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8/16 13:21:57
Name Leeka
File #1 round.jpg (124.8 KB), Download : 24
Subject [LOL] 현재까지의 롤드컵 대륙별 진행 상황


1. 조 추첨 방식.

- 1번 시드(POOL 1)에는 한국/중국/유럽/북미  1위 팀들이 추첨을 통해 A~D조에 배정됩니다.

- 2~3번째 자리(POOL 2)는 아래 팀들이 추첨을 통해 A~D조에 배치됩니다.
동남아 1~2위 + 한국 2~3위 + 중국 2~3위 + 유럽 2위 + 북미 2위

- 4번째 자리(POOL 3)는 아래 팀들이 추첨을 통해 A~D조에 배치됩니다.
유럽 3위 + 북미 3위 + 와일드카드 2장

- 모든 조에는 '같은 대륙 팀은 1팀만' 포함됩니다.
(즉, 1번 시드를 제외하곤 추첨으로 들어갈 수 있는 조가 계속 줄어들게 됩니다.)

라이엇에서 매긴 대륙별 등급이 조정된 추첨 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1티어 - 한국 / 중국(시즌4 올스타전 결승)
2티어 - 북미 / 유럽(시즌4 올스타전 4강)
3티어 - 동남아(시즌4 올스타전 조별예선)
4티어 - 와일드카드
순으로 매겨졌으며. 그에 맞게 각 팀들이 배분되었습니다.



- 한국
직행 2장, 선발전 1장.

#1 KR  - 삼성 블루
#2 KR  - 삼성 화이트 or SKT K
#3 KR - 삼성 화이트 or SKT K or 나진 쉴드 or KT A or KT B

- 중국
직행 1장, 선발전 2장

#1 CN  - EDG or 섬머 우승팀
#2~3 CN - 로얄, WE, EDG, OMG, LGD, IG 중 2팀.

- 동남아
직행 1장, 선발전 1장

#1 SEA - TPA or AHQ
#2 SEA - TPA or AHQ or TPS or SJ or LGF or SFF

- 유럽
선발전 3장

#1~2 EU - 한자리는 프나틱, 한자리는 얼라이언스
#3 EU - SK 게이밍 or 로켓

- 북미
선발전 3장

#1~3 NA  -  C9, LMQ, TSM, 디그니타스, CLG, 커스  중 3팀

- 와일드 카드
선발전 2장

#1 와일드 - Dark Passage(터키)
#2 와일드 - PEX or KABUM E - Sports


추첨 방식 별 확정팀

POOL 1(4팀) - 삼성 블루(#1 KR)
POOL 2(8팀) -
POOL 3(4팀) - Dark Passage(#1 와일드, 터키)

* 프나틱, 얼라이언스는 롤드컵 진출만 확정된 상태(어떤 POOL 로 배정될지는 아직 미정)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걸스데이 덕후
14/08/16 13:24
수정 아이콘
어제 유럽 대표 결정전 봤는데 수준이 참 높더군요

지난 시즌 삼성 화이트의 재림이 일어나면 얼마나 많은 찬양이 받을지 기대될 만큼
브레잇
14/08/16 13:36
수정 아이콘
어떤 말씀인지는 알겠지만.. 생각보다 유럽 2팀은 무시하면 안된다고 생각해요..
프나틱은 봇듀오 만큼은 정상급임에 분명하고 페케와 소아즈의 변수와 경험은 큰대회에서 큰 무기가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이팀은 중요할때 만큼은 어찌어찌 꾸역꾸역 해주거든요.. 그게 무섭죠
얼라도 프로겐 원맨팀이지만 나름 메타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뭔가를 하려고 한다는거에 힘을 실어주고 싶네요..
물론 우리나라팀이 진다는건 아니지만 경계는 해야 하지 않을까 해요
걸스데이 덕후
14/08/16 13:46
수정 아이콘
경계는 당연히 해야죠 어른이 중학생이랑 싸워도 긴장은 하고 싸워야죠
긴장 안하다 쥐어터진게 작년 삼성 화이트니

