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1/15 13:37:46
Name Leeka
Subject [LOL] 라인 스왑 하지 마! 리그오브레전드 4.1 패치 공개
패치노트 원문

http://euw.leagueoflegends.com/en/news/game-updates/patch/patch-41-notes

드디어 4.1 패치노트가 공개되었습니다.


이번 4.1 패치는

- 정령의 형상 및. 정글 아이템과 그 외 아이템 벨런스 변경

- 리븐, 쉬바나를 비롯한 챔프 벨런스 수정

- 몇일 뒤. 정식으로 시즌 4 시작.

과 같은 굵직 굵직한 내용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다음 내용이 가장 핫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With these changes, we want to tackle the 2v1 lane swaps that many competitive teams have adopted in order to shut down enemy laners while also taking quick objectives. Initiating a 2v1 lane swap to shut down an opponent should have inherent risks, like leaving your bottom tower vulnerable to early pushes.

Turrets
Outer turrets no longer gain bonus armor and magic resist for the first eight minutes of the game.
Top and middle lane outer turrets now have 20 damage reduction from champion basic attacks


요약하면. 8분 이전에 1차 타워에 추가되던 방어/마법 방어력 증가 효과가 삭제됩니다.
대신 탑과 미드 1차 타워는 '챔피언 기본 공격력을 20 감소시켜서 적용받는' 패시브 효과가 추가됩니다.

이 효과는 탑/미드 1차에만 추가되며, 바텀 타워에는 추가되지 않습니다.


즉. 라인 스왑을 하게 되면. '타워 철거 속도 자체에서 유불리가 자동으로 생기도록' 설정해서
대회에서 2:1 스왑 위주로 게임을 못하도록 제한하는 패치라고 볼 수 있겠네요.
(5대만 타워 때려도 타워 체력이 100이나 차이납니다. 공격당 20 감소거든요.)



스왑하지 않는 일반적인 유저들 대상으로는 큰 차이가 없겠지만.
대회 벨런스를 비롯한 곳에선 큰 영향이 있을거 같습니다.

해외 의견은 전체적으로

'이렇게까지 라인스왑을 못하도록 인위적으로 벨런스를 잡아야 하느냐' 와
'라인스왑을 대회에서 계속 보는게 재미가 없었던 만큼. 이런 작업은 당연한게 아니냐' 하는 의견들이 혼용되어 있네요.

전 라인스왑은 싫은데. 인위적인것도 좀 그래서.. 그냥 반반이긴 합니다.
방법 자체는 억지스럽지만. 그거만큼이나 시청자의 재미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롤 시청자의 대부분이. 5:5 한타만큼이나.
페이커와 류의 1:1 대결.  피글렛과 우지의 대결.  샤이와 플레임의 대결 등.  라인전 구도 자체도 상당히 좋아한다는 점이 있다는 점)
(NBA만 해도 골덴딩 룰의 유일한 예외가 엘리웁이죠.. 시청자들이 좋아하니까..  )


해당 패치가 대회 서버에 적용되는 시점부터는. 롤챔스도 예전처럼 스왑없는 롤챔스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에 따라서 챔피언과 조합도 많이 변경될거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작은 아무무
14/01/15 13:40
수정 아이콘
이건 진짜 듣도보도 못한 발상이네요
라인스왑도 하나의 전략인만큼 인정해줘야 되는 건데
EU스타일 없애자던 라이엇이 이럴줄이야.....
14/01/15 13:44
수정 아이콘
라인스왑도 EU스타일하고는 똑같죠..

EU스타일의 핵심은 1/1/2로 보내고 정글 1명
2명인 쪽에 서포터를 1명 붙인다.

