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0/01 13:31:20
Name Leeka
Subject [LOL] G2의 강점 - 강력한 다전제 멘탈리티


18 롤드컵 8강 vs RNG전 - 1:2 > 3:2 역전
19 MSI 4강 vs SKT전 - 1:2 > 3:2 역전
19 LEC 플옵 vs FNC전 - 1:2 > 3:2 역전
19 LEC 결승 vs FNC전 - 1:2 > 3:2 역전



각 나라를 대표하는 명문팀인 RNG, SKT, FNC 상대로

롤드컵, MSI, LEC 결승이라는 큰 무대에서

1:2로 지고 있던 상황에서 전부 다 3:2로 뒤집고 승리를 해낸게, 현 G2의 강력한 다전제 멘탈인데요 -.-;



롤드컵 8강에서 '아트록스 해서 뽀삐한테 카운터맞고 영혼까지 탈곡' 됫는데도
또 아트록스를 고릅니다.. 그리고 RNG가 뽀삐를 고르자..
'응 우리 탑 아트 아니야. 미드 아트야'  하고 4세트를 이기면서 3:2 역전.


MSI 4강에서 탑 파이크를 다시 뽑으면서 멘탈을 자극한 뒤 '신드라를 선픽합니다'
그리고 SKT가 신드라면 르블랑 밥이지.. 하고 르블랑을 픽하자
응 우리 신드라 미드 아니야.. 바텀 신드라야.. 하고 미드에 리산드라를 보내고 3:2 역전.



LEC 결승에서 또 5세트에 '바텀 신드라' 가 튀어나오고..
엄청난 KDA와 함께 프나틱의 핵심인 바텀을 파괴하면서 스노우볼을 굴리고 3:2 역전.




다전제에서 G2는 압도적으로 이긴적이 별로 없고
1:2로 코너에 몰린적도 많았지만..

그 상태에서 '특이한 밴/픽' 과 함께 판을 뒤집고 모두 3:2로 역전하면서

18 롤드컵에선 이변, 업셋의 주인공이 (물론 4강에선 완패했지만)
19 MSI와 19 LEC에선 챔피언이 되었는데요.



이번 롤드컵에서도 G2의 저런 모습이 나올 것인지.. 도 포인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p.s 하지만 G2는 조별리그에선 16~19.... 4년 내내 약했던 팀이라...   현지 관계자들도 G2의 조별리그는 약간 불안하다는 평가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10/01 13:36
수정 아이콘
그리핀 상태만 멀쩡했어도 그리핀 C9 진출 행복회로 돌렸을텐데 그리핀이....
체르하
19/10/01 13:40
수정 아이콘
되게 매력적인 팀이죠 G2를 보면 강한 놈이 살아남는게 아니라 살아남는 놈이 강하다는 말이 떠오르는...
대패삼겹두루치기
19/10/01 13:45
수정 아이콘
G2 보면 멘탈이 강하다기보단 팀원 전부 정신세계가 4차원이라 멘탈이 안 깨진다는 느낌이 들어요 크크
앚원다이스키
19/10/01 13:49
수정 아이콘
특히 퍽즈는 16, 17 국제무대에서 죽쑨걸로 멘탈 단련이 된게 아닌가 싶을 정도..(그래도 17MSI는 준우승하긴 했죠..)
신불해
19/10/01 13:46
수정 아이콘
다전제가 강하다 이런게 기본적으로 픽밴에서 강점을 가진게 큰 것 같습니다.

작년 RNG 경기도 회자될때는 그냥 단순하게 "RNG 상체가 칼챔 못 다루고 바텀 캐리 팀이라 졌다." 이렇게 이야기 되는데 한 경기 한 경기 보면 저 라인스왑이 기가막히게 먹혀서 3대1로 질 경기 2대2로 끌고가서 거기까지 가니 상대 멘탈 터뜨렸죠.
바다표범
19/10/01 14:30
수정 아이콘
밴픽 싸움에서 상대가 예상하지못한 방향으로 나갈 수 있다는게 너무 무서운 무기죠.
앚원다이스키
19/10/01 13:48
수정 아이콘
19 G2가 다전제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인 것과 3대 2 한끝 승부가 딱 반반이죠.

