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4/09 06:59:46
Name 엔타이어
Subject [디아3] 2.2 패치가 됩니다. 예고했던 대격변은....?

안녕하세요. Ledi#3432입니다.
북미는 어제 2.2 패치가 적용이 되어서 많은 유저들이 즐기고 있고,
2.2 이후에 대균열에서 순위 갱신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지금 점검이 시작되어서 내일 오전 11시가 되면 2.2 패치를 즐길 수 있을것입니다.

2.2 패치가 처음 테섭에 등장했을때는 정말 충격적인 변화가 많아서 대격변으로 예상이 되었습니다.
인검, 황도궁, 모르틱, 애쉬브링어를 비롯해서 정말 많은 새로운 전설들이 유저들을 흥분시켰습니다.
하지만, 테섭에서 유저들이 뭔가 좋다! 하고 찾아내면 그때마다 블리자드가 나타나서 너프 망치를 두드리면서
하나둘씩 너프를 하더니 결국 예고했던 대격변은 아니게 되었습니다. 특히 주목받았던 인검은 아예 삭제 수준으로 너프를 당해버렸죠.
2.2가 열리고 모두를 충격에 빠트린 모르틱 삭제... 테섭에서 야만용사들이 너무 압도적으로 좋은 대균열 기록을 냈던게 화근으로 보입니다.
자제/집중 세트와 여러가지 신규 세트들, 그리고 플레이 편의성이 좋아진 점 등 긍정적인 면도 있습니다.


1.패치 주요 내용 (diablofans.com에서 참고했습니다.)

- 3개의 직업 신규 세트가 등장합니다. : 황야의 진노(야만), 부정한 정수(악사), 델세르의 역작(법사)
- 기존 세트들을 새롭게 디자인했습니다. (자제/집중, 롤랜드, 나탈랴, 등등)
- 새로운 전설 아이템들
- 기존의 전설들에 새로운 옵션을 추가
- 기존 전설들의 데미지%를 재조정 - 섀퍼의 망치, 임종의 어깨걸이 등
- 새로운 업적과 외형 보상
- 화장대 시스템 - 날개, 테두리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 3종류의 신규 고블린 : 눈엣가시 악당, 물렁아비, 금덩이 갑부
- 기존의 체력 포션이 사라지고, 영구적인 체력 포션으로 대체
- 보석과 아이템을 여러개 만들때 한꺼번에 제작이 빠르게 된다.
- 제작 재료나 보석 한개를 루팅하면 20야드내의 모든 재료를 한꺼번에 줍는다.
- 대균열 기록에 따라 핏빛 파편 보유 한도가 늘어난다.  (기본 500개 + 최고 클리어 기록 층수 x 10개)


2. 신규 세트 아이템

(1) 황야의 진노
 - 2셋 : 분쇄로 주는 피해가 500% 증가, 분쇄의 지속 시간 15초로 증가
 - 4셋 : 소용돌이 사용중 피해 40% 감소
 - 6셋 : 소용도리가 먼지 돌풍 룬 효과를 발휘하고, 먼지 돌풍 피해가 무기 데미지의 2500%로 증가

(2) 부정한 정수
 - 2셋 : 자원 생성 기술이 절제도 1 생성
 - 4셋 : 10미터 반경에 적이 없으면 4초동안 공격력 20% 증가, 받는 피해 20% 감소
 - 6셋 :  자원 생성 기술과 다발 사격의 데미지가 절제 1당 15% 증가한다. (최대 절제가 81일때 1215%의 데미지 증가)

(3) 델세르의 역작
 - 2셋 : 비전 보주, 돌개바람, 마력탄, 전기충격 시전 시  감속지대의 쿨타임 2초 감소
 - 4셋 : 감속 지대가 매초 무기 공격력의 2000%의 피해를 준다
 - 6셋 : 감속 지대 안의 적들이 비전 보주, 돌개바람, 마력탄, 전기 충격으로 받는 피해가 750% 증가


