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8/10/10 00:04:49
Name 에스터
File #1 DpEN54YVAAAJp_n.jpg (613.9 KB), Download : 22
Link #1 https://twitter.com/holyknee/status/1049635501211185152
Subject [기타] 철권의 성지 그린게임랜드도 결국 문을 닫는 것 같습니다.


철권7이 스팀에서 출시되면서
한 때 조이스틱이 품절나버리고 해외 직구까지 하는 대란이 있었죠.
스팀판 철권7은 꾸준히 캐릭도 바로바로 업데이트 되고 있었지만
아케이드판은 아직도 캐릭터 업데이트가 안 되고 있던 차였습니다.

이 와중에 오늘 무릎 배재민 트위터피셜로 사진이 올라오니..

https://twitter.com/holyknee/status/1049635501211185152

그린게임랜드의 폐업이 확정된 것 같습니다.
리모델링 후 재오픈이라는 말도 있었는데,
결국 폐업이 확정되어 버린 것 같네요.
(이와중에 그린레버 없냐고 문의하는 정신나간 인간도 하나 있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철권의 성지... 로 불리던 그린도 결국 문을 닫게 되었습니다.
저에게는 철권7 초창기시절 지하철타고, 버스타고 찾아가서 처음 들어갈 때의 그 설렘의 장소가
이렇게 사라지게 되니 안타까울 따름이네요.

- 다만, 과연 한국 아케이드 시장만의 문제인가... 에 대해서는
   신캐릭터가 꾸준히 추가됨에도 불구하고, 아케이드판에는 전혀 추가가 되지 않았다는 점도
   한 몫을 하지 않았나 싶긴 하네요. 다른 캐릭터들은 몰라도
   레이우롱, 안나 윌리엄스같은 전통캐릭터들은 팬층이 확고한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8/10/10 00:22
수정 아이콘
아케이드게임장 사업자체가 사양산업인데다가 철권으로 유지하던 그린으로서는 스팀발매가 치명타였죠.

콘솔의 보급도 많아진데다가 우리나라는 콘솔보다 PC의 접근성이 압도적으로 높으니...
어강됴리
18/10/10 00:22
수정 아이콘
어쩔수 없죠..
스팀판이 출시되는데 기판은 대당 천만원이 넘어가는 정신나간 가격을 하고 있으니 영업이 될리가...
씁슬하네요 한떄 그린방송 즐겨봤는데
아케이드
18/10/10 00:54
수정 아이콘
철권기판이 비싼건 맞지만, 그거 때문에 폐업하는 건 아니죠.
그린쯤 되면 기판 가격 몇배는 뽑았을 테지만, 스팀판이 나와 버린 판에 더 이상 장사를 할수 없어서 폐업하는 거니까요.
사실, 철권방이 아니라 오락실인데, 철권 하나만 바라보고 장사를 해야하는 현실이 문제였던 거라고 봅니다.
에스터
18/10/10 01:26
수정 아이콘
그린 말고 홍대 넷아레나도 종종 갔었는데, 지금 결말이 어떻게 되었나 보면...
18/10/10 00:25
수정 아이콘
사양 플랫폼의 사양 장르이니...
유념유상
18/10/10 00:41
수정 아이콘
기판 가격도 미쳤는데.. 거기다 온라인 비용까지..
유저들도 한판 가격이 부담 스럽죠. 그래서 온라인으로 넘어가는 거고
미스포츈
18/10/10 00:43
수정 아이콘
리그오브 레전드는 공짜인데 철권은 즐기기가 너무 힘들어요 한달에 100만원 넘게 나가는 게이머도 있으니 너무 부담되죠
Naked Star
18/10/10 00:46
수정 아이콘
트위치 채널로 사라지게 되려나..
황제의마린
18/10/10 00:54
수정 아이콘
집에서하면되는데 굳이 저기서 부담되게 게임 할 이유가 없죠..
에스터
18/10/10 01:25
수정 아이콘
사실, 리그 오브 레전드나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도 집에서 하면 되는데 피씨방에서 하는 경우가 왕왕 있죠.
격투게임도 오락실 스틱으로 하는 그런 맛이 있는데... 그저 아쉬울 따름입니다.
아케이드
18/10/10 01:49
수정 아이콘
돈을 넣더라도 오락실에서 하는 맛이란게 있기 합니다.
18/10/10 00:59
수정 아이콘
철권 집중투자에 대한 리스크였죠.
This-Plus
18/10/10 01:01
수정 아이콘
저는 구의동 환타지아 유저였....
그린도 한 번 가봤는데 참 아쉽네요.
18/10/10 01:27
수정 아이콘
진입 장벽도 있는게임이 가격도 부담스러우니 온라인은 그런거 없는데
미야자키 사쿠라
18/10/10 01:29
수정 아이콘
https://twitter.com/holyknee/status/1049688576038973440
그 와중에 이런 일이 있네요 크크크 CCTV 없나...
에스터
18/10/10 01:29
수정 아이콘
랴 리건.....
아케이드
18/10/10 01:34
수정 아이콘
아니 이건 뭔 미친....
Tyler Durden
18/10/10 01:35
수정 아이콘
주변 상가 cctv라도 확인해서 잡아내야 됩니다 ㅡ,.ㅡ
저건 명백히 절도행위인데요
레몬커피
18/10/10 01:40
수정 아이콘
폐점 오락실이면 오히려 절도하려면 더 돈되는게 널렸을텐데 왜 저걸..?
이것도 업계인가....
진인환
18/10/10 06:12
수정 아이콘
짤방 가운데에 보이는 트로피들이 무릎꺼입니다... 방치됐다가 다른 사람들이 가져갔다고..
18/10/10 07:31
수정 아이콘
건너들은 이야기론 그냥 이모님이 가져가도 된다고 그러셨다고 합니다. 절도라기보단 그걸 갖고가봐야 본인이 딴 타이틀도 아닌데 왜 가져가는지는 모르겠지만 여튼 그렇다고 합니다.

