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9/27 01:58:46
Name becker
Subject [LOL] 삼성 블루 vs LMQ - 데프트는 얼마나 하드캐리를 했나
원래는 말씀드린대로 블루 vs 프나틱의 박스스코어만 올릴려고 했으나...






이런 댓글을 보고 힘이 난것도 있고, 사실 그것보다 데프트는 도대체 방금 경기에서 얼마나 슈퍼캐리를 한건지 궁금하기도 해서,


블루와 LMQ의 박스스코어를 정리해봤습니다. (따...딱히 요청이 있어서 하는건 아닙니다)

약간 앞글과 비슷한 글이긴하지만 다른 경기의 상세분석인 만큼... 이번만큼은 운영진과 PGR유저분들의 양해를 구합니다.







데프트는 이 경기에서... 말그대로 초 슈퍼 하이퍼 캐리를 했습니다.

데프트 총 딜량 : 35,749
삼성 블루 나머지 딜량 : 37,305
LMQ 전원, 총 딜량 : 32,512

데프트는 이 경기에서 혼자서 LMQ 다섯명보다 더 많은 딜을 냈습니다.

- 분당 데미지, 신기록 경신
- 분당 데미지 차이, 신기록 경신
- 공격지수, 2위
- 총 데미지량, 전체 5위

[분당 데미지, 롤드컵 시즌4 기준]
1위. Deft, vs LMQ -1,206
2위. Deft, vs OMG - 1,074
3위. Uzi, vs SK 1차전 997
4위. Imp vs AHQ 2차전 982
5위. Bebe vs SKG 2차전 974

[분당 데미지 차이, 롤드컵 시즌4 기준]
1위. Deft, vs LMQ - 700
2위. Bjergsen, vs TPA 1차전 584
3위. Deft, vs OMG 1차전 561
4위. Imp, vs AHQ 2차전 512
5위. Jesiz, vs TSM 2차전 508

※참고 : 분당 데미지 차이는, 분당 가한 데미지 - 분당 맞은 데미지의 차이입니다.
이것으로 유추할수 있는 수치는 "얼마나 덜맞고 많이 때렸나 - 즉 얼마나 프리딜을 잘 넣었냐"정도의 기준점으로 볼수 있으시면 될것 같습니다.

[공격 지수, 롤드컵 시즌 4 기준]
1위. Uzi, vs TSM 1차전 - 139.5
2위. Deft, vs LMQ - 135.6
3위. Uzi, vs SK 1차전 - 135.1
4위. Uzi, vs TPA 2차전 - 126.7
5위. WildTurtle, SKG 1차전 - 123.1


[총 챔피언에게 가한 데미지량 (괄호는 경기 시간)]
1위. Bebe, vs SK 2차전 - 48,700 (50:01)
2위. Deft, vs Fnatic - 39,200 (42:29)
3위. Jesiz, vs TSM 2차전 - 38,900 (50:36)
4위. Deft, vs OMG - 36,800 (34:15)
5위. Deft, vs LMQ - 35,746 (29:38)


총 데미지량이 시간이 늘면 늘어나는건 당연한 얘긴데,

이번 롤드컵에서 가장 많은 데미지량을 기록한 15경기중 30분 안에 경기가 끝난적은 이 한경기가 유일합니다. (처음에 두경기라했는데, 제 착오였네요 - 한경기가 맞습니다.)






데프트의 지금까지의 활약은 정말... 팀이 한판 졌다고는 하지만
적어도 데미지만 놓고 봤을때는 "클라스를 초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데프트, 현재까지 평균 성적

분당 데미지량 : 1,068 - 1위 (2위 Uzi - 803)
분당 데미지 차이 : 562 - 1위 (2위 Imp - 325)
골드 당 데미지량 : 2.57 - 1위 (2위 xPeke - 1.79)
경기당 킬수 : 9.3 - 2위 (1위 Imp - 9.5)
공격지수 : 122.9 - 2위 (1위 Uzi - 124.7)



한줄요약 : 세체원 갓프트 찬양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9/27 02:07
수정 아이콘
그냥 개인적인 생각인데 롤에 분당 데미지량 이런걸 따질 필요가 있나요?
운영하는 게임 했으면 딜량 내려갈텐데..
14/09/27 02:29
수정 아이콘
저도 분당데미지보다 상대보다 데미지 얼마를 더 넣엇냐 or 못넣엇냐가 중요한거같은데

또 포킹챔은 -해야하고 챔프별로 조정도필요하고 복잡하네요
14/09/27 02:33
수정 아이콘
사실 압도적인 실력이 있으면 운영할 필요도 없으니까요.
분당데미지가 높으면 높을수록 얼마나 상대를 파괴했는지는 참고가 되겠죠.
충분히 의미가 있는 자료인건 맞습니다.
저 자료하나만 보고 줄세우는건 말이 안되지만요.

다양한 스탯을 보고 참고하면 되겠죠.
보라돌이
14/09/27 04:14
수정 아이콘
하지만 딜량은 상대적인거죠. 운영을한다면 양쪽다 딜량이 줄어들지 한쪽만 줄지는 않으니까요
압도수
14/09/27 05:09
수정 아이콘
보다 의미있다고 생각하시는 스탯을 같이 말씀해주시면 더 좋을것 같네요.
이호철
14/09/27 02:15
수정 아이콘
원딜판에 페케장군이름이 눈에 띄는군요.
14/09/27 02:26
수정 아이콘
자 이제 누가 세체원이지? 라고 데프트가 말한 경기였네요. 정말 코르키로 이정도의 딜량이라니... 인광탄이 언제 광역 타겟팅 스킬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덜덜덜...

