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11/05 10:00:28
Name 딴딴
Subject [기타] 11월 esports 단신
1. 2017 LOL world championship
우승: samsung galaxy
준우승: sk telecom t1

2. 블리즈컨

오버워치: 대한민국 우승
하스스톤: 크라니쉬 백학준 선수의 결승 올킬로 팀 Grimestreet Grifters 우승.
히오스: mvp black 우승
스타크래프트2
우승: 이병렬
준우승: 어윤수

11월은 이스포츠 결산의 달이네요.
주요 게임들의 최종 대회이자 한해를 마무리 짓는 가장 큰 무대가 몰려있습니다. 재미있는 경기 잘 보았고 대한민국팀들이 이기니까 기분이 참 좋네요. 대한민국이 압도적 최강이다라는 느낌은 전혀 받지 못했고 오히려 위태 위태한 경우가 많았죠. 리그 오브 레전드만 하더라도 삼성이 조별예선에서 rng에게 털리고 2위했고, skt는 8강, 4강 모두 해외팀에게 간신히 3:2 역전승을 거두었죠. 오버워치도 압도적이란 평가와 다르게 현 국가대표는 2부리그 팀한테도 깨진다고 말이 많았고, 8강에서 미국과의 혈전 끝에 경기 일정을 바꿀 연장 스코어를 거듭하며 간신히 올라갔죠. 하스스톤이야 운빨x망겜이라 (실력이 없단 말은 아니고, 올킬을 하려면 운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넘어가고 스2만이 한국인 천하였죠. 그리고 두 선수 모두 최고임을 입증했네요.

이제 2017년의 큰 대회들은 마감하고 2018 시즌이 다가오네요. 많은 대회들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1/05 10:01
수정 아이콘
어윤수 준우승 실화인가요.........?
17/11/05 10:01
수정 아이콘
저도 방금 봤는데 눈을 비비고 보아도 준우승이네요
17/11/05 10:04
수정 아이콘
젤나가 맙소사.........
Eulbsyar
17/11/05 10:07
수정 아이콘
이제 9연준 인가요 10연준인가요?
17/11/05 10:11
수정 아이콘
메이저 대회 7연준입니다.
2티어 대회 1우승 2준우승 이구요
Eulbsyar
17/11/05 10:14
수정 아이콘
7연준 ㅠㅠ
닉네임을바꾸다
17/11/05 10:20
수정 아이콘
GSL이라는 단일 대회에서만 6번 우승이죠 ㅠㅠ
해바라기
17/11/05 10:34
수정 아이콘
눈을 비비고 봤는데 준 이라는 단어가 없네요. 왈칵 ㅠ
닉네임을바꾸다
17/11/05 10:46
수정 아이콘
앜 오타다...하지만 수정하지는 않는걸로 ㅠㅠ
편두통
17/11/05 10: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2도 소소하지만 멕시칸 테란 special이 kr지역 포인트1위 stats를 잡고 조1위로 진출했고 대외국인전 무패였던 dark도 폴란드 저그 elazer에게 탈락 당하는 등 이변이 있었죠 우승자인 rogue도 조별예선에서 neeb한테 졌었구요 크크
인터뷰에서도 이제 격차는 거의 없다고 말하는 선수들이 많았죠
히오스는 심지어 도전자 위치였습니다 미드시즌에 유럽vs유럽 결승을 성사시킬정도로 유럽 강세였거든요 이번에도 조별예선에서 유럽은 3팀을 다 올렸지만 한국은 2팀 올라갔죠
자세히보면 다 치열했어요
잡동산이
17/11/05 13:11
수정 아이콘
스타2에서는 이제 한국유학파들이 조금씩 힘을 내는것 같더라구요~
염력 천만
17/11/05 10:44
수정 아이콘
하스스톤은 바꿔 말하면 그 와중에도 올킬하려면 뛰어난 실력과 집중력이 있어야만 한다고 말할수도있죠
그나저나 어윤수... ㅠㅜ
닉네임을바꾸다
17/11/05 10:46
수정 아이콘
실력겜 하스스톤...
유진바보
17/11/06 15:38
수정 아이콘
그래도 결과만 보면 한국사람들이 게임을 잘하긴 잘하는 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179 [기타] MBC에 대해 좀 무거울 수 있는 얘기를 다시 꺼내보려합니다. [36] SCBW10203 18/03/15 10203 4
63175 [기타] 폭력적인 비디오 게임은 올림픽 e스포츠 종목에 환영받지 않습니다. [81] 타카이12756 18/03/14 12756 1
63015 [히어로즈] 왜 히오스는 이상한 고집을 부리는가 [76] 게섯거라11343 18/02/09 11343 11
62925 [기타] 도저히 이해가 안가는 블리자드의 이스포츠 운영 [74] Alan_Baxter15630 18/01/24 15630 3
62912 [기타] 요 근래 해본 게임 짧은 리뷰 [48] 딴딴14425 18/01/20 14425 2
62879 [배그] 이걸 비기너스럭이? 배린이 첫판 치킨먹은 후기.txt [44] 안채연9200 18/01/14 9200 4
62876 [배그] 배틀그라운드 벤츠선수의 징계에 대해 어떻게 보시나요? [64] 큐브큐브11460 18/01/12 11460 1
62868 [기타] 조금 전 스팀(Steam)계정 해킹을 당했습니다. [33] 은하관제19787 18/01/10 19787 1
62859 [기타] 한국 E스포츠 역사상 가장 특별한 1월? [51] 자전거도둑13738 18/01/08 13738 0
62857 [기타] 1월 첫주 PC방 게임 점유율 [60] 홍승식9820 18/01/08 9820 0
62836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2018! 어떤 영웅이 등장할 것인가!" (스압) [22] 은하관제10254 18/01/01 10254 17
62822 [배그] 훗날 배그도 게임사가 직접 운영하고 중계권 팔겠다면 온겜은 어떻게 될까요? [41] 오래된미래11316 17/12/27 11316 0
62818 [기타] CJ E&M이 한국 e스포츠협회를 탈퇴합니다. [53] 자전거도둑11046 17/12/26 11046 2
62815 [기타] 팬들에게 제대로 된 입장표명 해주는 게 그렇게 어려운 걸까요? [55] 오래된미래12749 17/12/25 12749 15
62787 [배그] 배틀그라운드 선수들 대리의혹 , OGN 예선 결과 [65] 자전거도둑17555 17/12/16 17555 0
62772 [기타] 그래도 게임은 한다. [34] 세인트12086 17/12/14 12086 44
62733 [배그] 아프리카 APL 예선조가 공개되었습니다 (주요 팀 소개) [32] 트와이스 나연9067 17/12/07 9067 0
62619 [기타] [펌]최근 LCK와 APEX 중계문제에 대한 외국의 반응들 [10] 자전거도둑6052 17/11/26 6052 1
62580 [기타] 블리자드 팀게임에 대한 고찰 [74] 돈키호테14522 17/11/22 14522 5
62430 [기타] 11월 esports 단신 [14] 딴딴5959 17/11/05 5959 0
62309 [기타] 주간 e스포츠 한중전 결과 [6] 레가르6718 17/10/29 6718 1
62300 올해의 최다고티 예상 [81] makka14862 17/10/28 14862 3
62264 [기타] [철권] 감사합니다. [13] 도전과제8160 17/10/21 8160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