절도라기보단 그냥 방치,관리 문제인듯 하네요..
18/10/10 02:26
수정 아이콘
기기값이 1000만원도 넘고 온라인 유지비를 따로 받았다면 캡콤이 오리의 배를 가른 것 같긴 하네요.
오프라인 커뮤니티도 활성화가 되어야 시너지가 날텐데요.
18/10/10 07:29
수정 아이콘
어차피 아케이드라는게 특히나 일본 거기에 잘쳐줘야 한국까지인 시장입니다. 일본 자국에서만 장사 어느정도되면 솔직히 신경 안써도되요. 실제로 일본엔 아직도 아케이드 중심으로 게임하는 사람들이 매우 많습니다.

버젼자체가 낮은데도 아케이드에서 많이해요. 게다가 철권자체는 가정용판 자체가 한국에서 더 많이팔리고 한국중심의 PC판이 훨씬 더 유저수가 많을정도로 한국에서 인기 게임입니다.

반대로 일본에선 아직도 아케이드에서 게임하는 유저들이 아주 아주 많고 또 모든 아케이드 게임들이 기계값 그정도하고 또 별도의 과금에 과금을 얹는 방식이 주라서 딱히 오리의 배를 가른 문제는 아닙니다. 모든 일본 아케이드 게임이 그렇거든요.

그리고 철권은 반다이남코 게임이고 캡콤이랑은 무관합니다.

캡콤의 경우 최근 스파5가 아케이드 이식발표되고 현재 로케테스트중이긴 하나 애초에 이스포츠 및 본진이 철권처럼 한국 일본이 아닌 북미가 메인에 서브가 일본 및 기타국가인 게임이라 가정용 선 출시이후에 2년반이 넘어서 지금에서야 아케이드 로케테스트중입니다. 어디에 집중하느냐에 따라 다른 문제죠.
18/10/10 10:34
수정 아이콘
아 캡콤은.. 새벽에 댓글을 달다보니 정신이;;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그래도 국가별 사정을 봐줬으면 어땠을까 아쉽네요.
요슈아
18/10/10 06:23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아케이드 철권7을 했었는데 온라인으로 매칭 해 보니

