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8/08/09 19:33:40
Name 낚시꾼
Subject [LOL] 킹존팬으로서 롤드컵 경우의 수 정리해보기.
마지막 skt전을 2:0으로 승리하면서 정규시즌 적어도 3위를 확보했습니다.
그리핀>킹존>젠지>아프리카의 순서는 정해졌고, kt가 남은 경기 결과에 따라서 1,2,4위가 가능합니다.
각각의 경우별로 롤드컵 직행 가능성을 점쳐보겠습니다.

1. kt가 mvp를 2:0으로 이기는 경우

정규시즌 순위는 kt/그리핀/킹존/젠지/아프리카
먼저 준플옵에서 이기는 경우에는 포인트로 직행 확정입니다.
준플옵에서 지는 경우에 만약 아프리카에게 졌다면 아프리카와 kt둘중 한팀에게 포인트에서 밀리기 때문에 선발전 확정인데 만약 그리핀/kt/아프리카/킹존/젠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되면 선발전 2시드 까지도 가능합니다.
만약 겐지에게 졌다면, kt랑 열심히 스크림 해야합니다. kt가 우승하면 진출, 준우승하면 선발전 1시드 입니다.

결론: 준플옵에서 아프리카 만나면 무조건 이겨야되고, 젠지를 만나서 졌다면 kt가 우승해야 한다.
포스트시즌 16가지 경우의 수중 10가지 경우에 직행, 5가지 경우에 선발전 1시드, 1가지 최악의 경우에 선발전 2시드.  

2. kt가 mvp를 2:1으로 이기는 경우

정규시즌 순서는 그리핀/kt/킹존/젠지/아프리카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준플옵에서 이기는 경우에는 포인트로 직행 확정입니다.
준플옵에서 지는 경우에 만약 아프리카에게 졌다면 1.과는 다르게 아프리카가 우승을 하면 포인트로 롤드컵 직행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1.과 같이 그리핀/kt/아프리카/킹존/젠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되면 선발전 2시드 까지도 가능합니다.
만약 겐지에게 졌다면, kt랑 열심히 스크림 해야합니다. kt가 우승하면 진출, 준우승하면 선발전 1시드 입니다.

결론: 1.과 비슷하지만 아프리카가 우승하는 경우에도 직행 가능.
포스트시즌 16가지 경우의 수중 11가지 경우에 직행, 4가지 경우에 선발전 1시드, 1가지 최악의 경우에 선발전 2시드.  

3. kt가 mvp에게 지는 경우

정규시즌 순서는 그리핀/킹존/젠지/kt/아프리카
포스트 시즌의 16가지 경우의 수 중 롤드컵 직행을 못하는 경우는 아프리카가 kt, 젠지, 킹존을 모두 잡고, 결승에서 그리핀에게 지는 경우 밖에 없습니다.


번외)kt의 경우의 수

1.의 경우
kt는 준우승하고 킹존이 3위가 아닌 경우에 롤드컵 직행,
16가지 경우 중 14가지 경우에 직행, 2가지 경우에 선발전 1시드

2.의 경우
우승시 롤드컵 직행
준우승시 3위가 겐지인 경우(그리핀/kt/겐지/킹존/아프리카)에만 롤드컵 직행
3위시 킹존이 우승하는 경우(킹존/그리핀/kt/삼성, 아프리카 )에만 롤드컵 직행
16가지 경우 중 7가지 경우에 직행.

3.의 경우
우승해야만 롤드컵 직행
16가지 경우 중 1가지 경우에 직행.

이제 곧 kt와 mvp전이 시작됩니다. 킹존팬으로서는 3.의 결과가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현실은 1이나 2일 것 같네요.
순위 확정되면 각 경우의 수 별로 직행팀과 선발전대진까지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일은해가뜬다
18/08/09 19:34
수정 아이콘
선발전 가더라도 젠지만 안만나면 킹존은 롤드컵 진출할거 같아요
18/08/09 19:36
수정 아이콘
아이러니하게도 작년 서머엔 득실 관리 잘 해서 결승 직행이었는데 이번 시즌엔 또 이렇게 되네요. 그래도 중간에 흔들렸던 시기 생각하면 여기까지 온 것만 해도 선수들이 대단합니다.