19스프링 플옵 오리젠 3:0 / 결승 오리젠 3:0
19MSI 4강 SKT 3:2 / 결승 팀리퀴드 3:0
19섬머 플옵 프나틱 3:2 / 결승 프나틱 3:2

오리젠은 너무 불쌍하게 털렸고..리퀴드는 너무 압도당했고..얘넨 압도와 한끝도 엄대엄이네요 크크
비역슨
19/10/01 13:54
수정 아이콘
G2의 다전제 멘탈리티에는 퍽즈의 지분이 최소 절반 이상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두 번의 신드라 픽만 봐도 MSI때 G2 비하인드 영상 보면 5세트 전 다른 선수들 조용할때 3픽 파이크, 바텀 신드라 뽑자는 계책(?)을 앞장서 주장한 것이 퍽즈였고
프나틱과의 5세트에서도 나한테 메이지 픽 주면 꽁승이다라고 자신있게 말한게 퍽즈였고..

그 외의 장면들이나 보이스 영상들을 봐도 역대 서구권 강팀의 리더들 중 가장 클러치 상황에서 평정심 있는 리더가 퍽즈 아닌가 싶고요.
레클레스, 덥립, 엑스페케, 비역슨 등 많은 리더들이 있었지만 이 선수들은 넘치는 승부욕을 주체 못해 어느 순간 본인이 폭사하기도 하는 선수들이라면
퍽즈는 본인은 물론이고 팀 멘탈 케어까지 해줄 여유가 있는 선수라
19/10/01 19:30
수정 아이콘
보통 g2의 멘탈 하면 퍽즈만 생각하는데... 캡스도 만만찮은 느낌입니다.
지난 여름 플옵때 프나틱과 g2가 다전제 두 번 붙었는데, 두 번째는 퍽즈의 [그 귀환]이 눈에 띄었습니다만, 첫 번째 붙을 땐 2:0으로 밀릴 때 캡스는 작년 그렇게 욕을 먹었던 페이커의 [그 귀환]이 약과로 보일 정도의 귀환을 하더군요... 심지어 아슬아슬하게 겨우 승기잡아 놓은 상황에서;
그냥 다들 멘탈리티가 저세상 느낌입니다. 캡스는 늘 던지고 죽고 하면서도 똑같은 짓을 반복해서 하는 선수고, 미드라서 그 점이 더 부각되더군요.
대관람차
19/10/01 14:15
수정 아이콘
퍽즈가 실제로 한 말
[1대2로 지고 있는게 내 길티 플레져다. 스코어가 1대 2가 되면 막 (신음소리)]

