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10/24 11:37:51
Name 그룬가스트! 참!
Subject [스타2][협동전 임무]개인적으로 생각해본 피닉스 유닛들의 개편 방안. (수정됨)
1. 군단병
돌진 -> 방출 돌진 : 이 기술은 돌진의 강화판으로써, 자신의 보호막을 모두 소모하는 대신에, 그 보호막의 방출된 에너지를 이용해 군단병 본인이 그 에너지를 두르고 돌진하면 적이 가하는 피해를 받지 않고 적에게 돌진하여 그대로 피해를 주는 기술입니다.
(피해량 공식은 자신의 보호막 량 x 현재 공격력 업그레이드 수치에 따라서 결정됨.)

1.1 칼달리스
강화된 검 -> 강화된 사이오닉 검 : 칼달리스가 자신 주위에 있는 모든 적에게 피해를 균등하게 줄 수 있는 강화된 사이오닉 검으로 피해를 줍니다. 이때 모든 적 지상 유닛에게 주는 피해는 일정하게 나눠서 입히게 되며, 공격력 업그레이드에 따라 피해량이 소폭 증가하게 됩니다.
(피해량 공식은 현재의 공격력 업그레이드 x 자신 이외의 군단병의 수 만큼 증가.)
군단병의 수에 비례하여 체력/보호막은 15%씩 증가, 공격속도 증가.
(단 공격속도는 군단병의 수 x 1%만큼 증가.)

2. 사도
사이오닉 투영 -> 강화 사이오닉 산탄 : 사도가 자신의 전방에 있는 적들에게 균등하게 피해를 나눠 입히는 강화 파동 산탄을 발사합니다. 이 때 모든 적에게 주는 피해는 일정하게 나눠서 입히게 되며, 적 지상/공중 유닛에게 모두 적용됩니다. 또한 공격력 업그레이드에 따라 피해량이 소폭 증가하게 됩니다.
(피해량 공식은 현재 자신의 공격력 업그레이드 x 적의 현재 체력 비례)

2.2 탈리스
사이오닉 투영->진보된 사이오닉 산탄 : 탈리스가 자신의 무기를 강화하여 진보된 사이오닉 산탄을 사용합니다. 이 무기는 공중 유닛에게 2배의 피해를 입히며, 모든 적 지상/공중 유닛에게 균등한 피해를 입힙니다. 또한 상대 유닛이 경장갑 속성을 가지고 있을 경우 가하는 피해가 증가합니다.
데미지는 35(경장갑 45)+2X(최대 50/대 경장갑 65)
쐐기 유탄 -> 사이오닉 이동 : 탈리스가 자신의 사이오닉 기동 시스템을 강화하여 사이오닉 에너지를 방출하며 빠르게 짧은 거리를 순간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을 사용하여 이동하는 경우 적 유닛에게 공격 받지 않으며, 이후 빠른 발사가 가능해집니다.
사도의 수에 비례하여 체력/보호막이 10%씩 증가 증가

3. 불멸자
방어막 -> 강화 방어막 : 래더 초기의 불멸자의 그 스킬입니다. 사양은 동일.
신규 기술 : 강화 방출포(5초동안 순간적으로 빠른 공격속도를 가진 방출포 모드로 전환하여 적 경장갑/중장갑 유닛에게 추가 피해를 입힙니다.)

3.1 탈다린
방어막 -> 강화 방어막 : 역시 동일.
중력 양자 분열포 -> 진보한 중력 양자 분열포 : 기존 중력 양자 분열포보다 강한 중력 양자 분열포를 쏘아 더 많은 적의 지상 유닛들을 조금 더 오랫동안 끌어 모읍니다. 이때 이 스킬로 입히는 피해는 광역 피해로 취급되며, 중장갑 유닛에게 추가 데미지를 가할 수 있습니다.
중력 과충전 -> 강화 중력 과충전 : 공격할 때마다 타겟에게 준 피해의 35%(+10X%)가 타겟에게 누적되며(최대 95%), 해당 타겟이 사망할 경우, 누적된 피해만큼의 공격력의 2배의 데미지를 모든 적에게 나눠 입힙니다.
불멸자의 수에 비례하여 체력/보호막이 증가

4. 정찰기
기존보다 체력/보호막의 양이 25% 증가.

4.1 모조
양자 미사일 -> 강화된 양자 미사일 : 기본 대공 공격이 4초동안 적을 기절시킵니다.
억제 절차 -> 구금 절차 : 반물질 미사일을 퍼부어 15(중장갑 24)+X만큼 대공 광역 피해를 입히고(최대 33/중장갑 48) 2초간 광역 기절을 겁니다. 쿨타임 8초.
정찰기의 수에 비례하여 체력/보호막이 5% 증가

5. 거신
기존보다 체력/보호막이 15% 증가

5.1 전쟁인도자
공격력이 기존 25x2에서 30x2(경장갑 유닛에게는 32x2)로 증가.
시간 왜곡 -> 강화 시간 왜곡 : 공격 시 적의 공격속도와 이동속도를 80%(영웅은 25%) 감소시킨다.
정화포 -> 광역 정화포 : 주변 적 유닛들에게 230+20X만큼 데미지를 준다(최대 460).
거신의 수에 비례하여 체력/보호막이 5%씩 증가.

6. 우주모함
기존보다 체력/보호막이 10% 증가

6.1 클로라리온
태양 광선의 공격력이 기존 10(중장갑은 16)에서 14(중장갑은 20)으로 상승
금제기의 숫자가 기존 2기이던 것에서 3기로 증가하고, 공격력이 12(+X)에서 15(+X)로 상승. 광역 피해를 입히는 것은 기존과 동일합니다.
우주모함의 수에 비례하여 체력/보호막이 5%씩 증가.