예선 전승의 부담도 털어버렸으니 남은 경기 전승 해주길 (잉?)

분석 글 잘 봤습니다 : )
마스터충달
14/09/27 02:31
수정 아이콘
제목을 바꿔봅시다
"데프트는 얼마나 빡쳤었나" 크크크
곧내려갈게요
14/09/27 02:37
수정 아이콘
크크크 좋아요.
그 분노 남은 이틀간 잘 유지하길 크크크
14/09/27 10:31
수정 아이콘
이 부제 완전 마음에 드는데요 크크크크
낭만토스
14/09/27 03:31
수정 아이콘
분노한 손오반 포스네요
14/09/27 03:37
수정 아이콘
데프트 멘탈이 약해서 다전제같은경우에 데프트 멘탈이 위험해지면 이기는 판에 데프트 엄청 몰아줘서 멘탈유지시켜준다고 했었는데 그대로 가더라고요 크크크
샨티엔아메이
14/09/27 03:59
수정 아이콘
순간적으로 딜 뽑아내는데 진짜 뭔가 남다른게 있는거 같더라고요
14/09/27 04:19
수정 아이콘
스타 시절 칼럼들 기억하고 있습니다. 저그 유저이셨던 걸로...
귀연태연
14/09/27 07:56
수정 아이콘
제 댓글이군요. 이렇게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데프트 딜 넣는건 정말 감탄사가 절로 나오던데 기록으로 보니 확실하군요.
14/09/27 11:12
수정 아이콘
항상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단지날드
14/09/27 14:27
수정 아이콘
어제 마지막 경기 데프트는 정말 이게 바로 세체원이다 라고 외치는 플레이였다고 봅니다.
토쁜이
14/09/27 17:28
수정 아이콘
아니, 코르키로 저랬다고요????????
제가 경기를 안보고 글만 봐서 오 잘했나보네, 이러고만 있었는데... 코르키로 저렇게 했다고요????

어마어마 하네요.
나이트메어
14/09/27 17:59
수정 아이콘
정말 스킬샷의 귀재네요.
이 정도 딜량을 뿜어냈다는 건 결국 스킬샷으로 광역데미지를 계속 적중시켰다는 결론인데, 스킬샷이 얼마나 정확했으면 이런 결과가 나오는 건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464 [스타1] 03년 1월, 싱거웠을수도 있었지만 임팩트 강하게 남았던 테저전.avi [7] SKY929315 15/12/25 9315 0
58445 [스타2] SPOTV 스타리그 방식, 마음에 드십니까? [17] 고러쉬6986 15/12/22 6986 1
58333 [LOL] 그래서 우리한테는 뭐가 좋아지는건데? [95] MoveCrowd9867 15/12/05 9867 13
58208 [스타2] 공허의 유산의 종족 밸런스 및 경기 양상 (1) [4] 가루맨6861 15/11/19 6861 5
58150 [LOL] NAVER 2015 LoL KeSPA Cup 8강 종합 및 4강 진출팀 데이터 [7] Jtaehoon6544 15/11/11 6544 4
57903 [LOL] 롤드컵 5일차 해외 분석데스크 요약. [25] 줄리9818 15/10/09 9818 8
57763 [스타2] 스포티비 게임즈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2015 시즌 종합 기록 [4] Jtaehoon4583 15/09/20 4583 3
57406 [LOL] LCK 리그방식 새로운 제안 [48] 서쪽으로 gogo~6625 15/08/11 6625 0
57160 [LOL] (스포주의) EU/NA LCS 5주차 추천 경기 [26] 에스퍼란자3794 15/06/29 3794 4
56879 [기타] [스타1] 제언 : 스베누스타리그 시즌2의 시작과 김택용 선수의 출전을 환영하며 [6] 호가든7121 15/05/17 7121 1
56790 [LOL] 2015 MSI 경기 일정 및 대진 [31] zelgadiss10442 15/05/06 10442 5
56586 [LOL] LCS NA 9주차 - TSM vs C9 경기 분석 [12] 빠른별4471 15/03/31 4471 8
56128 [기타] K리그가 재미없는 이유와 이스포츠가 더욱 재밌어지는 방법 [18] Alan_Baxter8117 15/01/25 8117 3
56043 [LOL] 아프리카에서 LPL을 공식적으로 중계합니다. [29] Leeka9217 15/01/14 9217 0
55511 [LOL] 꿀잼리그. LCS와 LPL 관련 이야기들. [32] Leeka5747 14/10/28 5747 0
55462 [LOL] 삼성화이트와 글골 2k에 관한 이야기 [45] Leeka8793 14/10/20 8793 5
55390 [LOL] 삼성 화이트의 현재까지 2014 롤드컵 기록 [33] Leeka7957 14/10/13 7957 3
55293 [LOL] 롤드컵 8강 1일차 프리뷰 - 삼성 화이트 VS TSM [27] Leeka6357 14/10/03 6357 0
55242 [LOL] 프로는 같은 패턴에 두번 당하지 않는다. - 롤드컵 7일차 후기 [51] Leeka7866 14/09/27 7866 2
55231 [LOL] 삼성 블루 vs LMQ - 데프트는 얼마나 하드캐리를 했나 [19] becker9591 14/09/27 9591 3
54696 [LOL] 라이너의 공격 활약도 수치화하기 [내용추가] [30] becker7558 14/07/19 7558 27
54653 [LOL] 롤챔스에 바라는 마지막 이야기. [42] Leeka7613 14/07/14 7613 14
54367 [LOL] CLG Seraph가 한국팬들에게 남기는 선물 - 탑 쉬바나 강좌 [63] JoyLuck11535 14/06/07 11535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