3. 기존 세트 아이템의 변화

옵션이 바뀐 기존 세트 아이템들 : 자제/집중, 불카토스, 롤랜드, 불멸왕, 나탈랴, 인나, 일천폭풍, 비취, 주니마사, 불새, 탈라샤

습격, 손오공을 제외한 거의 모든 기존 세트가 다 바뀌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지옥니같은것도 안바뀐거 같긴 하지만...
다 적기에는 너무 길어질 것 같고, 이 중에서 중요한 몇가지 변화만 적어보면,

(1) 자제/집중 세트 (의지의 철벽)
- 2셋 : 자원 생성하는 기술/주기술 적중 시 5초동안 공격력 50% 증가, 자원을 소모하는 공격 적중시 5초동안 공격력 50% 증가

이번 2.2패치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로 여겨지는 자제/집중 세트입니다.
모든 직업이 이 반지들을 1순위로 파밍해야 하는게 아닌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반지 2개만으로 2.25배의 데미지 상승입니다.

(2) 탈라샤 세트
 - 2셋 : 비전, 냉기, 화염, 번개 피해를 줄 때 그 속성 유형의 운석이 떨어짐 (각 속성마다 8초의 쿨타임)
 - 4셋 : 비전, 냉기, 화염, 번개 피해를 줄 때 해당 유형의 저항이 100% 증가
 - 6셋 : 비전, 냉기, 화염, 번개 피해를 줄 때 속성당 1중첩씩 공격력 150% 증가, 중첩이 추가될 때 지속시간 초기화

신규 세트인 델세르보다 더 중요한 법사의 변화는 이 탈라샤 세트입니다.
2.2 패치가 열리고 이 탈라샤 세트 덕분에 법사가 56층으로 전 직업 중에서 대균열을 가장 높이 올라간 직업이 되었습니다.
물론 패치하고 하루이기 때문에 앞으로 얼마든지 뒤집힐 것입니다.
여태까지 약한 직업으로 여겨졌던 법사가 이제는 딜러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3) 일천폭풍 의복
 - 2셋 : 공력 생성 기술의 공격 속도가 25%, 피해가 300% 증가
 - 4셋 : 진격타가 공력 75 소모, 공력 소모시 충전 1회 회복
 - 6셋 : 공력 생성 기술 사용 시 6초동안 진격타 피해가 무기 공격력의 12500%로 증가

수도사 유저들이 에헤이 굳이 우린 진격타 안써도 되는데 그 상향 넣어둬 넣어둬 하면서 애써 거부할때도,
꿋꿋하게 일천폭풍을 상향하고 또 상향하고 또 상향해서 3000%이었던 공격력이 6000%를 거쳐서 12500%까지 올라가면서,
이 세트를 수도사들이 할 수 밖에 없게 만드는 블리자드의 고집이 담겨있습니다.
수도사는 손오공 세트 역시 6셋으로 개편한다는 예고가 있었지만, 뭔가 알 수 없는 내부 사정이 있었던 모양인지 손오공 세트는 변화가 없었습니다.

그 밖에 나탈랴, 인나, 불멸왕 등등 많이 바뀌긴 했는데 딱히.. 얘네들은 얘기하고 싶지는 않네요.
그리고, 의외인게 부두술사가 원래 대균열 솔플 순위가 6개 직업 중에 6위였는데,
지금은 마법사가 1위, 부두술사가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취 2셋, 주니 2셋의 소환 부두가 상당히 좋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4. 신규 전설 보석 (시즌 전용)

(1) 결빙석
 냉기 기술 사용 시 오한 효과가 발동되고, 오환 효과가 적의 이동 속도를 추가로 x% 감소 시킴 (0레벨 5%, 레벨당 0.4%)
 (25등급) - 오한 및 빙결 상태의 적에게 극대화 효과가 발생할 확률 10% 증가

뭔가 이 보석은 애매하긴 합니다. 솔플용으로는 극대화 10%가 그다지 큰 데미지 증가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전설 보석에 비하면 큰 데미지 증가가 아닙니다)
다만 이 극대화 10%가 파티 전체에 적용되는 버프라면, 4인 팟에서 한명만 이 결빙석을 껴도 상당한 효과를 보겠습니다.

