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4/23 09:14:36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304.8 KB), Download : 60
File #2 2.jpg (316.3 KB), Download : 55
Subject [스타2] 2019 GSL 슈퍼 토너먼트 시즌1 결승전 우승 "김도우"




안녕하세요 김치찌개입니다!
서울 프릭업 스튜디오에서 열린 2019 GSL 슈퍼 토너먼트 시즌1 결승전에서 김도우가 고병재를 4: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2019 GSL 시즌1 결승전에서 조성주에게 져서 아쉽게 준우승에 그쳤는데 이번 우승으로 만회했네요
참고로 김도우는 작년 슈퍼 토너먼트 시즌 2에서 4강,결승에서 모두 역스윕으로 우승을 해 진기한 기록을 남겼는데요
이번 우승으로 우승 상금 10,000,000원과 함께 WCS 1500점을 획득했습니다
김도우 특유의 판짜기는 여전히 빛을 발하였고 특히 3경기는 무조건 질거다 라고 생각했었는데
차분하고 침착하게 막는 모습은 정말 인상적이였습니다
29세 프로게이머로서 많은 나이인데 대단하네요 군대가기전까지 좋은 모습 계속 보여주었으면 좋겠네요
8강에서 무려 토스가 7명이였는데도 테란으로 홀로남아 멋진 플레이를 보인 고병재선수 수고하셨습니다~
김도우 선수 우승 다시 한번 축하드립니다^^

Final 고병재(PSISTORM Gaming) 1 : 4 김도우(Independent)
1Set Automaton
고병재 패(테, 2시) vs 김도우 승(프, 8시)
2Set Port Aleksander
고병재 패(테, 4시) vs 김도우 승(프, 10시)
3Set New Repugnancy
고병재 패(테, 1시) vs 김도우 승(프, 7시)
4Set Year Zero
고병재 승(테, 10시) vs 김도우 패(프, 1시)
5Set King's Cove
고병재 패(테, 11시) vs 김도우 승(프, 5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화려비나
19/04/23 13:41
수정 아이콘
똑같은 우승경험자라도 다회우승자와 1회우승자는 결승경험이랄까 관록에서 차이가 난다는걸 보여준 김도우였네요. 축하합니다.
고병재는 조금만 침착했더라면 충분히 한번 더 우승컵을 들 수 있었는데 아쉽네요.
김치찌개
19/04/25 00:22
수정 아이콘
역시 경험은 무시 못하네요
고병재선수 아쉽네요
강박관념
19/04/23 14:39
수정 아이콘
1경기 역전은 대박이였네요. 어찌보면 고병재가 못한거긴 하지만 미친듯한 폭풍으로 인해 전투를 다 이기더니..
김치찌개
19/04/25 00:22
수정 아이콘
1경기도 대박이였죠 폭풍 너무 시원했어요
가루맨
19/04/23 17:22
수정 아이콘
이번 대회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단연 토스전 메카닉의 재발견이죠.
9년이 다 되어가는 스타2 역사상 프로 경기에서 토스전 메카닉은 단 한 번도 주류였던 적이 없었고 아주 가끔씩 깜짝 빌드로만 등장했으나 그마저도 승률은 좋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번 대회에서 뜬금없이 7 경기나 나왔으니;;
더 고무적인 건 5 종류의 다양한 메카닉이 나왔고 승률도 좋았습니다. 심지어 진 경기도 2 경기는 거의 다 잡은 경기를 역전패 당한 거였죠.

토스전 메카닉이 상당히 불안정한 체제라 향후 파훼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예상하지만, 만약 그렇게 된다면 밸런스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추가 패치를 통해서라도 쓸 만한 전략으로 만들었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그게 스타2가 완성형 RTS 게임에 더 가까워지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고병재 선수는 실수만 줄였어도 4 대 0으로 이길 수 있었던 경기였는데 긴장을 떨쳐내지 못 한 탓에 모처럼의 결승전에서 우승을 내준 게 아쉬웠던 반면, 김도우 선수는 유종의 미를 잘 거둬가고 있어서 다행이고 앞으로도 잘 거두기를 바랍니다.
김치찌개
19/04/25 00:25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그렇네요
이번 슈퍼토너먼트에서 메카닉이 자주 보였었죠 기대가 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599 [LOL] 이번 MSI 조편성 소소한(?) 비밀 [7] 다크템플러9309 19/05/03 9309 1
65598 [LOL] 스프링 결승이 끝난 이후 인터뷰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16] 미야와키 사딸라13728 19/05/03 13728 24
65596 [스위치] 올해 최고의 기대작은? [49] 스위치 메이커10717 19/05/02 10717 0
65595 [스타1] ASL 시즌8 후보맵이 공개되었습니다 [28] Waldstein_15196 19/05/02 15196 2
65594 [LOL] LMS의 몰락. 마지막 기회가 달린 MSI [27] Leeka12465 19/05/02 12465 2
65593 [LOL] 2019 MSI 플레이인 1일차 정리 [16] 비역슨11480 19/05/02 11480 2
65592 인기가 작년보다 반토막이 되어버린 대만 LMS [35] 신불해12914 19/04/30 12914 0
65591 [LOL] MSI top 20 플레이어 [131] 내일은해가뜬다17357 19/05/01 17357 1
65590 [스타1] 스타크래프트가 밸런스 패치를 안해서 망했을까? [157] April23328733 19/04/30 28733 2
65589 [LOL] MSI 개최 하루전, 일정이 긴급하게 변경되었습니다. [33] Leeka15552 19/04/30 15552 2
65588 [매직 아레나] 청색을 쓰지만 카운터를 버려버린 그릭시스 컨트롤 [14] MirrorShield7571 19/04/29 7571 2
65587 [LOL] 탑 왕귀라인 끝판왕 블라디미르에 대한 공략과 팁공유 [54] 라이츄백만볼트14949 19/04/29 14949 3
65586 [스타2] China Team Championship 2019 시즌 1 3주차 경기 결과 및 순위 [4] 及時雨10086 19/04/29 10086 0
65585 [LOL] G2, TL 선수들의 한국 부트캠프 계정 [34] 비역슨13749 19/04/29 13749 1
65584 [LOL] 롤 해설에 대한 잡담 [89] 파핀폐인13460 19/04/29 13460 8
65583 [기타] 기동전사 건담, 기렌의 야망시리즈를 기다리며. [17] 미트파게티8546 19/04/29 8546 0
65582 [LOL] PGR21 문도피구 대회 결과 [29] 진성9277 19/04/28 9277 4
65581 [기타] 데스 스트랜딩, 코지마의 언급과 추측 [12] 현실순응9090 19/04/28 9090 0
65580 [LOL] 다섯이 아닌, 5천만의 꿈을 - MSI 공식 티져. Represent [67] Leeka13482 19/04/28 13482 4
65579 [LOL] 2019 롤챔스 스프링 퍼스트팀을 뽑아 봤습니다 (정규시즌 한정) [80] 더치커피11555 19/04/28 11555 1
65578 [LOL] 2019 LCK 스프링을 돌아보며 - (3) SKT T1 : Return and Rebuild [19] Vesta17779 19/04/28 17779 60
65577 [기타] [매직 아레나] 신확팩 플커전쟁 오픈 후 소감 [10] cluefake7051 19/04/28 7051 1
65576 [기타] [워3] 1.31 패치 노트 [79] 인간흑인대머리남캐14647 19/04/27 146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