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5/15 10:59:53
Name Leeka
Subject [LOL] MSI 그룹스테이지에서 나온 기록들 (수정됨)


1. 그룹 스테이지 최고 승수 기록

-> IG가 9승 1패를 기록하면서, 역대 그룹스테이지 최고 승수를 기록했습니다.

기존 기록은 17 SKT의 8승 2패입니다. 


KOO가 15 SKT의 Worlds 전승의 '최후의 순간' 에 1패를 안겨주면서 막은 것처럼

SKT가 19 IG의 MSI 그룹 전승의 '최후의 순간' 에 1패를 안겨주면서. 전승은 막아냈습니다.




2. 국제대회 최단시간 경기 탄생

-> IG vs SKT에서 IG가 16분 1초만에 승리를 거두면서. 국제대회 최단시간 승리를 기록했습니다.

기존 기록은 15 Worlds 에서 나온 20분 21초였습니다.



3. LMS.  처음으로 MSI 4강 진출 실패

15~18.  4년 연속 MSI 4강에 진출했던 LMS가, 4강 진출에 실패했습니다.



4. SKT, 매번 그룹스테이지에서 다른 승수를 쌓아

15 - 5승 0패
16 - 6승 4패
17 - 8승 2패
19 - 7승 3패

4번 참가해서 4번 다 승수가 다르다니... 흠..


5. 퐁부, G2 킬러로 등극해

지난 롤드컵에서도 퐁부가 G2 상대로 1승 1패를 거두면서 

아프리카는 씨나인을, G2는 RNG를 만나는..  큰 스노우볼이 굴러갔는데요. (그리고 RNG를 이겨버린 G2..)


올해도 퐁부가 G2를 2:0으로 바르면서..  4강 진영 선택권이 G2 -> SKT로 넘어가게 되었습니다. 


적어도 베트남은 유럽 개못해.. 를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지역이.



6. 더블리프트. 드디어 4강 진출

라이엇 스스로도. '역사적 사료로만 11 Worlds'를 남겨두고 있는데요 -.-;

(작년 C9가 롤드컵 4강 진출했을때도..  드디어 북미가 4강에 갔다.  쪽으로 진행되었죠.
사실 11 Worlds에서 북미는 4강이긴 했습니다.)


드디어 더블리프트가. 국제대회에서 12년 이후 처음으로 4강에 진출했습니다. 


특히 '자력으로 4강 진출을 해냈다는' 점과

덥립의 4강 확정 순간이.. 'LCK의 조 2위 확정' 이 되었다는 점에서도 묘한.. 
(물론 SKT는 그 뒤에 IG를 이겼지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허세왕최예나
19/05/15 11:01
수정 아이콘
기록 제조기 SKT!
19/05/15 11:04
수정 아이콘
펜타킬을 하고 진 G2까지..
더치커피
19/05/15 11:05
수정 아이콘
오 덥구 추카
19/05/15 11:30
수정 아이콘
4번기록은 앞으로 묘하네요...
19/05/15 11:35
수정 아이콘
2만골드차로 진 경기가 이번 므시말고 또 있었나요?
19/05/15 11:59
수정 아이콘
꽤 많습니다.. 그냥 대패했다 이상의 기록적 의미는 없는..
라이츄백만볼트
19/05/15 12:07
수정 아이콘
4번 이론대로면 다음번에 또 나가면 엄청 성공하거나/엄청 망하거나의 결과가 예상되는...
19/05/15 12:08
수정 아이콘
결과적으로는 tl이 g2를 이겼고 슼이 ig를 잡았기 때문에 g2가 퐁부를 이겼어도 2위는 슼이죠.
블레싱
19/05/15 12:32
수정 아이콘
퐁부가 G2에게 [2패]를 안겼기 때문에 그런소리가 나온거 같네요

