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0/12 20:55:25
Name 초갼
Subject [LOL] [응원글] 2015년의 악몽을 딛고, 2019년은 다르길.

제가 롤 프로씬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순전히 헨리크 한센 또는 프로겐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는 덴마크 청년 덕분입니다. 시즌 2 당시 세계 최고의 미드라이너로 불림에 손색이 없었고 그의 팀 CLG EU는 M5, Azubu Frost와 함께 세계 최강 전력으로 자주 뽑히던 팀이었죠. 2012년 LCK 섬머에서는 프로스트와 손에 땀을 쥐게하는 명승부 끝에 석패하고 준우승을 하긴 했지만, 프로겐과 CLG EU의 플레이는 저를 매료시키기에 충분했습니다.

그 이후 관심을 갖고 지켜보게된 롤 프로씬에서도 저는 프로겐 덕택인지 서구권, 특히나 유럽에 큰 관심을 갖게되었고, 별로 내키지 않던 북미도 Cloud 9과 하이라는 플레이어 덕분에 관심을 갖게 되었죠.

서구권은 시즌 5에 이르기까지 알음알음 유의미한 성과를 내고 있었습니다. 물론 우승이야 늘 한국의 차지였지만, 크고 작은 대회에서 수위권에 입상하며 북미와 유럽 모두 동반으로 점차 성장해가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서구권의, 유럽이 되었든 북미가 되었든, 우승을 바라던 제게 시즌 5가 찾아왔습니다.

시즌 5를 돌이켜보면..시즌 4의 압도적이었던 삼성왕조의 공중분해, 엑소더스에 힘입어 MSI 우승을 EDG가 차지하면서 "아, 이젠 한국이 절대적 왕좌의 자리에서 내려오고 춘추전국시대가 찾아오는구나!" 하는 생각을 갖기에 충분했던 것 같습니다. 우리에게도 기회가 온다는 희망과 함께.

게다가 유럽에서는 압도적 성적의 프나틱이 있었고, 롤 프로씬 역사를 통털어 제가 좋아하는 선수 열손가락안에 꼽히는 엑스페케의 오리젠이 있었으며, 메카닉적으로 후달리는 하이를 대신해 인카네이션 (현 젠슨)이 들어온 Cloud 9까지..시즌 5가 개막하며 장밋빛 환상을 갖기에 부족함이 없었죠.


그리고 시즌 5 롤드컵이 개막하고..


오리젠과 프나틱은 양팀 모두 그룹스테이지를 가뿐하게 통과했으며, C9은 첫주차 전승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세우며 제 환상을 이뤄주는가 싶었습니다. 물론 C9의 2주차는 4전전패라는 전인미답의 기록이긴했지만..

시즌 5 4강이 유럽vs한국으로 성사되며..아마 그때가 제 서양뽕이 최고조에 달한 시기가 아닌가 싶네요. 게다가 프나틱은 들리는 썰로는 스크림도르를 수상했으며 8강에서는 MSI 챔피언 EDG를 꺾기까지..비록 상대가 한국의 Koo Tigers라지만 이길 가능성이 질 가능성보단 희박하다 봤으며 Origen 역시 SKT T1 상대로 부족함이 없으리라 봤습니다.

그리고 4강전이 시작되며 제 기대가 무참하게 깨어졌죠.

양팀 모두 3대0.

한국팀 팬들이 도서관 개장이라며 기뻐할때 저는 절망을 맛봐야했습니다.


시즌 5는 역대최고라 불리는 15 SKT의 탄생과 함께 막을 내렸고 기나긴 암흑기가 찾아왔죠.
수준낮다는 조롱을 수없이 들으며 18년의 반등까지 기나긴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2019년이 왔습니다.

그리고 저는 다시한번 2019년의 롤드컵 개막을 앞두고 장밋빛 희망을 안고 시작합니다.


MSI 우승, 전대미문의 (제대로 작동하는) 슈퍼팀 G2. 그 슈퍼팀 G2와 자강두천하는 프나틱. 느리고 지지부진한 듯 해보여도 스포츠에서 제일이라는 꾸역승 챙기는 스플라이스. 전대미문의 북미 슈퍼팀과 제대로 된 서폿을 만난 더블리프트의 TL. 또다시 돌아온, 더욱 강해진 정글러와 더 재기발랄한 미드로 돌아온 C9. 3패는 하지않는다는 클러치까지.




피지알에 얼마 없는, 희소가치있는 서구권 빠로서 간절히 기원합니다.




2015년의 재현만 되지 말아다오.


