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9/04 23:14:00
Name MiracleKid
File #1 별.png (2.30 MB), Download : 109
Link #1 GSL
Subject [스타2] GSL 10주년 기념 확장팩별 우승자 정리 (수정됨)



자유의 날개
테란 - 정종현 4회, 문성원 2회, 최성훈 1회, 정지훈 1회            - 총합 8회
토스 - 장민철 2회, 안상원 1회                                  - 총합 3회
저그 - 김원기 1회, 임재덕 3회, 박수호 1회, 권태훈 1회, 신노열 1회 - 총합 7회

군단의 심장
테란 - ★이신형 2회
토스 - ★백동준, ★주성욱, ★김도우, 정윤종 - 종합 4회
저그 - 김민철

공허의 유산
테란 - 변현우, ★고병재, 이신형, 조성주 4회, 전태양 - 총합 8회
토스 - 주성욱, ★김대엽                           - 총합 2회
저그 - 박령우, 이병렬 2회                         - 총합 3회


스타크래프트 2 전체
테란 - 18회
토스 - 9회
저그 - 11회


토크쇼 게스트로 어윤수 모셔놓고 어카게들한테 별 붙이는 잔인한 박진영 해설의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hooooting
20/09/04 23:17
수정 아이콘
김민철 잘할때 자주 봤는데 요즘도 재밌나요 ???
차아령
20/09/04 23:28
수정 아이콘
안상원 2회 오타네요
MiracleKid
20/09/04 23:33
수정 아이콘
지적 감사합니다 수정했습니다.
20/09/04 23:36
수정 아이콘
스타2에서 한 시대를 확실히 지배한 느낌이 드는 선수는 정종현 선수가 아닌가 싶습니다.
valewalker
20/09/04 23:49
수정 아이콘
오늘 게스트가 임재덕 정종현 장민철 어윤수 전태양이였다는데 우승 횟수 곱하면 대체 몇승인가요 덜덜 가슴이 웅장해지네요,
20/09/05 00:09
수정 아이콘
자날때 진짜 재밌게봤는데 추억이네요.
세종대에서 한 mma 동래구 결승 친구들이랑 보러 갔는데 기억나네요.
축하 공연 아이유에 경기도 7꽉 크크
NORTHWARD
20/09/05 00:18
수정 아이콘
웃다가 배꼽이 빠지는줄 알았습니다
잠이온다
20/09/05 00:51
수정 아이콘
어윤수 준우승 7회(국내 리그 우승 전무)
스위치 메이커
20/09/05 01:32
수정 아이콘
저그 우승이 기억이랑 달라서 뭔가 했는데 하.......
BlackPink
20/09/05 04:04
수정 아이콘
이름을 볼 수 없는 그사람을 치더라도 전체적으로 테란이 좋긴 했네요
20/09/05 05:55
수정 아이콘
자날때는 목동 진짜 매주갔었는데..
20/09/05 07:54
수정 아이콘
아 뭔가 이상하다 했더니 조작러 기록이 빠졌네요 크크
네~ 다음
20/09/05 08:45
수정 아이콘
자날 시절 왜냐맨의 위엄...
토스 우승 본인만 가능할뻔했으나
20/09/05 10:41
수정 아이콘
아 별이 무슨 뜻인가 했떠니 크크크크크
비상의꿈
20/09/05 12:13
수정 아이콘
별표 의미 생각중이었습니다
어까질 좀 작작 해라 이것들아 크크크크크
화려비나
20/09/05 14:21
수정 아이콘
어제 토크쇼 2부는 못보고 잤는데, 역대 최고 종빨우승자로 짝지가 뽑혔던 모양이군요.
결승상대였던 이동녕 팬인지라 그때 결승도 물론 봤었는데, 개인적으론 그정도였는지는 딱히 잘 모르겠습니다.
4강에서 전성기 정종현을 꺾고 결승 올라온 이동녕을 상대로 좋은 경기력으로 우승한게 당시 정지훈이었어요.
종빨 소리 나올 만한 정도는 아니었고, 준우승자의 팬 입장에서도 결과가 납득이 가는 나름 재밌었던 결승전이었습니다.
이후로 워낙 큰 족적을 못남겨서 그렇지, 우승 당시마저 폄하되는 건 좀 안타깝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326 [LOL] 유튜브 펌) 10.18 PS표 티어리스트 + @ 쵸비는 어떻게 역전승을 해내는가(feat 페이커) [10] TAEYEON15817 20/09/08 15817 1
69325 [콘솔] 치트키를 들고온 젤다무쌍 [34] 及時雨13577 20/09/08 13577 3
69324 [LOL] 롤드컵을 놓고 펼치는, 전세계 마지막 대결. - 젠지 vs T1 프리뷰 [36] Leeka84999 20/09/08 84999 1
69323 [LOL] 아프리카의 2020년이 끝났습니다. [22] Leeka12287 20/09/08 12287 2
69322 [기타] [중세 심즈-크루세이더 킹즈2 연대기] 29화: 제1차 프라티첼리 십자군 [19] 도로시-Mk219972 20/09/08 19972 35
69321 [LOL] 선발전 T1 vs AFs 후기! [150] 삭제됨21650 20/09/08 21650 9
69320 [LOL] 너구리 선수가 9/18일에 출국하게 되었습니다. [50] Leeka16691 20/09/08 16691 0
69319 [LOL] LCK 응원글 : 변수에 대한 관점 (실리 vs 전투) [4] 고구마장수9738 20/09/08 9738 0
69318 [LOL] 프로듀스 T1 데뷔조 확정! 과연 그 결과는? [139] 삭제됨98293 20/09/08 98293 0
69317 [LOL] 밑의 글을 보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내년 라코에 바라는점. [7] gardhi8994 20/09/08 8994 3
69316 [LOL] 구마유시가 데뷔전을 치릅니다. [28] 삭제됨12284 20/09/08 12284 0
69315 [LOL] LCK 암흑의 국제대회 2년.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64] 아우어케이팝_Chris13170 20/09/08 13170 0
69314 [LOL] G2 그랩즈 코치의 LEC 우승 이후 인터뷰 [53] 비역슨102366 20/09/08 102366 23
69313 [LOL] 라이엇에서 중계방송 관련글을 올렸습니다 [64] Leeka17529 20/09/07 17529 0
69312 [LOL] 늦은 프랜차이즈 도입에 직격타를 맞은 lck [49] 삭제됨18383 20/09/07 18383 2
69311 [LOL] KT의 2020년이 끝났습니다 [102] Leeka18174 20/09/07 18174 2
69310 [오버워치] OWL 포스트시즌 1주차 리뷰 [18] Riina11981 20/09/07 11981 2
69309 [모바일] [라스트 오리진] 2020.09.07 패치노트 [6] 캬옹쉬바나8519 20/09/07 8519 1
69308 [LOL] 롤드컵 선발전부터 스트리머, BJ의 중계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136] 조말론23913 20/09/07 23913 0
69307 [LOL] 해설진에(개인적으로) 바라는점 한가지 [131] Daybreak15314 20/09/07 15314 9
69306 [LOL] LCK팀들의 꿀조/죽음의 조 [16] 낙지덮밥존맛11239 20/09/07 11239 1
69305 [LOL] DRX 조 편성 경우의 수를 알아보자. [30] Leeka11572 20/09/07 11572 3
69304 [기타] 크킹3 주말 크킹을 한 후 팁 몇개.. [26] 겨울삼각형21781 20/09/07 2178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