(2) 훼손 수호석
 근접 피해 x% 감소 (0레벨 10%, 레벨당 1%)
 (25등급) - 체력이 50% 이하일때 몬스터 충돌을 무시하고 이동할 수 있다

25등급 효과보다도 주목해야 할게 근접 피해 감소량입니다. 50등급을 찍으면 무려 60% 감소인데 이건 꽤나 큰 수치입니다.
2시즌 전설 보석이었던 난해한 변화 보석과 함께 끼게 되면 상당히 고단에서도 탱킹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5. 주요 신규/변경 전설 아이템 (악사, 법사)

제가 거의 하는 직업이 악사, 법사이다 보니 이번 패치에서 새로 나오는 아이템 중에서도 악사, 법사 아이템들만 일단 체크하고 있습니다.

(1) 망자의 유산 (시즌 전용, 화살통)

생명력이 60% 미만인 적에게 다발 사격이 두번 적중.

원래 망자의 유산은 특별한 추가 옵션이 없었던 화살통이었는데, 여기에 아주 사기적인 옵션이 추가되면서 시즌 전용템이 되었습니다.
이 다발 사격 두번 적중은 엄청나게 사기적인 옵션으로 모두 평가하고 있고,
특히 악사 패시브 중에서 여태까지 애매한 평가를 받았던, 좋긴 좋으나 딱히 이걸 써야되나 싶었던 매복 패시브가 이 아이템과 함께 떠오르고 있습니다.
매복 + 망자의 유산 + 부정한 정수 + 다발 사격의 조합은 파밍이 된다면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장대비 (악사 허리띠)

복수의 비를 시전하면 무시무시한 야수도 소환되어 무기 공격력의 3500%의 피해를 줌

나탈랴 세트와 한 묶음으로 나온 신규 전설 허리띠입니다. 복수의 비에 대한 블리자드의 집착이 담겨있는데..
나탈랴 세트가 난사와의 조합으로 테섭에서 정말 좋은 결과를 보여줬는데, 블리자드가 바로 칼질을 해버려서 나탈랴 난사 조합이 많이 약해졌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쉬운 코스를 빠르게 빠르게 돌기에는 나탈랴 난사 복수의 비가 아주 편하고 좋아보입니다.


(3) 랜슬러의 어리석음 (시즌 전용, 마법사 손목)

돌개 바람의 주변 30미터내의 적을 끌어모은다.

시즌 전용 손목인 만큼 상당히 파격적인 옵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돌개 바람에 용오름, 블랙홀과 비슷한 효과가 생긴다는 것인데...
문제는 이 끌어모으는게 정예 파랑, 노랑, 노랑쫄 흰색까지 싹 다 적용이 안된다고 합니다. 보스급이야 뭐 당연히 안되는거고...
테섭에서 써본 법사들이 다들 별로 안좋다 라는 평가를 내렸습니다.
이미 솔플 대세로 굳어진 후광/파르산 때문에 이 손목은 평가가 썩 좋지는 않습니다.
자제/집중 세트를 쓰는 파티 플레이에서 랜슬러의 유틸성이 좋은 효과를 주기는 할 가능성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유틸성에 치중한 델세르/랜슬러 조합의 법사가 파티플레이에 한자리를 차지할 수 있을까요..?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딜링 면에서 탈라샤가 델세르보다 몇배 좋다는게 지금 상황이라 델세르는 조금 애매해졌습니다.
적당한 딜과 유틸성이라는게 얼마나 파티플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 저는 이런걸 좋아합니다만 대세 파티 조합에 낄 수가 있을지는 불확실합니다.


(4) 삼중구 (마력원)

고유 주문이 비전 보주의 공격력을 6초동안 100% 증가시킴. 최대 3회 중첩.