2가지 요소가 핵심인데. 스왑은 그 핵심 요소가 변하지 않고.. 상대하는 쪽은 라인도 동일하게 가니까요.
데이비드킴
14/01/15 13:4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환영합니다. 게임 양상이 고착화 돼서 지루해지면 일단 변화를 주고 추이를 지켜보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Homepage
14/01/15 13:41
수정 아이콘
신지드가 뜰것으로 예상됩니다.
14/01/15 13:41
수정 아이콘
탑캐리력이 올라갈까요?
14/01/15 13:43
수정 아이콘
올라는 갈껍니다. 얼마나 올라갈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지금은 스왑덕에 초반에 아에 못먹고 시작하니까요)
에스터
14/01/15 13:49
수정 아이콘
저는 대회기준이 아닐떄는 별 차이 없을것 같은데요..
현재 라인스왑 거의 안하는 랭크게임에서도 탑티어 기준으로도 탑 캐리력은 높지 않다고 보고 있지 않나요?
대회기준에서는 어떻게 될 지 모르겠습니다만..
14/01/15 13:49
수정 아이콘
어차피 저 패치는 대회 기준으로 건드린 패치니까요..
단신듀오
14/01/15 14:20
수정 아이콘
캐릭터 밸런스는 전체티어......... 이번 패치는 대회기준....
도대체 기준이 어디인가요 라이엇...크크
14/01/15 13:41
수정 아이콘
이 쯤 되면, 그냥 EU 스타일 인정한다고 정식으로 선언하고 패치하면 인위적이라는 소리도 안 들을 것 같은데요.
TheFoxFlash
14/01/15 13:44
수정 아이콘
Impact 간접 너프인가요... 놀라운 패치네요
Island sun
14/01/15 13:44
수정 아이콘
이렇게 패치되고 탑고기메타가 사라진다면 탑캐리력이 확 올라갈거 같은데요??
안알랴줌
14/01/15 13:46
수정 아이콘
시즌2 때 처럼 파밍챔프와 초식정글챔프가 다시 수면위로 올라왔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처형인의 대검 아이템 손질좀 해줬으면;;

예~전에 본거 같았는데.. 치명타 아이템, 마방붙은 공템(멜모셔스아귀같은..) 원딜이 갈 만한 템이 더 나온다고 하지 않았나요??
시즌4인데 추가된거라곤 장신구랑 돈템 뿐;;
White Knight
14/01/15 13:46
수정 아이콘
망할 라인스왑 없어지게 만드려는 거 너무 좋네요. 진짜 라인스왑 경기는 하나같이 초반이 너무 재미가 없어요. 라인스왑 경기는 20분동안 안 봐요. 프로들은 이기는 게 목적이니 라인스왑하는거 이해는 하는데 한두번 봐야 신기하지 이건 뭐 이제 정석이 라인스왑이 된건가 싶을 정도니.
Piltover
14/01/15 13:46
수정 아이콘
도란방패가 그대로라면 그래도 탱탱챔프가 좋아보이는데
반반쓰
14/01/15 13:46
수정 아이콘
저도 라인 스왑 정말 보기싫었지만 패치는 너무 인위적이라 좀 거부감이 드네요
그동안 해왔던 스왑 방지 패치가 다 실패하긴 했지만 더 좋은 방법은 없었을지..
야옹냐옹
14/01/15 13:47
수정 아이콘
좋은 실험이네요. 해보고 안되면 패치하면됩니다. 라인스왑으로 인해 게임 15분은 그냥 버린다고 생각할정도였죠.
SwordMan.KT_T
14/01/15 13:48
수정 아이콘
초반 타워다이브 때문에 초반타워 방어력 상승 패치 했던 거 생각하면 4.1 라인스왑 방지는 의의가 크네요... 그 이후로 저렙 3~4인 다이브
눈에 띠게 줄었는데. 라인스왑 어느 정도 지양하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14/01/15 13:49
수정 아이콘
패치 환영합니다.
라인 스왑하면 미드 대결, 정글러 갱킹밖에 볼 게 없었는데 더 재미있어질 거 같아요.
작은 아무무
14/01/15 13:50
수정 아이콘
여러분 스프링이 다가왔고
이 말인즉슨 케넨이 돌아온다는 얘기입니다

라인스왑X-1:1라인전 최강 케넨
정령의 형상 너프

스프링=케넨
14/01/15 13:52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
플레임이 이 패치를 좋아합니다.
14/01/15 14:03
수정 아이콘
도란 방패 너프 안하면 케넨이 나올 수 있을까요???

