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9/29 02:14:55
Name 반니스텔루이
Subject [LOL] 국적별로 보는 롤드컵 로스터 (수정됨)
괄호안은 팀 약자입니다.
최소 로스터가 6인이기 때문에 해외팀들 같은 경우는 5명만 로스터에 넣고 나머지 1명은 그냥 코치를 로스터에 넣는 경우도 있는데, 그 경우는 제외했습니다.


한국 (41명)

Beryl (DWG)
Canyon (DWG)
Hoit (DWG)
Nuclear (DWG)
Nuguri (DWG)
Punch (DWG)
ShowMaker (DWG)
Chovy (GRF)
Doran (GRF)
Lehends (GRF)
Sword (GRF)
Tarzan (GRF)
Viper (GRF)
Clid (SKT)
Effort (SKT)
Faker (SKT)
Haru (SKT)
Khan (SKT)
Mata (SKT)
Teddy (SKT)
CoreJJ (TL)
Impact (TL)
Crash (HKA)
Cyeol (RYL)
Pilot (RYL)
DeuL (MG)
PoP (MG)
Doinb (FPX)
Gimgoon (FPX)
Duke (IG)
Rookie (IG)
TheShy (IG)
Huni (CG)
Lira (CG)
Gaeng (DFM)
Steal (DFM)
Luci (FLA)
Reven (FLA)
Shrimp (FLA)
Rainbow (AHQ)
Topoon (MMM)


중국 (15명)

Baolan (IG)
JackeyLove (IG)
Leyan (IG)
Ning (IG)
Crisp (FPX)
Lwx (FPX)
Tian (FPX)
Xinyi (FPX)
Langx (RNG)
LoveZrr (RNG)
Ming (RNG)
Uzi (RNG)
Wink (RNG)
Xiaohu (RNG)
Ramune (DFM)


대만 (13명)

3z (HKA)
M1ssion (HKA)
Alex (AHQ)
Apex (AHQ)
Wako (AHQ)
Ysera (AHQ)
Ziv (AHQ)
FoFo (JT)
Hana (JT)
Koala (JT)
Lilv (JT)
Rest (JT)
Karsa (RNG)


베트남 (12명)

Artifact (LK)
Celebrity (LK)
DNK (LK)
Hani (LK)
Venus (LK)
Hieu3 (GAM)
Kiaya (GAM)
Levi (GAM)
Slay (GAM)
Yoshino (GAM)
Zeros (GAM)
Zin (GAM)


미국 (9명)

Blaber (C9)
Deftly (C9)
Sneaky (C9)
Zeyzal (C9)
Damonte (CG)
Doublelift (TL)
Insanity (TL)
Matt (TL)
*Xmithie (TL)


덴마크 (6명)

Broxah (FNC)
Caps (G2)
Wunder (G2)
Jensen (TL)
Kobbe (SPY)
Svenskeren (C9)


호주 (6명)

Babip (MMM)
Cuden (MMM)
Destiny (MMM)
Fudge (MMM)
k1ng (MMM)
Triple (MMM)


브라질 (4명)

brTT (FLA)
Goku (FLA)
Juzinho (FLA)
Robo (FLA)


캐나다 (4명)

Cody Sun (CG)
Rodov (CG)
Vulcan (CG)
Licorice (C9)


태국 (4명)

G4 (MG)
HammocK (MG)
Lloyd (MG)
Rockky (MG)


터키 (4명)

Armut (RYL)
Chosen (RYL)
Closer (RYL)
**Tolerant (RYL)


러시아 (3명)

AHaHaCiK (UOL)
BOSS (UOL)
Nomanz (UOL)


스웨덴 (3명)

promisq (G2)
MagiFelix (FNC)
Rekkles (FNC)


일본 (3명)

Ceros (DFM)
Evi (DFM)
Yutapon (DFM)


칠레 (3명)

KouZZe (ISG)
Slow (ISG)
Warangelus (ISG)


홍콩 (3명)