유럽 정상급 팀이 한국 6-7위 팀이라는 건 이미 여러번 증명한 거지만
1위팀이 6-7위팀한테 질 수도 있으니까요
레알마드리드
14/08/16 13:42
수정 아이콘
유럽경기 재미는있더군요

삼화랑 skk 순위결정전은 좀 빨리하지 아쉽네요 27일부터 쭉해버리니..
14/08/16 13:43
수정 아이콘
덕분에 한국도 1직행, 2선발전 느낌에 가깝게 변한..
호호아저씨
14/08/16 14:06
수정 아이콘
지금 GPL결승전 TPA vs AHQ가 시작했어요 크크
콩먹는군락
14/08/16 14:06
수정 아이콘
http://lol.gamepedia.com/2014_GPL_Summer

TPA 직행 확정으로 보입니다
호호아저씨
14/08/16 14:19
수정 아이콘
GPL썸머우승팀이 롤드컵에진출합니다

서킷포인트에 상관없이말이죠. 썸머에 파격보상을 건거죠. 최근 최강자가 롤드컵에 나가는게좋다는 그런 의미인듯싶네요

그게 서킷포인트1위인 TPA라도 지면은 선발전을 해야되구요
14/08/16 14:24
수정 아이콘
써킷포인트 순으로 '한국과 같은 방식의.. 최하위부터 뚫고 올라오는 선발전!' 을 하는건 동일한데.
직행권은 섬머 우승팀한테 줍니다.
콩먹는군락
14/08/16 19:09
수정 아이콘
결론적으로 맞춘건 함정?!
홍수현.
14/08/16 14:15
수정 아이콘
얼라이언스는 좀 기대하게 되더군요. 윅드가 구멍이 커보이긴한데 프로겐이 어느정도 해줄지가 관건인 듯 합니다. 그리고 한국팀과 싸울 땐 정글이 정말 중요한데 아직 정글의 기량은 좀 더 봐야겠더군요. 프나틱은 워낙 들쑥날쑥한 팀인 건 알고 있는데 이정도 일줄이야.. 레클스 고통받는 소리가 여기까지 들리네요. 레클스가 유럽 최고 원딜은 맞는 것 같은데, 애초에 상대하는 경기들을 보니 원딜을 잘 무는 법(?)을 모르는 거 같기도 하고.. 한국에선 확정된 게 삼블 뿐이지만, 삼블 기준으로 봐선 그냥 휩쓸려나갈 거 같아요 -_-;
김치맨
14/08/16 14:21
수정 아이콘
인벤에도 마땅한 정보를 못찾았었는데 심플한 정리 감사합니다.
14/08/16 14:23
수정 아이콘
솔직히 유럽 팀들은 어제 보는데 기대가 전혀 안되더군요.
그나마 전통적으로 강한 미드도 프로겐을 제외하면 한국대표급 팀 미드들을 감당하긴 힘들어 보이고.
팀별로 다 눈에 뻔히 보이는 구멍이 있고 운영도 칼같지 않은데 이런거 후벼파는건 한국팀들이 진짜 귀신같아서...
14/08/16 15:05
수정 아이콘
사실 유럽은 프로겐 - 엑스페케 - 알렉스이치.. 이 셋이서 몇년째 꾸준한 폼을 내고 있는거 빼면. 심각한 수준이라고 봅니다 -.-;

발전을 너무 못하고 있어요..

롤이 미드가 가자아아아아아앙 중요한 게임이다보니 특급 미드들을 보유하고 있어서 그나마 굴러가는 대륙이 아닌가 싶습니다..
특히 유럽 최고의 문제는 정글러들 상태가 아닐까 싶은......

레클스같은 원딜 신성들은 그나마 있는데.
Gorekawa
14/08/16 18:08
수정 아이콘
알렉스 이치 하부리그에서 하는 거 봤는 데....좀 심각하다 싶을 만큼 못하더라는...1-7-3 이랑 2-8-5였나...SKP 미드한테 그냥 떡관광 ㅜ 엑페도 툭하면 라인전 지고....