어쨋든.. 플레임선수는 좋아하겠군요 크크
14/01/15 14:45
수정 아이콘
당시 소드 팬이던 저는 플레임 케넨에게 잡아먹힌 막눈을 보며 눈물만...
치탄다 에루
14/01/15 15:13
수정 아이콘
케넨 1년주기설 ㅠㅠㅠㅠ
샨티엔아메이
14/01/16 07:45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진짜 케넨은 1년 요맘때마다 확 뜨고 훅 사라지는군요.
Ovv_Run!
14/01/15 13:50
수정 아이콘
다른거야 그러려니 하는데
왜 정글템의 체젠은 삭제하고
비사지의 체젠은 유지하는지 모르겠네요.
그 반대가 정상으로 생각되는데요.
슈퍼프라임피자
14/01/15 14:04
수정 아이콘
파밍형 정글러에게 조금 더 유리함을 주는 것이죠. 정글 캠프 하나 정리하고, 체젠 마젠 받으면서 돌아다니는 갱킹형보다, 이 패치 이후로는 정글 캠프 여럿 정리하면서 체력/마나 흡수효과를 꾸준히 받게하는 파밍형에게 조금 유리함을 주지 않을까 싶네요.
14/01/15 13:50
수정 아이콘
도란방패까지 고쳐주면 딱인데..
저도 라인스왑 메리트를 이런식으로 줄이는거 환영합니다.. 조금 파격적인 패치긴 하지만 탑이 더이상 고통받고 지루한 케릭위주로 돌아가는건 보기가 싫어요
소녀시대김태연
14/01/15 13:51
수정 아이콘
어휴 라인스왑 재미없었는데.개인적으론 좋네요.
LikeDaniel
14/01/15 13:51
수정 아이콘
타워를 깨는데 챔프가 50대를 친다고 치면 라인스왑을 해서 타워를 칠 경우 봇에 있는 타워와 체력이 1000이 차이가 난다는 얘기네요.
이정도 패치면 라인스왑을 막는것을 넘어서 봇라인에 두명이 무조건 가야되는 것에 대한 강제가 아닌가 싶네요.
SuiteMan
14/01/15 13:51
수정 아이콘
조금 억지스러운면이 있어서 맘에 들진 않지만, 스포츠에서 재미가 없다면..그것 또한 망하는 요인이니..괜찮다고 봅니다. 기대도 되구요.
14/01/15 13:53
수정 아이콘
그런데 라인 스왑을 하는 이유가 정확히 뭔가요? 어떤 장점이 있어서 계속 하는거죠? 미드 카사딘 말리기 이런거는 이해가 되는데 일반적인 탑 봇 스왑은 왜나오는건가요? 탑에 스왑으로 말려죽일 수 있는 챔프가 오는 것도 아닌데 말이죠
Ovv_Run!
14/01/15 13:56
수정 아이콘
탑 바텀의 라인전 상성을 무시하고 픽을 할수 있기때문이죠.
JISOOBOY
14/01/15 13:57
수정 아이콘
빠른 타워철거를 통한 글골 이득욤
스치파이
14/01/15 14:01
수정 아이콘
상대 탑은 커야 하고 우리 탑은 못 커도 되는 CC형 챔프일 경우,
상대팀 라인클리어 능력이 떨어질 경우,
실력 또는 챔프 특성 상 탑, 봇 라인전이 현저히 밀린다고 판단될 경우,
상대 봇 챔프가 견제에 좋지 않아 우리가 빨리 밀고 복귀할 수 있을 경우 등등 스왑의 이유는 다양합니다.
단신듀오
14/01/15 13:53
수정 아이콘
비사지가 드디어 쿨감너프를...크크 이제 10%네요
태양불꽃망토도 아주 미약하게 너프 먹은것 같네요...15레벨 이전엔 데미지감소니..(얼마 차이 안나지만)
정은지
14/01/15 13:55
수정 아이콘
웬지 정상라인의 쉔이 다시 오피가 될것같은....