Kaiwing (HKA)
MnM (HKA)
Unified (HKA)


노르웨이 (2명)

Norskeren (SPY)
Sharp (SPY)


루마니아 (2명)

Xerxe (SPY)
Orome (SPY)


벨기에 (2명)

Bwipo (FNC)
Nisqy (C9)


불가리아 (2명)

Hylissang (FNC)
Innaxe (UOL)


슬로베니아 (2명)

Mikyx (G2)
Nemesis (FNC)


멕시코 (1명)

Seiya (ISG)


아르메니아 (1명)

Edward (UOL)


영국 (1명)

Dan (FNC)


우루과이 (1명)

Buggax (ISG)


체코 (1명)

Humanoid (SPY)


크로아티아  (1명)

Perkz (G2)


페루 (1명)

Oddie (ISG)


폴란드 (1명)

Jankos (G2)


헝가리 (1명)

Vizicsacsi (SPY)



*필리핀-미국 이중국적 선수로, 미국 리그에서 뛰고 있으므로 편의상 미국으로 넣었습니다.
**독일-터키 이중국적 선수로, 터키 리그에서 뛰고 있으므로 편의상 터키로 넣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55만루홈런
19/09/29 02:20
수정 아이콘
g2가 만약 우승한다면 비 한국인의 팀이 12년 롤컵 우승 이후 7년만에 우승하게 되는 것일텐데...
작년에 ig가 우승해서 lpl이 우승했지만 팀 핵심인 더샤이와 루키때문에 한국인은 지지 않았는데
올해는 어떨지 궁금하네요 크크
솔로14년차
19/09/29 02:51
수정 아이콘
중국이 15명인게 충격적이네요.
초보저그
19/09/29 03:14
수정 아이콘
유럽에서는 덴마크가 의외로 롤 최강국이네요.
카르타고
19/09/29 03:24
수정 아이콘
의외가 아니라 고대 프로겐 시절부터 덴마크가 유럽 최강 국이었습니다.
프로겐의 바통을 비역슨이 이어갔고요
19/09/29 06:58
수정 아이콘
의외가 아니라 라인업보면 한국 중국 다음입니다. 한 시즌4부터 그랬어요
19/09/29 09:30
수정 아이콘
롤 뿐만이 아니긴 하죠
HA클러스터
19/09/29 03:53
수정 아이콘
전세계 롤드컵 진출선수중 1/4이상이 한국인이네요.
여우사랑
19/09/29 04:48
수정 아이콘
하키에서 캐나다인 위상이 롤에서 한국인 위상이네요.
리나시타
19/09/29 06:42
수정 아이콘
중국인이 정말 적네요;;
오버워치도 그렇고 우리나라는 인구 생각하면 정말 신기합니다
이 조그만 나라에서 뭔 상위권 프로들이 저렇게 쏟아져나오는건지
19/09/29 09:31
수정 아이콘
인프라가 중요한 이유겠죠
19/09/29 12:21
수정 아이콘
인프라+성향 차이죠...
거의 중국에서 있던감독들이 국내에서 이것저것 이야기 할때 가장 많이 나오는 말이 선수 관리 문제인데
우리나라 선수들은 그래도 한국 특유의 문화때문에 좀 끌려라도 가지만 중국은 가차없...
19/09/29 09:25
수정 아이콘
사실 저자리에 1명 있어도 롤을 잘하는 국가축에는 들죠. 도타2 TI에도 광탈하긴 했지만 1명 있었고;;
카르타고
19/09/29 09:27
수정 아이콘
아르메니아 에드워드는....
19/09/29 09:30
수정 아이콘
앗..아아
크레토스
19/09/29 10:17
수정 아이콘
PC방 유스같은 인프라도 롤 잘하는 이유지만..더 중요한 건 한국 사람이 게임 잘하려고 하는 욕구가 전세계에서 젤 강한 거 같아요. 그러다 보니 솔랭 수준도 전세계에서 젤 높아진 듯.

