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4/17 00:42:08
Name 及時雨
Link #1 https://liquipedia.net/starcraft2/China_Team_Championship_2019
Subject [스타2] China Team Championship 2019 시즌 1 1주차 경기 결과 및 순위
정규 시즌 경기는 기본적으로 2세트씩 3번의 경기를 펼칩니다.
각 세트가 해당 경기 스코어로 누적이 되며, 3경기까지 끝난 시점에서 양팀 스코어가 동점이면 단판제 에이스 결정전으로 승부를 가립니다.
에이스 결정전 없이 승리한 경우 승점 3점, 에이스 결정전까지 가서 승리한 경우 승점 2점이 적립됩니다.
총 8개팀 중 4위까지의 팀은 플레이오프 진출 기회를 얻습니다.





중국의 Newbee와 북미의 PSISTORM Gaming이 맞붙은 리그 개막전.
PSISTORM Gaming의 일방적 승리로 끝났습니다.
로스터가 딱 3명으로 구성된 Newbee 입장에서는 모든 선수가 종족 에이스급 활약을 해야만 할텐데, 오늘은 팀 내 유일한 한국인 백동준이 무너지면서 그대로 패배를 내주고 말았네요.




Player 1과 TSG의 경기는 TSG의 4:2 승리.
Player 1은 현재 팀 로스터가 3명인데, 저그 게이머가 아예 없다는게 여러모로 약점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TSG는 보유하고 있는 2명의 한국인, 강민수와 김준호가 모두 깔끔하게 2승을 챙겨와 주면서 첫 경기를 기분 좋게 승리했네요.




리그 참가팀 중 유일한 대한민국 국적팀 진에어 그린윙스.
하지만 첫 경기는 Ocean Gaming에게 패배하며 리그의 경쟁력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진에어 입장에서는 중국인 쿼터로 의무 출전하게 될 Rex 선수의 경기력이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할 거 같네요.
가용 자원 측면에서는 참가팀 중 가장 풍족한 상황이니만큼, 2주차부터는 좋은 성적을 기대합니다.




1주차 마지막 경기인 Team LP와 Invictus Gaming의 경기.
더불어 1주차 유일한 에이스 결정전이 펼쳐진 경기이기도 합니다.
Team LP는 Player 1, Newbee와 더불어 단 세명으로 로스터를 구성한 팀인데, 한국인 선수 김준혁과 조지현의 분전으로 어렵게 첫승을 거뒀습니다.
반면 리그에서 유일하게 중국인 선수만으로 구성된 Invictus Gaming은 에이스 결정전까지 경기를 끌고 가기는 했지만, 확실한 에이스의 부재가 결국 패배로 다가온 모양새네요.
이번 리그에서 Invictus Gaming 소속 중국인 선수 중, 두각을 드러낼 선수가 있을지도 주목해봐야할 부분인 것 같습니다.





현재 시점의 리그 순위표.
리그는 총 7주까지 진행되기 때문에, 각 팀의 순위는 언제라도 뒤바뀔 수 있는 상황입니다.
과연 첫 리그 우승의 영광을 차지할 팀은 누가 될 것인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4/17 03:10
수정 아이콘
가장 큰 이변은 사쿠라에게 잡힌 백동준이었죠.
及時雨
19/04/17 03:12
수정 아이콘
사실 뉴비가 출전 쿼터 먹는 중국인 선수 중 가장 괜찮은 타임을 데리고 있어서 엔트리만 잘 짜면 어떻게 승수 좀 올릴 수 있을텐데...
오늘처럼 백동준이나 스칼렛이 허무하게 무너지면 진짜 답이 없겠네요.
3인 로스터인 팀들이 다 같은 문제를 안고 있겠습니다만.
화려비나
19/04/17 09:27
수정 아이콘
와 언제적 시구아가 아직도...
이번 대회에서 노익장 좀 보여주면 좋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044 [LOL] 스벤스케런, 제이잘 - Evil Geniuses 이적 [18] 비역슨9898 19/11/10 9898 0
67043 [스위치] 12년만에 접은 포켓몬 [85] 스위치 메이커16491 19/11/10 16491 5
67042 [LOL] 국가대항전에대해 관심가지는 라이엇 [74] 스톤에이지14777 19/11/09 14777 0
67041 [LOL] 프랜차이즈에 대해서 라이엇코리아의 짧은 코멘트가 나왔습니다. [26] 마빠이11544 19/11/09 11544 0
67040 [LOL] G2 vs SKT. 4강전에서의 G2 운영 분석 (라이엇 공식) [27] Leeka14723 19/11/08 14723 1
67039 [기타] 토요일 저녁 6시, 카트라이더 리그 결승전이 열립니다 [9] 신불해11781 19/11/08 11781 7
67038 [LOL] 카나비가 완전한 FA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20] fallsdown12667 19/11/08 12667 1
67037 [LOL] 라이엇의 새로운 Q&A가 올라왔습니다. [24] 마빠이13926 19/11/08 13926 2
67036 [LOL] 기인의 3년 재계약 관련 추가 내용 [55] Leeka16587 19/11/08 16587 8
67035 [LOL] 상상)LOL 학회는 어떨까요? [32] 문문문무9376 19/11/08 9376 0
67034 [LOL] G2 코치,분석진이 많다는건 어디서 나온 이야기인가요? [159] 은퇴할나이17139 19/11/08 17139 5
67033 [기타] 워크3 리포지드 베타 감상 [31] 오츠이치12890 19/11/08 12890 0
67032 [LOL] LCK의 국제대회 다전제 기록 [24] Leeka9812 19/11/08 9812 0
67031 [LOL] 개인적으로 생각한 SKT vs G2의 승패 이유를 메타냐 한타냐 로 보는 관점 차이가 벌어지는 이유 [19] norrell8687 19/11/08 8687 1
61258 [기타] 통합 규정 2017.5.5. release [1] 유스티스63517 17/05/05 63517 0
67029 [LOL] 듀크선수가 IG에서의 선수생활을 마무리 했습니다. [2] 타임러스10008 19/11/08 10008 3
67028 [LOL] 해외해설진들이 평가하는 올해 LCK: LCK는 과연 올해 실패한걸까?.jpg [100] 삭제됨13002 19/11/08 13002 8
67027 [LOL] 페이커의 니코가 짤린것은 단순한 실수일까? [7] 삭제됨10126 19/11/08 10126 2
67026 [LOL] eSports 전문 분석관의 필요성 [4] 기도씨8824 19/11/08 8824 6
67025 [LOL] LCK와 킹른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46] Leeka11010 19/11/07 11010 1
67024 [LOL] 메타차이라는 말을 듣기싫은 당신에게 [96] 그리스인 조르바13157 19/11/07 13157 12
67023 [LOL] 우실줄과 운영 차이를 나누는 게 모순 아닌가요? [86] 유즈11281 19/11/07 11281 21
67022 [LOL] G2의 계산을 보여주는 하나의 장면 [39] Leeka11360 19/11/07 11360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