델세르 세트와 한 묷음으로 나온 삼중구입니다. 비전 보주를 제발 써주세요 라는 블리자드의 간절함이 담겨있습니다.
델세르 + 삼중구로  45~50단 정도는 클리어 가능한 모양입니다. 다만 탈라샤로 이미 56단을 깼기 때문에 이게 얼마나 큰 의미일지는 모르겠습니다.
불새보다 델세르가 훨씬 안정적인 사냥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간에 거쳐가는 세팅이나 편하게 사냥하고 싶을때는 의외로 괜찮은 선택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5) 닐푸르의 자랑 (마법사 신발)

운석 낙하로 주는 피해가 100% 증가
운석 낙하가 3마리 이해의 적을 적중시키면 150~200%의 데미지 증가

처음 테섭에 등장했을 때는 3마리 이하에 300~400% 데미지 증가여서 모든 법사들을 설레이게 했던 닐푸르입니다.
이후에 250~300%를 거쳐서 지금은 150~200%까지 너프되면서 법사들이 들고 일어나게 만들었던 신발이기도 합니다.
탈라샤 세트와 한 묷음으로 같이 쓸 수 밖에 없는 신발입니다.


다른 직업들까지 고려하면 여기 적은 것의 몇배이상의 아이템이 추가되고 변경되고 했지만, 모두 적지는 않았습니다.
반지 같은 경우는 황도궁, 아크스톤, 원소의 회동, 눈동자, 니겔링 등 정말 많은 반지가 바뀌긴 했는데 하나도 언급하지 않은건,
자제/집중 때문에 나머지는 다 신경 안써도 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좀 더 연구가 된다면 딜이 아닌 유틸적 측면에서 다른 반지들이 쓰일 가능성이 있긴 합니다.


6. 2.2 패치에 대한 평가

아직 패치도 하지 않았는데 평가를 하는게 웃기긴 한데, 저는 만족감 반, 아쉬움 반입니다.
처음 테섭에서 나왔던 파격적인 변화들이 많은 기대를 하게 만들었는데 결국 충족되지 않아서 아쉬움이 생깁니다.
하지만, 습격과 불새로 충분히 즐겨왔는데, 2.2패치를 통해 새로운 세트를 파밍해서 즐길 생각을 하니 기분은 좋습니다.

물약, 핏빛 조각, 날개와 화장대, 제작 단축, 재료 루팅 등등 여러가지 면에서 플레이어의 편의성을 높이는 패치들을 보면,
제작진이 아직 이 게임을 더 좋게 만드는 것을 멈추지 않았구나 하는 안도감은 있습니다.
이제 시험의 균열만 좀 어떻게 해주면 좋겠는데... 아쉽게도 이번 패치에서는 시험의 균열이 바뀌지가 않았네요.

아래에 많은 분들이 디아3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졸리다는 말을 포함해서 내리고 있고,
저 또한 확팩이 열리고 1년가까이 디아3를 안해왔었기 때문에 그런 평가들에 대해서 많은 점에서 동의를 합니다만,
이제 복귀하고 한달반정도 지난거 같은데 편안하게 즐기고 있습니다.
저는 졸음 방지를 위해 디아3를 할때는 항상 백그라운드로 재밌는 예능을 틀어놓고 합니다.
요즘 냉장고를 부탁해가 너무 재밌더라구요. 비정상회담은 조금씩 미수다의 길을 걷는 느낌이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일3똥
15/04/09 07:46
수정 아이콘
이번 시즌엔 다시 성전으로 키울 예정입니다. 게임에서 뵈요~
미카엘
15/04/09 08:01
수정 아이콘
모르틱에 광전사의 진노 룬 하나 정도의 효과를 붙일지도 모른다는 존양의 트윗이 있는데.. 과연 오늘 패치와 같이 나와줄지.. 뎀감이나 소분생만 붙여줘도 그나마 최악은 아닌데 말이죠.
애기찌와
15/04/09 09:32
수정 아이콘
내심 기대하는 유저들도 많지만 그러기엔 북미섭에서 파편 날려먹은 유저도 상당하고 뭔가 다음 패치를 기다려야할것만 같아요..
15/04/09 09:09
수정 아이콘
디아 확장팩은 더 이상 안 나오겠죠?
사티레브
15/04/09 11:03
수정 아이콘
나와요
마이클조던
15/04/09 09:17
수정 아이콘
요새는 어떤 직업이 대세인가요.... 성전사 하다가 아크칸도 못 먹고 답답해서 때려쳤었는데.
1일3똥
15/04/09 09:30
수정 아이콘
대세는 늘 그랬듯이 악사, 부두, 성전정도입니다
코어템들은 정복자렙 300이전에는 거의 못먹는다고 생각해야되요. 파밍게임인 만큼 시간투자를 해야죠
마이클조던
15/04/09 09:3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그리고또한
15/04/09 09:19
수정 아이콘
진격타 말고 다른 거 좀 저렇게 화끈하게 상향해줄 생각은 없는 걸까요.
휘몰이라거나, 종이라거나...
사티레브
15/04/09 11:03
수정 아이콘
확팩전 초장기간 대세스킬이라 아마 나중에야 재평가하지 않을까..
15/04/09 11:2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화염반달수도 - 번피수도 양강 시절의 화염수도가 제일 재밌었습니다.