콘솔 패키지 게임은 그런 인프라도 없고 하는 인구도 다른 나라에 비해 적은데 잘하는 고인물은 유저수 대비 많은게 한국이죠
인류모두면류
19/09/29 13:11
수정 아이콘
프로겐, 볡센, 그리고 캡짱스까지 덴마크가 유럽의 미드명가네요
초보저그
19/09/29 14:01
수정 아이콘
용병 2명 규정이 필요하기는 하네요. 지금도 이 정도인데, 만약 용병 2명 규정이 없었다면 롤드컵에 참가하는 선수들 중 절반 이상이 한국 선수들일 거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847 [LOL] '그리핀 선수들을 응원합니다' 에 대한 반박글 [23] 누워서떡먹기11397 19/10/23 11397 66
66846 [LOL] 궁극적인 쟁점은 그리핀 프론트가 얻을 금전적 이득의 정당성 아닐까요? [22] KeepLight11540 19/10/23 11540 16
66845 [LOL] 프리시즌 변경된 드래곤 효과 정리 [92] Leeka18023 19/10/23 18023 0
66844 [LOL] [bbq OLIVERS] 말리스 선수 발언 관련 입장 업데이트 [33] bbqOLIVERS10671 19/10/23 10671 11
66843 [LOL] 시드권 박탈이 정말 있을수 없는 일인가? [42] Leeka12839 19/10/23 12839 18
66842 수정잠금 댓글잠금 [LOL] 그리핀 선수들을 응원합니다 [132] 토론시나위22532 19/10/23 22532 22
66840 [LOL] [TFT] 개발 인사이드, 세트 1에서 배운 것들 [11] 스위치 메이커9043 19/10/23 9043 0
66839 [LOL] 현재 시점에서의 롤 경기의 매커니즘 [27] 루데온배틀마스터13136 19/10/22 13136 6
66838 [LOL] 8강 IG를 응원합니다. [74] Perkz15755 19/10/22 15755 23
66837 [LOL] 이동섭 의원, 'e스포츠 선수 표준계약서법' 대표발의 [199] 삭제됨17396 19/10/22 17396 27
66836 [LOL] 14~19 롤드컵, 4대리그의 승률 [54] Leeka10356 19/10/22 10356 1
66835 [LOL] 그리핀 관련 사건들 시간순 정리(그리핀 마이너 갤러리 펌) [35] 대패삼겹두루치기13186 19/10/22 13186 25
66834 [LOL] 8강부터 우승팀까지 예상하는 '승부의 신' 페이지가 열렸습니다 [72] 興盡悲來12568 19/10/22 12568 0
66833 [LOL] 징동게이밍의 입장이 올라왔습니다 [199] Leeka24845 19/10/22 24845 12
66832 [LOL] 카나비 선수 불공정 계약건과 관련하여 하태경 의원이 본격적으로 나설모양입니다 [76] 興盡悲來14688 19/10/22 14688 28
66831 [LOL] 네메시스 예찬 [26] 비역슨11323 19/10/22 11323 8
66830 [LOL] 저는 그리핀에 최고 수위 징계가 최대한 빨리 내려지길 바랍니다 [86] KeepLight13797 19/10/22 13797 90
66828 [LOL] 2019 롤드컵 그룹스테이지 팀별 감상 및 8강 예상 [47] 베스타15963 19/10/21 15963 19
66827 [LOL] T1 응원글입니다. [47] 삭제됨10417 19/10/21 10417 14
66826 [LOL] ESPN 그룹스테이지 조별 평점 리포트 A~D 종합 [26] 삭제됨9893 19/10/21 9893 2
66825 [LOL] 여러가지 롤드컵에서의 재밌는 기록들 [35] Leeka13390 19/10/21 13390 1
66824 [LOL] 라이엇코리아 규정해석의 수상함과 불편함 [131] 월광의밤16241 19/10/21 16241 12
66823 [LOL] 라이엇코리아 "그리핀의 임대에는 규정 상 문제가 없다" [159] 興盡悲來17606 19/10/21 17606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