도발너프도 한몫하긴 했겠지만, 텔레포트를 들기엔 라인전에서의 부담감이 너무 심하고 궁이 갖는 위험성이 대단히 커서 안나온다고 봤는데...
마빠이
14/01/15 13:55
수정 아이콘
얼마전 포탑이 가진 기능을 그냥 설명하기 보다는 포탑이 아이템을 가지고 있어서
생긴다는 개념을 패치로 넣었는데 이번 건도 봇 타워는 다른 타워에 없는 아이템을
들고 있다는 식으로 좀더 자연스럽게 하면 될거 같네요.
비익조
14/01/15 13:55
수정 아이콘
나진 칼 버프?
단지날드
14/01/15 14:18
수정 아이콘
맞라인의 소드 시대가 저물었죠 ㅠㅠ 저는 skt 버프라고 생각합니다. 맞라인전 제일 센거같아요 뭐 그팀이 부족한게 뭐가 있겠습니까만-_-;
14/01/15 13:55
수정 아이콘
굉장히 창의적인 발상이네요. 공격력 20 정도면 페널티를 감수하고 라인스왑을 할 수는 있으니 괜찮아 보입니다.
14/01/15 13:56
수정 아이콘
스왑을 좋아하는건 아닌데 저런 식으로 하는건 좀...
하늘의 궤적
14/01/15 13:56
수정 아이콘
나서스가 관으로...
정형돈
14/01/15 13:58
수정 아이콘
극단적인 한명의 희생을 EU메타로 보고있다면 돈템패치로 나름 괜찮아졌으니 보는 게임과 하는 게임의 격차를 줄이겠다는 거 같네요.
용주도권때문에 어떤식으로 하든 봇2명은 가야하기에 이 패치는 전 괜찮다고 봅니다.
레몬커피
14/01/15 13:58
수정 아이콘
라인스왑이란게 게임 내적으로 건드릴 수가 없다고 생각을 했는데 이런 창의적인 방법으로 패치를 하다니 크크
우선은 환영입니다. 윗분 말대로 정 아니다 싶으면 다시 패치하면 되고 많이 흥미롭네요 어떻게 될지
Holy Cow!
14/01/15 14:00
수정 아이콘
나쁘진 않네요. 어찌됐던 게임사에서 인지하고 변화를 계속 주는 시도를 하니깐요~
그리고또한
14/01/15 14:02
수정 아이콘
스왑을 막겠다는 의도는 좋은데 이건 좀...

좋은 게임 디자인의 기준을 최대한 단순한 룰 속에서 파면 팔수록 복잡해지는 게임 양상이라고 생각하는 터라
탑봇 스왑의 문제는 챔피언과 아이템 밸런싱으로 잡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말이죠.
슈퍼프라임피자
14/01/15 14:06
수정 아이콘
라이엇도 고심하고 고심했을겁니다. 탑에 부쉬하나도 넣어보고, 타워 골드 수급 패치도 해보고, 용 경험치 역시 주변 챔프에게만 줘보고 수많은 고심을 했을겁니다. 해당 담당자는 하루종일 매달리지 않았을까요. 개인적으로도 아무리 생각해도 답이 안보여요 딱히.
그리고또한
14/01/15 14:15
수정 아이콘
뭐..그래서 안 나왔다는 게 라이엇 개발진의 역량이 아닐까요.

