등팀에게 탈락 이런 시나리오
롤드컵에서 얼마든지 나올거같음...플레이인가도 이제 개빡겜해야합니다
스덕선생
21/05/24 17:19
수정 아이콘
작년 넛신의 LGD만 해도 온갖 웃음거리가 된 끝에 간신히 조별리그 진출했죠.
다레니안
21/05/24 17:48
수정 아이콘
매드는 실제로 탈락해버렸고(????) LGD는 한번만 더 지면 탈락 위기까지 갔습니다. 크크크
봄날엔
21/05/24 17:53
수정 아이콘
롤드컵이 4배나 되네요..
마감은 지키자
21/05/24 18:08
수정 아이콘
북미야 제발 좀 힘내라...
유유할때유
21/05/24 19:05
수정 아이콘
언제까지 세계를 놀라게 할거냐
21/05/24 23:44
수정 아이콘
저게 오피셜도 아니지만 므시 점수가 너무 낮네요. 므시 우승이 월즈 4강과 동률이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709 [LOL] UPcommer 파워랭킹과 lck 코멘트 (출처: 젠마갤) [34] Lord Be Goja27166 21/06/29 27166 0
71705 [LOL] [창간 기획] LCK 윤수빈-이정현 아나운서 [29] 아롱이다롱이16509 21/06/29 16509 4
71701 [LOL] [단독] '플렉스' 배호영, 해외 팀 러브콜 거절하고 LCK서 새출발 [23] 아롱이다롱이18837 21/06/28 18837 0
71700 [LOL] 상성 관계의 신묘함 - feat LCK [15] Leeka20631 21/06/28 20631 2
71696 [LOL] '페이커' 이상혁 "팀과 방향이 달랐지만, 이제 내가 맞춰가려 한다" [138] 대관람차31124 21/06/28 31124 1
71695 [LOL] 롤켓단이 된 케이티 - 15일차 후기 [38] Leeka17886 21/06/27 17886 0
71693 [LOL] 바닥을 뚫고 들어가는 DRX의 경기력 [61] 대패삼겹두루치기18658 21/06/27 18658 0
71692 [LOL] 현재 LPL에서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는 팀 [38] 이는엠씨투16901 21/06/27 16901 0
71691 [LOL] DRX는 현재 모든 것이 틀렸습니다. [74] ioi(아이오아이)21512 21/06/27 21512 1
71690 [LOL] 레드/블루진영 승률에 대해서 [31] 퍼리새14658 21/06/27 14658 0
71689 [LOL] 역전까지 잘하는 젠지?.. 이거 못막습니다 [81] Leeka19394 21/06/27 19394 3
71688 [LOL] 프레딧브리온의 비상. 농심vs프레딧브리온 경기 시청후기 [73] 원장19218 21/06/26 19218 2
71686 [LOL] 시간 지나고 다시 본 KDA - MORE과 세라핀에 대한 감상평: 과연 그렇게 욕먹을만했는가 [57] 랜슬롯26599 21/06/26 26599 3
71685 [LOL] 11.13 패치, 대회에 가장 큰 변화를 줄 변화점은? [46] gardhi15626 21/06/26 15626 6
71684 [LOL] 한화생명의 문제점 [72] 원장20713 21/06/25 20713 0
71683 [LOL] 한화 시즌종료 [123] 아이폰텐25434 21/06/25 25434 19
71682 [LOL] 이대로는 챌린저스 리그는 의미가 없다.. [55] 클레멘티아16250 21/06/25 16250 9
71678 [LOL] 농심이야기를 좀 해보겠습니다. [51] TAEYEON16403 21/06/25 16403 1
71677 [LOL] 최근 lck순위를 보면서 느낀 생각 및 잡담 [16] 원장16307 21/06/25 16307 0
71676 [LOL] 최근 젠지가 역전을 잘하는 이유(젠지훈 피셜) [27] 어바웃타임15701 21/06/25 15701 2
71675 [LOL] 다음 패치버전에 '그녀석'이 돌아옵니다 [23] 이는엠씨투18048 21/06/25 18048 0
71674 [LOL] 티원팬들이 섬머에 바래야 하는것 [108] 작은형22409 21/06/25 22409 5
71672 [LOL] 티원 팬덤의 분열 [72] 눈물고기22447 21/06/25 2244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