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8/01/23 05:09:05
Name 그룬가스트! 참!
Subject [기타] [유희왕/OCG]최근 주목받고 있는 카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에 대해 알아보자. (수정됨)
최근 유희왕의 OCG계를 휩쓸고 있는 최고의 카드는 다름 아닌 크리스트론 카드군의 유일한 링크 몬스터인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입니다.
그리고 이 몬스터는 진짜 진심으로 미쳤습니다.
(하스스톤으로 치면, 패치스와 같은 수준의 사기성을 자랑하는 몬스터입니다.)

이 몬스터가 얼마나 범용성이 뛰어나냐면 일단 소환 조건부터가 상당히 편한 축에 속합니다.
무려 튜너 몬스터+튜너를 포함한 효과 몬스터 1장으로 간단하게 소환해낼 수 있는 말도 안되는 쉬운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점 때문에, 후공을 잡고 시작하면 진짜 하나의 과장 없이 일소권 한번도 안 쓰고 특소 2번만에 저 몬스터를 그냥 쉽게 뽑아버리는 정신 나간 전개가 나왔을 정도입니다.
덕분에 싱크로 몬스터와 튜너 몬스터를 쓰는 정통파 싱크로 덱 혹은 고속 전개를 요구하는 덱에서는 무조건 필수적으로 넣고 돌려야 하는 초 강력한 지원형 몬스터라는 평가를 받고 있고, 실제로도 많은 싱크로 덱에서 이 카드를 넣고 우승한 전례가 있을 정도로 그 강력함은 정말 정신이 나갔을 정도입니다. 그나마 디메리트가 조금 있어서 제한까지 갈 이유는 없는 몬스터라는 것이 다행인 부분이지요.

또한 링크 몬스터인 만큼 링크 마커라는 것을 가지고 있는데 이 링크 마커에 대해 먼저 설명해드리자면
8개의 화살표가 있고 그중 링크-X(X는 링크 마커의 수)에 따라서 최대 사용 가능한 링크 마커의 갯수가 결정됩니다.
링크-는 현재 링크-4까지 존재하고요. 이 링크 마커의 수가 많을 경우 기본적으로 전개를 할 때 유리한 점과 불리한 점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약간 양날의 검으로 취급됩니다만 하리파이버는 링크 마커가 2개이기 때문에(↙↘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페널티가 전혀 없는 쪽인지라 많은 덱에서 채용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효과도 좀 심각하게 무섭습니다.
싱크로 몬스터와 튜너 몬스터를 중점적으로 사용하는 덱일 경우, 이 하리파이버가 가지고 있는 효과 때문에 기존의 전개가 심각하게 답답했던 점이 완전히 해결되는 말도 안되는 효과를 지니고 있습니다.

다음은 이 카드의 효과입니다.
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 이 카드가 링크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레벨 3 이하의 튜너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② : 상대의 메인 페이즈 및 배틀 페이즈에 필드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싱크로 몬스터의 튜너 1장을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여 특수 소환한다.

말 그대로 링크 몬스터임에도 전면적으로 싱크로 보조에 치중되어있는 강력한 전개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심각하게 성능이 좋은 편이고, 굳이 싱크로 몬스터를 쓰지 않는 덱이라도 추가 전개를 위해서 튜너 몬스터를 넣어야 할 때 이 카드를 쓰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정말 말도 안되는 속칭 미친 범용성을 자랑하는 개사기 카드라고 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특히 ②번의 효과는 싱크로 튜너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여 엑스트라 덱에서 무조건 뽑아내는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효과를 잘만 이용하면 정말 말도 안되는 1턴 퀘이사 혹은 1턴 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의 재래가 가능할 정도입니다.

특히 이 카드를 자주 사용하는 덱들은 전체적으로 싱크로에 강력한 이점을 가지고 있는 몇몇 덱들이 중점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이 카드가 들어간 우승덱이 이미 수도 없이 많을 정도로 그 강력함은 잘 알려져있는 상태입니다.
즉 싱크로 카드군 한정으로는 슈퍼 필수 카드이기 때문에 일본 현지에서는 이 카드의 시크릿 레어 버전의 가격이 한때 1만엔 즉 우리나라 돈으로 10만원에 육박했을 정도로 이 카드가 등장하자마자 유희왕의 판도는 이미 뒤바뀌었을 정도입니다.
진짜로, 농담이 아니고요.
즉 잘 만들어진 링크 몬스터가 유희왕의 판도를 뒤바꾸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볼 수 있는 카드라고 할 수 있죠.

이상 [그룬가스트! 참!]이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luefake
18/01/23 07:35
수정 아이콘
음, 이 카드는 정말 강력하긴 하지만, 목적이 링크 시스템으로 손해본 싱크로를 위해서 만든 거라서 이해는 갑니다. 허리파이버 쓰기 전에는 액셀 싱크로 같은 건 힘들었고 지금도 허리파이버 써도 액셀 싱크로는 링크 도입 전 전성기보단 불편하죠. 또
이 카드를 적극적으로 쓰는 필두 덱인 식물링크는 우승권 강덱이지만 유일무이 원탑은 아니고 덱의 취약점도 엄연히 있고.(패트랩이 유달리 아프게 박힌다던가) 오밸은 오밸인데 개인적으론 그래 뭐..납득은 간다..같은 느낌?