유일하게 잘하고 있는 선수가 돌아온 프로겐...
저지방.우유
14/08/16 16:42
수정 아이콘
다른 것보다 탑-정글에서 그냥 뻥뻥 터질 것 같은 느낌이었어요
게다가 중반 로테이션도 좋지 못하더라구요
구멍이 생기는 느낌이었는데, 상대하는 팀도 같이 그걸 후벼파지 못하니...
루키즈
14/08/16 14:39
수정 아이콘
lpl omg:yg하는데 yg가 베이가를 이용해 한타에서 트페를 완전히 바보만들고 있네요
14/08/16 14:49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로 LPL선발 방식이 굉장히 복잡한데..
중국은 IG도 일단 후보로는 넣어야 합니다.
중국 직행팀은 다들 아시다시피 스프링 우승팀 vs 섬머 우승팀 의 승자입니다.
즉, CN 직행팀은 EDG or OMG가 아니라 EDG or 섬머 플레이오프 우승팀이 됩니다.

그다음 직행결정전의 패자는 나머지 상위 3팀과 대표 선발전을 치르게 되는데
여기서 말하는 상위 3팀은 [스프링 최종성적 + 섬머 최종성적] 합산입니다.
즉, IG는 스프링 시즌 준우승자이기 때문에 섬머시즌을 5~6위로 마쳐도 선발전을 나갈 확률이 있긴 하다는거죠.
반면 LGD, 로얄은 스프링 시즌 5~6위였기 때문에 섬머시즌에 2위 이상을 해야만 IG의 위에 설 수 있는겁니다.
그 외에 WE는 스프링때 4위를 했고, 섬머 성적은 오늘 경기 결과에 따라 갈리겠구요.
OMG는 스프링을 3위로 마쳤으나 섬머시즌도 4위 이상을 확정지었으니 일단 안정권이죠. 최소한 선발전은 무조건 나가게 될 겁니다.
14/08/16 14:58
수정 아이콘
그 섬머 우승팀의 개념이..

작년에도 그랬지만, LPL이 지금 일정이 꼬여서 -.-;

스프링 우승팀은 '플레이오프 우승팀' 으로 뽑는데
섬머 우승팀은, 선발전 기준으론 '정규시즌 우승팀' 으로 뽑습니다....
(작년에도 동일했어요. 그래서 작년 LPL 섬머 플레이오프는 11월에 했습니다.. 롤드컵 끝나고)

즉 스프링 - 플레이오프까지 다 끝낸 성적으로 순위
섬머 - 걍 정규시즌 성적으로 순위...... 로 계산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롤드컵 전에 플레이오프를 못하거든요..

제가 잘못알고 있는게 아니라면. 플레이오프가 롤드컵 이후로 잡혀있다고 들어서.. 혹시 그 전에 한다면 피베님 말이 맞겠지만요..
14/08/16 15:00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이번엔 그걸 보완한 일정입니다.
이번에는 섬머 플레이오프를 8/23~8/24까지 진행해서 마무리하고
선발전을 9/7부터 펼치는 일정입니다.

아 그리고 IG는 이미 최소한 선발전 시드 확정이라고 하네요.
14/08/16 15:01
수정 아이콘
오.. 그렇군요.. 그럼 플레이오프 포함되니 말씀하신대로 팀 순서가 변하겠네요..
롤드컵을 위해 섬머 플레이오프 규모를 작게 가는걸로 갔나보네요.

답변 감사합니다(__)

선발전 일정은 안그래도.. 다른 나라는 다 8월에 끝나는데,
중국만 9월에 해서 분산개최와 더불어 라이엇 조 추첨이 꼬이는데 큰 공헌을 한걸로..

(본문 수정 완료했습니다)
14/08/16 15:05
수정 아이콘
그러게 중국은 일정이 왜 그렇게 늦게 잡혔나 아쉽네요.
23, 24일에 섬머 플레이오프가 마무리 되기 때문에
선발전을 8월 말에 바로 진행 할 수도 있었을텐데 말이죠.
꿀잼 조추첨을 공개로 못 보게 되어 정말 아쉽네요 ㅜ크
14/08/16 15:07
수정 아이콘
아이러니하게도.. '현재 전세계 넘버 원'으로 불리는.. 삼성 블루가
롤드컵 확정을 가장 먼저(무려 50일도 전에) 지어버리는 바람에 어드벤티지까지 다 가지고 있는 상태가 됫다는게..