게임의 기본 룰에서 '어디 타워만 몇 분까지 평타로 깨기 힘들다' 뭐 이런 복잡한 룰이 계속 추가되는게 절대 바람직해 보이진 않거든요.
안 그래도 라이엇 개발진이 과연 게임을 잘 만드냐? 에 대해서 의문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번 패치로 결론이 나는 느낌입니다.
14/01/15 14:19
수정 아이콘
뭐 몇분까지 룰은 이번에 빠지긴 했습니다.

이건 시간제한이 아니라 그냥 탑/미드 외곽타워는 피가 덜단다. 거든요.
14/01/15 14:04
수정 아이콘
타워를 구지 저렇게 할 필요가 있나 싶네요
비익조
14/01/15 14:05
수정 아이콘
여하튼 저는 자유도를 제한하는 패치는 좀 반대라서..
사과씨
14/01/15 14:06
수정 아이콘
역으로 생각하면 바텀 타워가 초반 부터 상대적으로 밀기 쉬워지니 텔포든 탑과 정글이 초반부터 바텀 푸시에 가세하는 그림도 생각해 볼 수 있겠네요. 바텀 밀린다고 역으로 탑을 밀자~ 이런 선택자가 의미가 없으니 초반 부터 바텀이 박터지는 상황도 나올 수 있겠구요.
shadowtaki
14/01/15 14:07
수정 아이콘
봇 2:2 라인전이 엄청 중요해지겠네요..
HOOK간다
14/01/15 14:11
수정 아이콘
샤이 플레임이 좋아합니다. 크크크

탑 캐리력으로는 샤이 플레임이 최고라고 봐서.
단지날드
14/01/15 14:13
수정 아이콘
샤이는 빨리 정글도 바뀌어야죠... 플레임 캐리력최고일때도 댄디vs헬리오스 차이로 갈렸던 스프링 결승 생각하면;;
HOOK간다
14/01/15 14:14
수정 아이콘
글쵸 프로스트는 미드 정글 다 바껴야해요.
단신듀오
14/01/15 14:23
수정 아이콘
잘한다는 이야기는 무성한데 한번도 경기에 나오지 못한 배미...크흡...
안알랴줌
14/01/15 15:22
수정 아이콘
못해요;; wcg 예선 때 빠른별한테 털림 -_-;;
안나오는 이유가 있습니다;
단신듀오
14/01/15 15:36
수정 아이콘
아 그런가요? 솔랭 페이지 첫페이지에 랭크되어 있다고 해서 기대 했는데...크흡....
안알랴줌
14/01/15 16:51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지면 잭선장도 랭크 첫페이지.. ㅠㅠ
단신듀오
14/01/15 16:54
수정 아이콘
으아닛..짹선장이 랭크 첫페이지...?! 피지컬은 아직 좋은가보네요...?!
단지날드
14/01/15 14:11
수정 아이콘
이거 스왑도 스왑인데 탑이나 미드에서 로밍자주다니는 챔프들의 약간이긴하지만 간접버프 패치기도 한거같네요

근데 이거 한라인의 타워를 약하게 만드는거 보다 전 라인 1차타워에 원거리 챔프가 주는 공격력을 감소시키는 오라같은걸 주는게 더 낫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프로그램상 구현이 안되려나... 너무 어거지 느낌이 강합니다.
그리고또한
14/01/15 14:20
수정 아이콘
루난 같은 아이템도 있고, 야스오의 바람 장막도 있으니 원거리 투사체 오브젝트에 대한 효과를 보도록 구현할 수는 있을 겁니다.
다만 노골적으로 탑미드와 봇 타워에 차이를 두는 게...
단지날드
14/01/15 15:30
수정 아이콘
저도 그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1,2차 타워에 차이주는건 당연하다고 보는데 전라인 타워는 똑같이 만들어야하는데 말이죠;;
SuiteMan
14/01/15 14:12
수정 아이콘
롤이란 게임을 보면 유저의 선택지를 늘려주겠다는 개발자의 의도가 발현되기는 요원한 바람이 아닐까 싶습니다. 프로라는 단어는 그 세계에서는 신성시 해야할정도의 노력의 결과인데 어떻게든 최적의 선택을 찾아내니까요. 그렇게 하지 않고서는 도태될수 밖에 없구요.
스바루
14/01/15 14:12
수정 아이콘
애니 너프내요...
미드 애니는 관속인가요...
14/01/15 16:32
수정 아이콘
서폿은 너프고