Let's go, NA and EU. Let's go, Western hemisphere!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Enterprise
19/10/12 20:58
수정 아이콘
닉네임이 익숙하다 했는데 10년 전 항전갤이 떠오르는군요. 저도 C9은 임팩트 덕분에 꾸준히 응원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레퍼드도 있긴 있지만요.
올해는 EU/NA 모두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단, G2를 제외하고요 흐흐
감별사
19/10/12 21:03
수정 아이콘
프로겐은 못 왔지만 유럽과 북미 각각 세 팀이 참가했으니까요.
어느 팀이 우승하든 최고의 팀이 우승하리라 봅니다!
파란무테
19/10/12 21:13
수정 아이콘
북미와 유럽이 선전하면
롤판은 흥미진진해지죠.
기대됩니다.
mastermind
19/10/12 21:13
수정 아이콘
14년 얼라이언스가 카붐한테 져서 떨어지는걸 보면서 좌절했던 기억이 나네요..
세기말종자
19/10/12 22:1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G2의 그랜드슬램을 응원합니다.
19/10/12 22:24
수정 아이콘
슼 우승을 기원하지만 중국 우승만 안하면 어디든 좋을 것 같아요.
Knightmare
19/10/13 05:05
수정 아이콘
오늘 TL FNC 경기력은 준수했고,
솔직히 CG는 전패각이 좀 보이는 것 같습니다. 후니가 이렇게 못하면 답이 없는 팀인데;;;;
은하관제
19/10/13 11:41
수정 아이콘
올해야말로 북미와 유럽에게 있어서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당장 MSI때만 보아도 그 누가 결승대진을 북미 대 유럽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을까요.

물론 뚜껑은 열어봐야 알겠지만, 모쪼록 북미와 유럽이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준다면 올해 롤드컵은 더욱 더 풍성한 경기가 펼쳐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985 [스타2] En Taro Classic [19] MiracleKid14899 19/11/05 14899 16
66984 [LOL] 5라인이 돌아가면서 팀내 비중을 가지고 캐리를 하는 G2 [4] 신불해10335 19/11/04 10335 2
66982 [LOL] 프렌차이즈를 하면 메타를 더 빨리 받아들일수 있을까요? [32] realcircle10111 19/11/04 10111 0
66981 [LOL] 실수를 극복하는 운영과 반발 빠르게 인식하는 메타. [71] Leeka11578 19/11/04 11578 8
66980 [LOL] 주도권에 대해서 [11] 물만난고기7416 19/11/04 7416 2
66979 [LOL] G2의 개념이 승리한게 아니라 skt가 못한겁니다 [173] 비공개당당15072 19/11/04 15072 12
66978 [LOL] 승부의 신 만점자가 나오는게 확정되었습니다. [25] Leeka10170 19/11/04 10170 2
66977 [LOL] 조금 다른 이야기 - 해설에 대해서 [89] 루데온배틀마스터12064 19/11/04 12064 7
66976 [LOL] 이제야 정신좀 차리고 글을 써봅니다. [51] soulbass9961 19/11/04 9961 8
66975 [LOL] G2의 plan B, 성공을 이루다. [25] AndroidKara8686 19/11/04 8686 4
66974 [LOL] 아쉽고 또 아쉽지만 그래도 즐거운 롤드컵 [20] 마빠이8581 19/11/04 8581 1
66973 [LOL] 1등팀과 같아진 LCK, 1등팀과 달라진 LPL, LEC [56] Leeka10572 19/11/04 10572 9
66972 [LOL] 이르긴하지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결승에서 주목해야할 챔피언 [11] 스톤에이지7396 19/11/04 7396 0
66971 [LOL] 타워 바론은 승리로 가는 과정일 뿐이다 [14] 바람과 구름7252 19/11/04 7252 1
66969 [LOL] G2가 SKT보다 개념적으로 앞섰다고 생각합니다 [57] Pokemon12761 19/11/04 12761 0
66968 [LOL] SKT vs G2 전 감상 [67] 우히히히11737 19/11/04 11737 1
66967 [LOL] 중국 제외, 온라인 동시 시청자 398만 달성.. [17] Leeka9702 19/11/04 9702 0
66966 [LOL] 2.3%의 승리 [50] 비역슨10602 19/11/04 10602 1
66965 [LOL] 페이커 이젠 쓰러져도 괜찮아 [50] 아웃프런트13379 19/11/04 13379 10
66964 [LOL] 슈퍼팀 G2, LCk 패배원인과 미래. [76] 월광의밤15544 19/11/04 15544 8
66963 [LOL] 상실감 [8] 나른한날7910 19/11/04 7910 4
66962 [LOL] 오늘로써 끝난 나의 롤드컵. 모두들 수고하셨습니다. [19] 랜슬롯9385 19/11/04 9385 6
66961 [LOL] LCK의 몰락 그리고 조금은 다른 관점 [12] 퓨우리이11268 19/11/04 11268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