솔직히 왜 자꾸 진격타에 집착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미메시스
15/04/09 09:22
수정 아이콘
리메이크 마다 버리던 템이 핵심장비로 바뀌곤 하니..
안쓰는 장비도 버릴 수가 없네요. 그동안 갈아버린 집중/자제가 몇개지 ㅜㅜ

창고칸좀 늘려줘라 블쟈야.. 유료라도 좋으니
1일3똥
15/04/09 09:28
수정 아이콘
아이템이 재설계되도 소급적용은 안됩니다. 다시 주워야되요
비둘기야 먹자
15/04/09 17:36
수정 아이콘
아뇨 집자 같은 셋템은 소급적용돼요.
애기찌와
15/04/09 09:34
수정 아이콘
패치를 직접 즐겨보고 답을 내려야겠지만 몇몇 아쉬운점을 제외하곤 엔타이어님과 같은 의견입니다. 꾸준히 디아3을 유지보수하려는 모습이 참 좋네요. 비정상회담은 그래도 사이드 프로격인 내친구집은어디라던지 jtbc에서 밀어주는 느낌이 있어서 미수다보단 좀 더 몰입하게 되던데.. 미수다처럼 되지는 말기를..
하얀마녀
15/04/09 10:09
수정 아이콘
소환부두는 좀 먹고 살만해졌나요....? 테스커가 없어서 안되나....
세상의빛
15/04/09 17:15
수정 아이콘
현재 부두 1위가 소환부두입니다
어깨와 바지에서 비취 2셋 챙기는 것이
딜링에 도움이 됩니다^^
오큘러스
15/04/09 10:57
수정 아이콘
부두는 왜 전혀 새로와진게 없는데 좋다는거죠? 주니마사나 비취셋이 옛날보다 좋아졌나요?
세상의빛
15/04/09 17:14
수정 아이콘
변경된 비취 2셋이 딜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소환부두가 이득을 많이 봤죠
정작 비취 부두는 혼령걸음 너프로 꿀을 못 빨고 있습니다
산성비
15/04/09 11:12
수정 아이콘
구생구템 구해서 생구 뽑아주는 재미로 했는데 스킬이 삭제됐더군요...
너부리야놀자
15/04/09 11:54
수정 아이콘
하드코어만 즐기는 입장에서 시즌3는 어떤 케릭으로 달릴지 매우 고민되네요 흐흐
시즌2에서 악사기반으로 부두까지 키우고 돌다가 회색화면 봤는데.. 이번엔 성전사로 시작을 해볼지.. 법사를 할지..
리듬파워근성
15/04/09 12:41
수정 아이콘
보석/재료 줍는 거 너무 좋네요!
시즌2 때에는 성전사로 참 재밌게 했었는데 이번 시즌엔 수도사를 해볼까 생각중입니다.
저는 시사 팟캐스트를 듣습니다. 디아블로는 시사게임이죠!
문채원짱짱걸
15/04/09 12:52
수정 아이콘
저의 불면증을 고쳐준 게임이라 노잼노잼이라고 하지만 전가끔합니다