미드애니는 약간의 버프죠
be manner player
14/01/15 14:15
수정 아이콘
어거지 패치이긴 한데 이번에는 라인스왑이 사장되겠죠?
내려올
14/01/15 14:16
수정 아이콘
이러면 바텀 스노우볼은 더 세게 굴러가겠네요
라인전 한번 밀리기 시작하면 답이 없을 것 같은데...
뽀로리
14/01/15 14:16
수정 아이콘
여전히 도란방패 - 망령의 두건은 살아있어서 탑에서 케넨 라이즈가 캐리하던 시간으로 돌아가기는 힘들거같네요.
마음속의빛
14/01/15 14:17
수정 아이콘
괜찮네요. 새로운 전략이 생길 거 같기도 하고... 봇 1차 타워는 상대적으로 다른 타워에 비해 맺집이 약해지게 되네요.
지니쏠
14/01/15 14:20
수정 아이콘
이거 케이틀린같은거 고르고 맞다이강한 정글러 골라서 초반에 봇타워 밀어버리고 드래곤 같은 식으로 스노우볼 굴러가버라지 않을까요?
쿤데라
14/01/15 14:22
수정 아이콘
진짜 어거지 패치네요. 픽밴과정에서 어쩔수 발생하는 라인간 상성을 파훼하고자 나온 라인스왑을 이렇게 인의적으로 고칠필요가 있을지 의문스럽습니다.
픽밴에서 발생하는 불공평함은 어떻게 보상할런지... 캐릭상성을 라인스왑으로 극복하는 또 그걸 예측해서 역스왑하는 것도 또하나의 재미인데. 정말 억지스럽네요. 이런다고 더 다이나믹한 경기가 나올까 의문스럽습니다.
14/01/15 14:22
수정 아이콘
이거 너무 억지스러운 규칙 아닌가요?
게임 규칙이 너무 조잡해지는 것 같네요.
어찌되든 라인스왑만 막으면 된다는 건지...
vlncentz
14/01/15 14:25
수정 아이콘
대놓고 꼼수가 보이긴 하지만 환영합니다.
14/01/15 14:25
수정 아이콘
전 괜찮네요. 솔직히 라인스왑하면 초반 너무 재미없어요. 내가 이걸 왜 보고 있나 싶음
14/01/15 14:27
수정 아이콘
라인스왑도 한 두번이래야지 계속보니 재미없습니다.
아스미타
14/01/15 14:33
수정 아이콘
전 환영합니다
Quelzaram
14/01/15 14:36
수정 아이콘
부정적인 면을 생각해보자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떠오릅니다.

1. 레인 스왑도 어쨌든 전략
이라는 측면에서 봤을 때, 라인 스왑을 걸 것인가 말 것인가의 선택지는 존재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지금이야 누구나 다 손해보지 않기 위해 라인 스왑을 하지만, 그 중심점을 못찾고 이런 식의 패치를 하는 것 자체가
이미 라이엇의 밸런스 팀의 수준을 보여주는 격이라고 생각하네요.