블리즈컨이 슬슬 다가오는 시점인데 어떻게 피닉스를 구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해서 생각해본 피닉스 유닛들의 상향 방안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또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irrorShield
17/10/24 12:21
수정 아이콘
피닉스는 유닛보다.. 패널스킬이 없다시피한게 너무 치명적이에요.

협동전 특성상 초중반 열세를 패널스킬로 틀어막고 데스볼 굴려야하는데 그게 안되니까요.

마찬가지 이유로 스완도 후지죠.
말같지도않은소리
17/10/24 12:42
수정 아이콘
피닉스로 겜할때 항상 느끼지만 유닛 회복수단만 있으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딜링이 문제가 아니라 유지력이 개똥인게 너무 커요.
17/10/24 13:43
수정 아이콘
222 피닉스 딜은 사실 사령관 중에서도 좋은 편이죠. 문제는 유지력과 탱킹 ㅠㅠㅠㅠ
17/10/24 22:14
수정 아이콘
333 유닛들은 그다지 약하지 않죠. 군단병 빼곤.
Normalize
17/10/24 15:22
수정 아이콘
피닉스가 모드 변환할 때, 피닉스 주변 유닛에 회복 오라 정도라도 걸어주면 좋겠습니다.
지상유닛하는데 살변갈링링이나 뮤링링 같은거 상대하면 데스볼 굴리기도 힘들고, 굴려도 아차하면 훅가니...
루키즈
17/10/24 18:37
수정 아이콘
마힘을 바꿔야 하지 않나 시프요
17/10/24 20:37
수정 아이콘
유지력 부족이 컨셉이라면 단점을 지우는 게 아니라 장점을 강화히는 쪽으로 가도 좋을 것 같아요. 유닛들을 더 저렴하게, 생산 시간을 더 짧게 하면 좋겠네요.
시노부
17/10/24 23:32
수정 아이콘
피닉스의 가장큰 단점은 "어중간함" 이라고 봅니다.
자가라 처럼 가장 빠르지도
알라라크 처럼 뭉쳤을때 압도적으로 강력하지도
카락스 처럼 아얘 느리지만 위기대처가 압도적이지도 못한
어중간함이야 말로 피닉스 노잼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봅니다.
뭐라도 또렷한 장점이 있으면 나머지 단점은 상쇄하면서 재미나게 플레이 할수 있어요.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840 [LOL] 2018 LCS 개막 전, 팀들을 정리해보자 (유럽편) [15] 후추통8024 18/01/04 8024 3
62839 [철권] 조금씩 스폰을 받는게 늘어나는 철권판 [53] Rated11067 18/01/03 11067 0
62838 [하스스톤] 코볼트 이후 하랜(라자쿠스)사제덱 이야기 [51] VrynsProgidy11858 18/01/03 11858 1
62837 [하스스톤] 코볼트와 지하미궁 투기장 첫12승보고 [15] 뵈미우스8625 18/01/02 8625 0
62836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2018! 어떤 영웅이 등장할 것인가!" (스압) [22] 은하관제11833 18/01/01 11833 17
62835 [PS4][DJMAX] 디린이 드디어 플래따다. [18] 북극8684 17/12/31 8684 5
62834 [스타2] [협동전 임무]과연 내년 첫 협동전 신 사령관은 누가 될 것인가? [15] 그룬가스트! 참!9022 17/12/31 9022 2
62833 [기타] [포켓몬] 20주년 극장판 배포 모음(스크롤&데이터) [7] 좋아요6231 17/12/31 6231 0
62832 [히어로즈] 머키는 이렇게 말했다. [24] 메피스토10837 17/12/30 10837 26
62831 [하스스톤] [HearthFun] 하스펀 수익현황 공개 [9] 만진이9428 17/12/30 9428 10
62830 [하스스톤] 하스스톤 방송에서의 '훈수'를 대리 행위로 볼 여지가 있는가? [99] shira13151 17/12/30 13151 1
62829 [하스스톤] 슬금슬금 되돌아오는... 약한 이의 그림자. [48] kaerans10740 17/12/30 10740 1
62828 [기타] 게임이 이렇게 재밌는 것 이었군요 - 나의 첫 게임엔딩 [29] 헛스윙어14722 17/12/29 14722 6
62827 [배그] 차마 이렇게까진 말하고 싶지 않았는데 드디어 울화통이 터졌습니다 [106] 잊혀진꿈18249 17/12/28 18249 10
62826 [기타] [소녀전선] 다음 이벤트는 딥다이브로 굳혀진 듯합니다. [25] 태연이6749 17/12/28 6749 1
62825 [스타2] 12월 5주차 스타크래프트II 파워 랭킹 [5] 쏭예7995 17/12/28 7995 0
62824 [하스스톤] 흑마로 첫 전설 간 후기 [35] 빛당태10905 17/12/27 10905 5
62823 [스타1] 2018년, 래더 새 시즌 시작, 티어제 시스템 도입, 팀플 래더, 소셜 기능 등 [37] 성동구12203 17/12/27 12203 0
62822 [배그] 훗날 배그도 게임사가 직접 운영하고 중계권 팔겠다면 온겜은 어떻게 될까요? [41] 오래된미래12543 17/12/27 12543 0
62821 [기타] 최근 클리어한 게임들 간단한 후기 (구작 위주로) [13] sentist9134 17/12/26 9134 4
62820 [기타] 엔비디아가 32비트 운영체제 드라이버 지원을 종료합니다. [9] TWICE쯔위7862 17/12/26 7862 0
62818 [기타] CJ E&M이 한국 e스포츠협회를 탈퇴합니다. [53] 자전거도둑12316 17/12/26 12316 2
62817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메리 2017. 화끈 2018!" [25] 은하관제11558 17/12/25 11558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