중국에서도 선발전 늦게하는거에 대한 불만이 정말 많은걸로 알고 있고요...

사실 선발이 빨리 되면 될수록. 해외팀들 더 분석하고 준비할 시간이 길어지니 유리해지는게 사실인데..
14/08/16 15:29
수정 아이콘
중국은 근데 정말 누가 뽑힐라나요.
EDG는 백퍼 갈 거 같은데,
나머지 두 팀은 예상하기 쉽지 않습니다.
OMG는 지금 경기력이 매우 떨어진데다(오늘 리그 꼴지인 YG에 2대0으로 졌을 정도로..)
유독 토너먼트에 약해서 장담을 못하겠고,
IG는 페넌트레이스에선 엄청 약한데 토너먼트에 나름 강점을 보이는 팀이고
WE도 요근래 약간 기세가 떨어졌지만 다전제에선 쉽게 안 무너지는 팀..
로얄은 WE나 LGD의 결과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 상황이라 이번 플레이오프 첫 경기가 매우 중요한데 EDG와 붙게 생겼으니..
대청마루
14/08/16 14:59
수정 아이콘
프로겐은 다시 한국에서 좀 봤으면 흐흐 8강 진출했으면 좋겠는데 일단 1위하고 조를 잘 만나야... 적어도 어제처럼 혼자 미드캐리 할 수 있는 팀과 만나면 8강 진출할 가능성이 있어보이긴 해요. 근데 얼라이언스는 챈트가 좀 애매한게 단점(?!) 프나틱은 연호할때 입에 착착 감기고 좋은데. CLG나 TSM도 그렇고. 역시 세글자가 짱이시다!

8강에 한국 3팀 CLG C9 얼라이언스 프나틱 이렇게 왔으면 좋겠지만 택도 없는 소리겠죠-_-;(북미팀은 우선 롤드컵진출 티켓을 따야하지만.. 흐흐)
분산개최 안했으면 이 선수들 다 한국에서 볼 수 있었을텐데 라이엇 이 벼락맞고 천벌받아도 시원찮을 놈들같으니!!!
14/08/16 15:04
수정 아이콘
사실 이변이 없다면. 한국팀들 제외하곤 일단 조추첨 잘 뽑는게 첫째죠 -.-;;


누가봐도 현 전력은 한국>>>>>> 중국 >>>> 유럽&북미 >>>>>>> 동남아 >>>>>>> 와일드카드 정도인지라.

유럽&북미는 같은조에 다른 3팀을 누구 만나느냐가 정말정말중요한..
마이스타일
14/08/16 15:29
수정 아이콘
어제 새벽까지 경기를 지켜보니 롤드컵 우승은 식은죽먹기에
123등이 전부 한국팀이 될 것이냐 정도만 문제일 것 같더군요
(중국팀은 경기를 안봐서 잘 모르겠습니다만..)
개개인 피지컬은 그렇다 치고 전체적인 경기 운영능력 차이가(국내 탑6 정도에 비해서) 정말 너무 벌어진 느낌이에요
홍수현.
14/08/16 17:34
수정 아이콘
유럽 친구들은 바론을 너무 좋아합니다.
바론 대치에서 게임이 비벼지는 경우가..
그리고 탑이 왜 텔포를 드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텔포를 들었는데 굳이 걸어 내려오는.. -_-;;
그나마 어제 얼라와 SK 경기에선 텔포 쓸 줄 알던데..
콩먹는군락
14/08/16 19:52
수정 아이콘
바론 싫어하는팀인 얼라가 1위 크크
루키즈
14/08/16 16:13
수정 아이콘
1. 한국이 있는가-> no -> 예스해피
2. 중국도 있는가-> no -> 2등을 노린다
3. 중국팀이랑 해볼만한가 -> no -> 동남아 관광을 즐긴다
저지방.우유
14/08/16 16:46
수정 아이콘
중국도 봐야겠지만, 여기도 그간 봐왔던 걸로는 운영이 딱히 좋지는 못한 것 같아서...