잠안올때 이거하고 자면 바로 잘수있음
비둘기야 먹자
15/04/09 16:39
수정 아이콘
전 진격타가 좋은데 다들 반응이 별로네요. 진격타가 레콜 돌진 정도의 타격감이었다면 진짜 재미있을텐데.
진눈깨비
15/04/09 18:09
수정 아이콘
잠깐 해봤는데, 신템 줍는 재미가 쏠쏠하네요 크크
며칠 간은 노잼블로는 아닐꺼 같습니다~
소신있는팔랑귀
15/04/09 19:55
수정 아이콘
훨윈드바바 해볼까 했는데 템삭제라.. 그냥 이번 시즌은 법사로 해봐야겠네요. 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895 [LOL] 남은 2라운드 일정 및 포스트시즌 진출 경쟁의 향배 [23] Vesta6279 16/03/25 6279 4
58515 [기타] COC류의 게임들 리뷰 겸 도미 공략 [16] 솔지8848 16/01/08 8848 3
58495 [스타1] 2006년 꽤나 볼만했던 서바이버리그 저프전 3전제.avi [1] SKY927117 16/01/04 7117 2
58451 [기타] iOS GAB 에뮬레이터 사용법 & 후기.. [10] 파란만장11350 15/12/23 11350 0
58416 [LOL] 게임맨 수필 - 4 [19] ReSEt6228 15/12/17 6228 8
58297 [스타1] 박경락vs박용욱, 첫 광안리 프로리그 결승 첫세트에 걸맞는 명승부.avi [17] SKY927319 15/12/01 7319 3
58241 [LOL] 원딜의 유형 [50] 쎌라비11461 15/11/24 11461 26
58169 [히어로즈] 심해 탈출하기 정말 힘드네요 크크 [22] 기다6647 15/11/13 6647 0
58162 [하스스톤] 게임의 재미와 다양성을 위해 너프되어야 악의축 3인방 [93] burma10039 15/11/12 10039 1
58127 [기타] 상금풀로 본 e스포츠 10대 종목 -누가누가 잘할까? [60] 파랑통닭9621 15/11/08 9621 6
57827 [기타] [블리자드] Road to BLIZZCON 2015 [11] 은하관제7584 15/09/30 7584 5
57761 [디아3] 2.3패치 직업별 주요 세팅 정리해보았습니다. [45] 엔타이어20617 15/09/20 20617 8
57442 [LOL] LGD, 프나틱, TSM이 롤드컵에 진출했습니다. + 각 대륙별 직행 경우의 수 [44] becker7401 15/08/17 7401 4
57337 [히어로즈] 히어로즈 리그 이야기 : 온게임넷 슈퍼리그 최종 진출 8팀 소개 [31] 은하관제8162 15/07/27 8162 5
57247 [LOL] 조금 이른 롤드컵 직행 경우의수 및 잡담. [35] 크로스게이트9579 15/07/12 9579 8
57204 [기타] 크루세이더 킹즈2 연재 최종화(完): 토르를 위하여!! [67] 도로시-Mk217613 15/07/05 17613 70
57095 [스타2] [GSL S2 결승 예열글] It's Time to Take "THE PLACE" [8] Yi_JiHwan4533 15/06/21 4533 4
56981 [히어로즈] 영웅리그 진입을 해보자 [40] 적당히해라5604 15/06/02 5604 1
56932 [기타] 크루세이더 킹즈2 연재 23화: Talvisota(겨울전쟁) [44] 도로시-Mk213686 15/05/25 13686 41
56918 [기타] 컴알못의 GTA5 상옵을 위한 업글 도전기(부제: VGA를 업글하고 SSD를 추가해보자) [5] Lavigne5683 15/05/23 5683 1
56772 [하스스톤] 4월을 마무리하며, 하스스톤 동향 보고서 [14] sonmal14082 15/05/01 14082 3
56643 [디아3] 2.2 패치가 됩니다. 예고했던 대격변은....? [26] 엔타이어11040 15/04/09 11040 0
56502 [디아3] 결국, 또다시 성역의 문턱을 넘으며 [25] 리듬파워근성11010 15/03/19 11010 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