사람이 한 명도 안 잡히더군요.......
아이는사랑입니다
18/10/10 10:57
수정 아이콘
아케이드는 기스부터 업뎃이 하나도 안되었으니 대놓고 버린거였죠.
지금까지 문 안닫고 버틴게 더 대단합니다.
Katana maidens
18/10/10 11:18
수정 아이콘
헐..
18/10/10 13:23
수정 아이콘
무조건 사양산업 장르라기에는 일본은 아직도 철권 아케이드 시장 활발하고 더 많이 하는걸로압니다. 우리나라는 아케이드가 많이 저물어가는것 + 스팀판이 너무 잘나온거 + 업데이트 안되는점이 한몫하죠.
인풋렉 적은 순이 스팀판 >>>> 패치후 플스판 >>>> 패치전 플스판 >>>>>>>> 아케이드판이다보니 메리트가 없죠. 6br과 태그2때 고수대전 보고 데스도 했던곳인데 폐업한다니 아쉽군요. 예전 이수오락실 문닫을때가 문득 생각나네요
철갤 가보니 여러 추측댓글 보다 좀더 정확한 내용이 있네요.
http://m.dcinside.com/board/fightgametekken/2762737
건물주 임대료인상 + 말도안되는 업그레이드 비용의 합작품 같군요..
18/10/10 13:57
수정 아이콘
일본 오락실은 좀 비싼데는 200엔이죠. 한국은 2천원씩 넣고 하는데는 유원지 정도의 오락실뿐일텐데
기타로 기판 가격도 굉장히 비싸서 단가가 안나와야 정상일겁니다 (그린이 여지껏 운영한게 대단한것일지도요)
스팀판이 숨통을 끊어놓은 건 맞겠지만 그 외적으로 오락실 자체가 사실 굉장한 사양산업이죠 (기판 가격에 좌우되는)
서리버
18/10/10 14:09
수정 아이콘
테켄크래시 볼 때부터 방송도 엄청 자주보고 했었는데 요즘은 다 집에서 하는 추세에 온라인 대전도 되다 보니 어쩔 수가 없죠.. 많이 안타깝네요
코지코지
18/10/10 16:29
수정 아이콘
오락실에서 온라인매칭하려고 카드샀는데
매치 한번도 안잡히더라구요
인구자체가 아예 증발한것같아요
마스터카드
18/10/10 21:43
수정 아이콘
일본빼고 사양되는 산업이라고 쳐도
천만원 넘는 가격주고 산거면 업데이트는 좀 빨리빨리 해주지 진짜..
우주견공
18/10/11 16:25
수정 아이콘
안타깝지만 자연스러운 흐름인가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468 [기타] [철권] 신캐 발매된지 몇시간 되었다고 벌써 콤보영상이 뜨네요 [13] 어강됴리11348 19/12/10 11348 0
67462 [기타] [철권] 신캐릭터 3인 리로이, 간류, 파쿰람 [17] 어강됴리11176 19/12/09 11176 0
67440 [기타] [철권]2019년 철권7 최강자를 가리는 대회가 12시에 시작됩니다 [15] 불대가리8998 19/12/08 8998 0
67361 [기타] 철권) 신세계로 수련을 떠난 무릎 [61] Madjulia16306 19/11/28 16306 7
66284 [기타] 철권) 세외의 신진 고수 중원을 평정하다. [65] 암드맨12374 19/08/05 12374 44
64699 [기타] 철권 월드투어가 끝났습니다 (결과있음) [31] 우메하라다이고7459 18/12/03 7459 1
64695 [기타] [철권]2018년 철권 최강자를 가리는 대회가 오늘 저녁 6시에 열립니다. [18] 불대가리6148 18/12/02 6148 0
64302 [기타] 아케이드 철권을 대표하던 곳이 문을 닫는군요. [16] 캐리건을사랑7984 18/10/11 7984 0
64287 [기타] 철권의 성지 그린게임랜드도 결국 문을 닫는 것 같습니다. [33] 에스터9991 18/10/10 9991 0
63919 [기타] [철권] 2018 EVO 결과 및 시즌패스 2 공개 내용 [18] Slip Away 7333 18/08/06 7333 0
63915 [기타] EVO 2018 철권 Top 8 대진표 [5] 리콜한방5583 18/08/05 5583 0
63763 [기타] [철권] 늦은 TWT 아부게컵 시청 후기 [25] ESBL5393 18/07/10 5393 1
63314 [기타] [철권] 전캐릭(39캐릭) 의자단 달성한 무릎 [26] 아케이드10189 18/04/06 10189 2
63210 [기타] 철권 파이널라운드 시청 후기 [29] ESBL8466 18/03/19 8466 1
62860 [기타] [철권7]재밌어요. 걱정말고 시작하셔도 되요. PC 입문->고수(?)가 쓰는 후기 [70] 불대가리11931 18/01/09 11931 9
62839 [철권] 조금씩 스폰을 받는게 늘어나는 철권 [53] Rated9932 18/01/03 9932 0
62264 [기타] [철권] 감사합니다. [13] 도전과제8007 17/10/21 8007 5
61749 [기타] [철권] 은둔고수의 대파란 [14] Blazer's Edge7238 17/08/08 7238 3
61727 [기타] [철권] 철린이 2달만에 녹단 단 이야기 [6] 랑비6912 17/08/04 6912 2
61634 [기타] [철권] 두번째 게스트캐릭터 '기스 하워드' 발표 [42] 김제피6917 17/07/17 6917 0
61617 [기타] 철권 EVO 2017 현재 8강 대진 상황 [19] 리콜한방6670 17/07/15 6670 2
61598 [기타] [EVO 2017]에보 철권 7 부문에 무릎 선수와 현 WWE 프로레슬러 '재비어 우즈'가 같은 조에서 격돌합니다. [39] 그룬가스트! 참!8128 17/07/11 8128 2
61543 [기타] [철권] 전직 철찌의 철권 스팀판 복귀 이야기 [17] 공개무시금지7377 17/07/03 7377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