코나미가 손해본 싱크로를 위해 만든 건 이거고, 손해본 펜듈럼을 위한 건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 기존 소환법/테마군을 위한 이런 범용/과거 테마군용 링크 몬스터들이 앞으로도 나올 겁니다. 허리파이버는 너무 과한 감이 있긴 하지만..이런 게 없으면 링크로 바뀌고 너무 힘들어지는 덱들이 있거든요.

여담이지만 링크 소환은 다 나와 놓고 나서 느끼는 게 잘 도입한 거 같습니다. 스파이럴 더블 헬릭스처럼 웃기지도 않는 오밸 수준 카드만 안 내면(...) 밸런스도(평소에 비해서) 나쁘지 않고,(지금 밸런스는 춘추전국시대니까요) 기존 덱들도 잘 적응하거나 추후 지원으로 보충받을 거 같고. 덱들 적응한 걸 보면 날빌보다 비트다운 및 컨트롤로 방향을 돌려서 바람직한 현상이구요. 링크마커 방향으로 머리쓰는 요소도 늘었구요.
그룬가스트! 참!
18/01/23 07:38
수정 아이콘
진짜 더블 헬릭스는 너무 정신 나갔죠.. 왜 그런 오버 밸런스급 사기 카드를 내놓는건지 덜덜..
cluefake
18/01/23 07:46
수정 아이콘
뭐..왜 내놓는지는 뻔하죠.
스파이럴이 미국에서 일본에 상륙하는데 기존 성능이 막 엄청 강한 덱은 아니어서, 엄청 센 덱으로 만들어서 사게끔 하고 싶었던 거죠.
금제도 보면 10월 금제는 대놓고 스파이럴에 방해되는 경쟁자들만 너프하고 판 깔아주고 1월에 와서 쳐내고 2티어 이하로 떨어졌죠. 그니까 지금 환경 밸런스 꽤 좋구요.
근데 코나미가 카드게임 제작사 중에선 이해도가 높은 편이란걸 감안하면 이런 깽판을 칠 거란거 대충 카드 내면서 알고 있었을 확률이 높습니다...
그룬가스트! 참!
18/01/23 07:51
수정 아이콘
그것도 그렇지만 이제 F.A.라는 또 하나의 카드군이 상륙 준비 중이라는 걸 생각하면 또 이 카드군이 어떤 폭풍을 불러올지 참..
cluefake
18/01/23 08:01
수정 아이콘
근데 F.A는 카드군 자체 카드가 아직 너무 적어서..서브테러도 세게 지원해줬듯 강한 카드를 쥐어주긴 하겠지만 2티어 이상은 가기는 힘들 것 같아요.
VrynsProgidy
18/01/23 11:18
수정 아이콘
스파이럴은 TCG발 카드군으로 한정하지 않아도 최근 나온 유희왕 카드군중에 컨셉과 일러스트가 둘다 미려하고 직관적인 몇 안되는 카드군이라고 생각해서 사실 밀어줄만 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래도 안 써? 이래도 안 써? 이렇게 야금야금 지원하다 하도하도 안쓰니까 안쓰면 호구수준으로 지원해준거죠. 크크
18/01/23 11:10
수정 아이콘
(하스스톤으로 치면, 패치스와 같은 수준의 사기성을 자랑하는 몬스터입니다.)

이해가 팍 되네요 크크...

저는 유희왕은 그 머시기냐 싱크로 소환부터는 보지 않아서 잘 모르는데

1. 기존의 소환 은 제물 바치기

2. 싱크로는 레벨 합계 맞춰서 소환

3. 융합이라고 푸른눈의 백룡 3마리 합친거에 암속성 맘모스 강제로 합쳐서 죽였던;;(이건 만화용 개그였던거죠?) 거나 히어로들 융합소환

4. 빛속이랑 암속성 배제하고 소환하는 카오스 시리즈.

5. 엑시즈 소환 부터는 뭔지 모르겠음..

여기에 링크소환이라는게 추가된건가요?
그룬가스트! 참!
18/01/23 11:18
수정 아이콘
으흠.. 정확히 말하면
싱크로 소환은 튜너 몬스터와 튜너 몬스터 이외의 효과 몬스터를 소재로 하고 튜너의 레벨+효과 몬스터의 레벨을 합쳐서 소환하는 특수 소환입니다.
융합 소환은 특정 융합 몬스터에 표기된 융합 소재 몬스터들에 융합 마법을 사용해서 소환하는 소환 방식이고요.
(물론 융합 몬스터라고 전부 융합 마법을 사용하는 건 아닙니다. 융합 마법을 쓰지 않는 카드군들도 있어요.)
엑시즈 소환은 같은 레벨의 몬스터를 소재로 해서 랭크(기존 별표시와 다르게 검은색이며, 좌측에서부터 표기가 시작하는 형태)가 매겨진 몬스터를 소환하는 특수 소환입니다.
카오스 계열은 일반적으로는 의식 소환이라는 특수 소환에서 비롯된 카드군이고요.
(의식 소환은 의식 마법 카드를 사용해서 의식 마법 카드에 기재된 의식 몬스터를 소환할 때, 레벨 합계에 맞춰서 몬스터를 준비하고, 의식 마법을 사용함으로써 소환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링크 소환은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제외한(단 의식은 예외 취급) 메인덱의 일반 / 효과 / 토큰 몬스터를 최소 1장 이상 소재로 요구하는 특수 소환 방식이고, 링크 마커라는 요소를 사용해서 전략적인 면을 강조한 특수 소환법입니다.
18/01/23 11:31
수정 아이콘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밸런스를 위해서(라고 쓰고 다양하게 해서 지갑을 털기 위해) 소환법을 자주 달리 하는건가요?