G2를 잡으려면 두세트를 먼저주던가 3대떡을 해야 한다는 결론..?
리리컬 매지컬
19/10/01 14:34
수정 아이콘
제가 이번 롤드컵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포인트는 챔프폭으로인한 밴픽입니다. 각 메이저지역 탑팀들의 상향평준화로 밴픽을 잘하는게 경기결과에 정말로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자기들만의 카드들이 있는 G2와 프나틱, FPX를 높게 평가합니다. 또 이 세팀은 성향상 새로운 메타를 주도할 확률도 높죠.
롤드컵 직전 패치까지 겹치면서 그 어느때보다도 대회기간동안 새로운 챔프들로 인한 변화가 큰 롤드컵이 될거같아서 기대되네요
19/10/01 15:03
수정 아이콘
IG 처럼 그냥 아무것도 못하게 끝내버리면 되겠네요
미카엘
19/10/01 15:55
수정 아이콘
G2는 숨도 못 쉬게 3대0으로 패는 게 답인 것 같긴 해요. 3세트 정도까지는 예열하는 느낌?
그린우드
19/10/01 15:59
수정 아이콘
다전제에 강하려면 밴픽카드가 많아야한단걸 보여주는거죠
Bellhorn
19/10/01 18:24
수정 아이콘
플옵은 2:0아닌가요?
난나무가될꺼야
19/10/01 22:41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캡스는 무섭다 이런 느낌이 별로 없는데 퍽즈는 꽤나 위협적이더라구요 캐리력도 최상급인데 라인전이 꽤나 강력하면서 단단해서 딱히 빈틈이 안보이는 느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793 [LOL] BBQ 정글 말리스 선수가 폭로한 내용 요약. [29] 삭제됨16395 19/10/20 16395 3
66792 [LOL] 오늘 마지막 경기가 끝나고, 우지의 모습 [56] 신불해17076 19/10/20 17076 39
66791 [LOL] 여러분의 승부의 신은 안녕하십니까? [23] 크림샴푸7765 19/10/20 7765 0
66790 [LOL] 사실상 마지막 롤드컵일 우지를 떠나보내며... [53] 삭제됨12467 19/10/20 12467 2
66789 [LOL] 현 시점에서 SKT의 유일한 약점 [58] 아돈노후유a14252 19/10/20 14252 0
66788 [LOL] 그리핀 선수들에게 과도한 비난은 자제해야되지 않을까요 [207] 꼼햇14248 19/10/19 14248 8
66787 [LOL] 그리핀 선수들을 응원합니다 [44] 삭제됨9210 19/10/19 9210 4
66784 [LOL] A조 선수별 코멘트 및 평점(by ESPN) [61] 라면16229 19/10/19 16229 3
66783 [LOL] 현 세계최강 G2를 상대로 어덜트레벨(!)을 입증한 그리핀. A조에서 당당하게 1위로 진출 [252] 요한15781 19/10/19 15781 15
66782 [LOL] 국제대회에서의 라운드 별로 바뀌는 폼 [56] Leeka12643 19/10/19 12643 3
66781 [LOL] 변영섭 코치님을 응원합니다 [65] 삭제됨10556 19/10/19 10556 0
66780 [LOL] 씨맥 방송 정리 [88] 아름다운돌24642 19/10/18 24642 13
66778 [LOL] 롤 10주년 기념 벽화가 공개되었습니다. [455] Leeka30481 19/10/18 30481 0
66777 [LOL] 씨맥이 금일 저녁에 추가 방송을 예고했습니다. [92] Leeka19214 19/10/18 19214 2
66776 [LOL] 그리핀 사태 관련하여 스틸 에잇쪽 입장문이 나왔습니다. [234] 타케우치 미유24120 19/10/18 24120 3
66774 [LOL] 씨맥은 롤드컵 직전 한 달 반 동안 잠적했었나? [65] Nasty breaking B18045 19/10/17 18045 12
66773 [LOL] 씨맥 차기 행선지에 대한 기사가 나왔네요. [163] 아름다운돌21612 19/10/17 21612 2
66772 [LOL] 롤 이스포츠 메니저 게임 공개된 내용들 [53] Leeka16022 19/10/17 16022 0
66771 [LOL] 몬테와 쏘린의 서머닝 인사이트를 기억하시나요? [38] 블레이즈14410 19/10/17 14410 3
66770 [LOL] 이번 그리핀 사태에 대한 부탁의 말씀 [105] 아름다운돌16870 19/10/17 16870 16
66768 [LOL] 여러모로 여러가지 스토리의 종착역인 느낌이 나는 이번 롤드컵 [23] 랜슬롯13358 19/10/17 13358 6
66767 [LOL] 클피셜 몇가지 내용 정리 [59] Leeka19474 19/10/17 19474 2
66766 [LOL] 씨맥 감독의 피드백에 대한 발언 전문 [325] 아름다운돌23103 19/10/17 23103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