그러니까 프짱 원딜길만 걷자...
무민지애
18/08/09 19:39
수정 아이콘
KT우승 킹존포인트 선발전젠지
18/08/09 19:51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경우가 가장 확률 높은 거 같습니다.
미카미유아
18/08/09 19:5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KT우승 아프리카 포인트
그리핀이나 젠지 선발전이었으면 좋겠네요
bemanner
18/08/09 19:5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젠지 우승 kt 포인트 skt 선발전이면 좋겠는데.. 힘들긴 하겠죠.
자하르
18/08/09 19:52
수정 아이콘
일단 kt나 킹존은 선발전 내려오면 손이 떨릴겁니다.
선발전깡패가 기다리고 있어서
서즈데이 넥스트
18/08/09 19:53
수정 아이콘
킹존 진출을 방해할 가능성이 그나마 현실적인건 3위출발인데 4위인 젠지한테 발목잡히는 딱 그정도? 그나마도 요즘 폼 보면 킹존이 압도적으로 좋은 포지션이라고 봐요.
하지만 다들 걱정하는건 이해가 갑니다. 작년 kt가 너무 충격적인 킹우의 수를 보여줬기 때문에...
정은비
18/08/09 19:59
수정 아이콘
준플옵 무조건 이겨야하는데 젠지랑 붙을 가능성이 높다는게 끔찍하네요.
중간에 흔들렸지만 벌어둔걸로 버티다 회복하면서 3위지킨게 정말 다행입니다. 선발전은 정말 지옥이니 꼭 직행하길...
티모대위
18/08/09 20:02
수정 아이콘
킹존은 현재 선발전 결승 자리를 확보해둔 거나 다름없죠.
젠지대 아프리카 와카전의 승자와 준플옵을 하게될 텐데, 이번엔 과연 중요한 순간에 젠지를 압도할 수 있을지..?
18/08/09 20:34
수정 아이콘
그리핀 우승, 킹존 직행, KT 선발전 이 될것같아요
18/08/09 21:56
수정 아이콘
일단 1번이 되었네요.

KT 우승
킹존 포인트
선발전 젠지 or 그리핀 예상해 봅니다.
피카츄백만볼트
18/08/09 22:12
수정 아이콘
킹존은 딱 젠지 하나만 걱정이 될것 같네요. 포시에서도 선발전에서도 결국 젠지가 문제. 킹존이 느끼는 젠지에 대한 무력감을 극복할 수 있는지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미카엘
18/08/09 23:10
수정 아이콘
포시의 젠지는.. 킹존이 충분히 압도할 수 있어요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764 [LOL] 전세계 13개 리그의 서머시즌 개막일이 공개되었습니다. [8] Leeka7350 19/05/19 7350 1
65763 [LOL] 이번 MSI가 남긴 다양한 기록들 [3] Leeka5689 19/05/19 5689 2
65762 [LOL] MSI를 보고 느낀 것 몇가지 [14] 다시마아스터8545 19/05/19 8545 2
65761 [LOL] 2019 MSI 팀별 감상과 소회 [6] Vesta9840 19/05/19 9840 5
65760 [LOL] g2를 위한 찬가! 세계 최고의 팀 탄생의 시작일까? [47] 월광의밤9618 19/05/19 9618 1
65759 [LOL] 결승 30분 전에 써보는 (완전히 주관적인) MSI 라인별 최고 선수 [55] 내일은해가뜬다9138 19/05/19 9138 4
65758 [LOL] 국뽕 해설 좋다 이겁니다. 그래도 기본은 지켰으면 [146] 윤정15621 19/05/19 15621 26
65757 [LOL] 관점의 변화가 필요할 때가 아닐까 [15] 루데온배틀마스터7207 19/05/19 7207 2
65756 [LOL] 다가오는 NA-EU 대흥행 매치! 더블리프트를 응원합니다. [26] 라이츄백만볼트7725 19/05/19 7725 0
65755 [LOL] MSI 4강. 결과론적인 밴/픽으로 보는 잡다한 이야기 [35] Leeka7527 19/05/19 7527 2
65754 [LOL] 이젠 정말 Gap is Closing - 롤판 춘추전국 시대. [24] Leeka6861 19/05/19 6861 0
65753 [기타] 삼탈워 적벽대전 (움짤 포함) [16]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547 19/05/19 11547 0
65752 [LOL] 더 나은 SKT T1으로 돌아오길 바라며 [128] Vesta12942 19/05/19 12942 15
65751 [LOL] 칸은 잘 이해가 안갑니다. [113] rsnest13366 19/05/19 13366 2
65750 [LOL] 이제 이 판은 더 재미있어졌습니다. [56] rsnest9063 19/05/19 9063 9
65749 [LOL] 이미 마음의 준비는 해놨습니다. 팀리퀴드 화이팅! [11] 딜이너무쎄다7332 19/05/18 7332 1
65748 [LOL] 작년~올해 LCK 국제대회 다전제 성적 [13] Leeka6392 19/05/18 6392 2
65747 [LOL] SKT가 오늘 패배한 3가지 원인 [49] 카발리에로11189 19/05/18 11189 2
65746 [LOL] 요번 MSI를 보며 느낀 개인적인 소감 + LCK 전망 [32] 라이츄백만볼트8372 19/05/18 8372 1
65745 [LOL] 오늘 G2한테 감명 받았던 것. [31] 삭제됨7481 19/05/18 7481 5
65744 [LOL] 롤드컵과 리라, 그리고 LMS [12] 파란무테7477 19/05/18 7477 0
65743 [LOL] 어쩌면 LOL 프로씬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분기점이었던 다전제 [11] 내일은해가뜬다7642 19/05/18 7642 7
65742 [LOL] 두 번의 국제대회에서 연이어 성과를 낸 서구권 [20] 비역슨6652 19/05/18 6652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