사실 라인전이야 한국팀들이 어느팀하고 붙어도 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운영은 넘사벽인 것 같습니다
그 비실비실대던 KTB도 결국 탑과 운영의 차이로 씹어먹고 온 거니 말이죠

그러나 작년 삼성 화이트를 생각하며......
마음은 못 놓겠네요 크
한국 팀들이 전부 조1위해서 8강에서 안 만났으면 좋겠습니다
랜슬롯
14/08/16 17:48
수정 아이콘
이번엔 유달리 참가팀이 늘었다는 느낌이더군요 뭐라고해야하지? 한국도 2장 (올스타 우승 +1) 이였는데 이번엔 기본 3장. 동남아시아도 한장이였던걸로 기억하는데 두장. (아 아니였나?) 중국도 두팀이였던걸로 기억하고. 아무튼 롤은 해보지않으면 모른다고생각하기때문에 모른다고봅니다. 작년에만 해도 전 SKT T1 K와 삼성 오존의 결승전을 예상했었거든요..
콩먹는군락
14/08/16 19:52
수정 아이콘
대만과 통합해서 2장이 된거죠,1+1
루키즈
14/08/16 21:23
수정 아이콘
갈수록 참가팀을 늘리고 있죠.
레이몬드
14/08/17 01:12
수정 아이콘
EU 3번쨰 팀은 SK Gaming으로 확정되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171 [LOL] 3회 연속 롤드컵 진출한 와치와 나진 실드 이야기 [12] 화잇밀크러버10443 14/09/20 10443 11
55027 [LOL] 롤드컵 13팀 진출 확정. 꿈을 이룬 로코&러보 [15] Leeka6969 14/08/31 6969 2
54916 [LOL] 현재까지의 롤드컵 대륙별 진행 상황 [35] Leeka7619 14/08/16 7619 0
54830 [LOL] NLB 5회연속 결승진출!!!!!!! 나진소드! [34] Leeka8124 14/08/04 8124 0
54324 [LOL] 이래 저래 지금까지의 블레이즈 이야기. [105] 네오10993 14/05/30 10993 3
54181 [LOL] 아쉬운 나이스게임티비의 NLB 결승 예매 [74] 10866 14/05/11 10866 0
53864 [LOL] CJ의 3:0완승. 마스터즈 늦은 후기 [46] Leeka9734 14/04/07 9734 0
53712 [LOL] 롤챔스 6시즌간의 히스토리 총 정리 [20] Leeka8486 14/03/22 8486 1
53583 [LOL] 여우무리와 신포도 [13] Kanimato8795 14/03/06 8795 6
53285 [LOL] 프로 롤 매니저 카드명단 엑셀파일입니다. v1.04 [9] RookieKid7695 14/01/21 7695 3
53012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10일차 프리뷰 [71] 노틸러스6352 13/12/13 6352 0
52962 [LOL] 기대를 만족시킨 재미. 롤챔스 A~B조 후기. [23] Leeka7666 13/12/07 7666 3
52952 [LOL] 롤챔스 윈터. A~B조의 운명을 가를. 토요일 매치업. [26] Leeka6794 13/12/06 6794 3
52770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2일차 프리뷰 [61] 노틸러스7329 13/11/16 7329 2
51686 [LOL] 롤드컵 모든 팀 본선직행 경우의 수 (21:43 수정) [58] Leeka8423 13/07/16 8423 0
51592 [LOL] LCB 7월 장원전 팀 구성이 완료되고 있습니다. [7] 노틸러스6138 13/07/05 6138 0
51450 [LOL] 스프링시즌 종료, 현재 기준 롤드컵 서킷 포인트 순위 [38] G.G10382 13/06/15 10382 3
51360 [LOL] 서버가 터졌나요? 우리에겐 대만 서버가 있습니다. [14] 민머리요정18045 13/06/08 18045 1
50294 [LOL] 인상깊은 난전 운영(NLB 스포주의) [14] 모리아스8048 13/01/23 8048 0
50121 한국롤의 진정한 끝판왕. 아주부 프로스트 [63] Leeka11127 13/01/11 1112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