그리고 보통 보면 싱크로 덱 vs 엑시즈 덱 이렇게도 같이 겜할수 있는건가요?
그룬가스트! 참!
18/01/23 14:27
수정 아이콘
달리 한다기 보다는 추가되면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해요.
특히 이번에 나온 링크 소환이 어느정도 그런 역할을 충분히 해내는 쪽으로 설계된 부분이 강조된 소환법이기도 해서 말이죠..
뭐 링크 몬스터를 1장~2장 정도 넣는다면 싱크로 덱 vs 엑시즈 덱 끼리의 대전은 여전히 가능합니다. 다만 전개 방식에 따라서 상성이 유동적으로 변하니깐 그게 문제죠..
18/01/23 16:43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밸런스 잡기 진짜 힘들겟네요 크크
18/01/23 11:57
수정 아이콘
없으면 엑셀싱크로가 지옥같고 있으면 사기고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487 [기타] [배틀테크]전반적 시스템에 대한 소개 [11] 용자마스터6954 18/05/03 6954 2
63463 [하스스톤] 홀짝 덱을 알아보자 - 바쿠와 겐 [38] 루윈13734 18/04/26 13734 5
63441 [기타] 주사위의 잔영 정식 출시 이후 플레이하며 느낀 생각들. [48] 은하관제8713 18/04/20 8713 4
63438 [하스스톤] 정령왕 짝수정령 스랄덱 [9] 길갈8675 18/04/20 8675 1
63395 [하스스톤] 마녀숲 출시기념 PGR 아만보 이벤트 [39] 염력 천만9668 18/04/12 9668 5
63363 [하스스톤] PGR 하스스톤 아만보 배틀 결과 발표 + 시상 [28] VrynsProgidy8362 18/04/10 8362 3
63288 [기타] [벽람항로]각 함종별 추천 SR~SSR(한섭 기준) [36] 그룬가스트! 참!14671 18/04/03 14671 0
63223 [기타] [소녀전선]이번에 새로 등장할 총기들의 성능 소개. [29] 그룬가스트! 참!6876 18/03/22 6876 0
62916 [기타] [유희왕/OCG]최근 주목받고 있는 카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에 대해 알아보자. [12] 그룬가스트! 참!7165 18/01/23 7165 1
62909 [배그] 심플하고 직관적인 배그 e스포츠 경기방식 제안 [43] 새도우헌터10528 18/01/19 10528 11
62846 [하스스톤] 코볼트 덱 소개 1편 - 징지벌을 사용하는 덱들 [94] 루윈12007 18/01/05 12007 4
62838 [하스스톤] 코볼트 이후 하랜(라자쿠스)사제덱 이야기 [51] VrynsProgidy10557 18/01/03 10557 1
62824 [하스스톤] 흑마로 첫 전설 간 후기 [35] 빛당태9647 17/12/27 9647 5
62796 [하스스톤] 전설 달성 후기 & 확장팩 초반 메타 [103] bemanner12076 17/12/20 12076 4
62745 [하스스톤] 확장팩 카드평가. 몇몇카드들만. [22] 세이젤9746 17/12/08 9746 1
62717 [하스스톤] PGR 돌크리트 대법관들에게 아만보 배틀을 신청합니다. [61] VrynsProgidy10944 17/12/06 10944 1
62712 [하스스톤] 코볼트와 지하 미궁 카드 평가 [32] bemanner10532 17/12/06 10532 2
62698 [하스스톤]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최악의 카드는 무엇인가요 [61] leaf8232 17/12/04 8232 0
62311 [기타][쯔꾸르] 네가 죽어-프롤로그 [7] Soni11301 17/10/29 11301 6
62308 [기타] 꿈과 희망이 가득한 다키스트 던전 추천 및 공략. (Darkest Dungeon) [20] Lighthouse16944 17/10/29 16944 5
62304 [하스스톤] 요즘 로테이션 돌리면 좋은덱 3개 [35] 낭천8518 17/10/28 8518 3
62287 [기타] [클래시로얄] 대격변패치 소감 (부제 : 무과금 스파키로 4300돌파) [22] Serapium7748 17/10/25 7748 3
62166 [하스스톤] LA 하계 챔피언쉽 덱 리스트를 보며 잡담 [13] 네~ 다음7666 17/10/08 766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