팀밸류 예상대로 G2가 퐁부를 상대로 2승을 거뒀다면 SK랑 7승3패 동률에다가 승자승으로 2위는 G2였겠죠
MiracleKid
19/05/15 13:36
수정 아이콘
2015 프나틱 2승 3패, 2016 G2 2승 8패, 2017 G2 4승 6패, 2018 프나틱 4승 6패, 2019 G2 5승 5패
추가로 이번에 G2는 유럽 역대 최초 MSI 그룹 스테이지 5할 승률 달성에 성공.....
다리기
19/05/15 22:27
수정 아이콘
그렇게 세보였는데 결국 5할이네요. 그게 또 최고승률 신기록... LCK가 5할이면 최저승률인데. 희한합니다 롤의 세계는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909 [LOL] 한번의 팀 콜 그리고 송곳같은 타이밍 AF vs GRF 2세트 포인트 리뷰 [9] 소주의탄생7374 19/06/11 7374 4
65908 [LOL] 안 좋은 분위기 속에 흉흉한 루머가 도는 IG [31] 신불해17125 19/06/11 17125 14
65907 [LOL] 오토체스가 그렇게 잘 나간다던데? (신규 모드 추가) [229] 스위치 메이커20281 19/06/11 20281 5
65906 [LOL] LCK 1주차 재미난 통계들 [15] Leeka8902 19/06/10 8902 3
65905 [LOL] 아프리카-SKT 전에서 나온 꿀팁 [5] Bemanner11035 19/06/10 11035 5
65904 [LOL] e스포츠의 발전 방향 [12] 바람과 구름9344 19/06/10 9344 2
65903 [스타1] 압도적인 토스전 기량을 보여주며 우승을 차지한 정윤종 [23] 미야와키 사딸라13073 19/06/10 13073 3
65902 [LOL] 1주차 LCK 칭찬 위주 짧은 후기 [35] Leeka9785 19/06/10 9785 0
65901 [LOL] 최강은 아니었을지라도, 매력있던 팀 - Frost [64] 루데온배틀마스터9892 19/06/10 9892 9
65900 [LOL] 4전 4승, 4번의 MVP, LCS를 뒤흔드는 크라운의 기세 [97] 비역슨10880 19/06/10 10880 5
65899 [기타] <패스오브엑자일> 역시 뜰 게임은 어떻게든 뜨는거 같습니다. [60] 마빠이13584 19/06/10 13584 1
65898 [LOL] LEC, LCS 해설 좁쌀이 본 오늘경기 코멘트 [117] 내일은해가뜬다17191 19/06/10 17191 9
65897 [LOL] LEC 첫주차 어마어마한 경기력을 보여준 G2.GIF [16] 신불해11752 19/06/09 11752 5
65896 [LOL] [롤챔스 No Cut] 스멥이 '은퇴번복' 프레이에게 "사람 아니다"라고 한 이유는? [3] ripbird9013 19/06/09 9013 0
65895 [PS4][노스포]최근 한 게임들 감상(디맥 신규 DLC/저지아이즈/그외) [46] 북극12593 19/06/08 12593 0
65894 [기타] 랑그릿사 모바일 4일째 후기 [107] 잠잘까16186 19/06/08 16186 4
65893 [LOL] 신 챔피언. 원소의 여왕 키아~나 [45] 스위치 메이커13953 19/06/08 13953 0
65892 [LOL] [이미지 다수] LCK 팀들의 유튜브 채널 [14] SkinnerRules8739 19/06/08 8739 1
65891 [LOL] MVP+KDA 제도는 언제까지 유지될까요? [67] 다크템플러93594 19/06/08 93594 32
65890 [LOL] 전 칸을 뽑았습니다. [251] jonnastrong20989 19/06/08 20989 23
65889 [LOL] 유럽뽕이 가득찬 LEC 개막오프닝 [50] 내일은해가뜬다12984 19/06/08 12984 14
65888 [LOL] LPL 초반 - 살아나는 RNG, 여전한 FPX, 흔들리는 IG [27] 신불해13345 19/06/07 13345 8
65887 [스위치] 슬레이 더 스파이어, 이딴 식으로 하기냐? [6] 스위치 메이커13985 19/06/07 1398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