2. 스노우볼 효과 가중
탑 레인에서 1:1 일기토를 한다고 치고, 또 그게 이 패치의 의도와 맞으니 그렇게 가정하겠습니다.
솔킬을 따내는 순간 탑 타워가 날아가는 것 이상의 스노우볼이 굴러갈 것입니다. 정글러가 탑을 케어해주지 않을 수 없으니까요.
탑에서 사건이 난다는 것은 곧 바텀에서 우위를 점하기 쉬워지고, 드래곤 싸움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겁니다.
지금보다 더 스노우볼 효과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3. 탱커 메타의 근본적인 해결은?
타워가 일찍 밀려도 레인 프리징 후 성장하는 선택지가 남아있습니다. 근본적으로 탱커가 안나오겠는가...?
다소 회의적입니다. 레인 스왑을 하기 때문에 탱커를 고르는게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두 팀이 다 맞 레인 스왑을 해버리면 그만이니까요.
탱커형 챔피언이 좋기 때문에 고르는거죠.

결론적으로, 게임이 어디로 흘러갈지 모르겠지만 롤은 게이머들의 최적화 발견 속도와 그 내용물을
라이엇이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 역력합니다. 이런 식의 패치는 카드 빚 돌려막기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물론 카드 빚과 달리 본인들이 이 판의 오너긴 하지만요.
에스터
14/01/15 14:38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미드타워에도 적용되면
지금도 날뛰고있는 카사딘에 피즈같은 근접형 AP캐리들이 다시 날뛰게 될 것 같기도 합니다.
거기에 유령게의 합류를 감안하면 밸런스잡기 더더욱 힘들어질 것 같은데.... 지켜봐야겠네요
14/01/15 14:42
수정 아이콘
라인스왑막는다는 취지에는 동의하나 방법이 좀...
14/01/15 14:42
수정 아이콘
챔피언 패치는 맘에 들기도 하고 의아하기도 하고.
애니비아는 확실히 좋아지긴 했는데 메타를 바꿀만한 수준은 아니라 그냥 쓰기 편해진 정도.
애니는 개인적으론 나쁘지 않은거 같은데요. 티버 무한난사...
이블린은 잘 모르겠지만 약해진다니 좋네요 크크!
잔나 버프지만 궁버프 하나로는...
징크스는 미약한 너프? 그러고보니 얘 요즘 안 보이네요.
나서스는 가만히 있었는데 너프...안습.
관짝파괴자 렝가는 이번에도 너프를 먹었네요. 그래도 또 무슨 괴랄한 버그가 나올꺼 같음.
리븐 너프 짝짝! 너무 쎘어요...
쉬바나도 너프. 근데 여전히 쎌꺼 같아요. 푸쉬력 약간 줄이면 뭐해 죽질 않는데...
쓰레쉬는 랜턴 유틸리티는 강화하고 궁 미약한 너프네요. 랜턴을 더 좋게 해놔서 버프로 생각됩니다.
야스오는 무슨 패치인지 잘 모르겠고.
나머지 챔프는 다 사소한 것들이네요. 말자하는 궁이 좀 더 괜찮아진거 같고 올라프는 미약한 너프.
애니, 이블린, 렝가, 리븐, 쉬바나 등의 현재 1티어들의 너프가 중점사항이네요. 역시 너프오브레전드.
Holy Cow!
14/01/15 15:17
수정 아이콘
징크스는 북미/유럽에서 엄청난 픽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레오나,쓰레쉬,애니,알리같은 CC있는 서포터랑 연계하면 라인전 자체도 강력하고
징크스 궁극기 활용하는 방법도 다양하더라구요~
14/01/15 14:44
수정 아이콘
올미드 막히는게 짜증나네요
슈퍼프라임피자
14/01/15 14:48
수정 아이콘
저는 리그오브레전드의 가장 큰 재미라고 하자면 두말 않고 '라인전' 이라고 할겁니다. 각 라인의 차이 따위는 무시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각 라인별로 재미난 라인전이 나올 수 있다면, 무슨 상관인지 싶네요. 각 라인별로 특색이 있어, 그 특색을 이용한 진검승부만 나올 수 있다면 환영합니다. 라인스왑 전략 맞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토대인 라인전을 방해하는 데에 있어 패널티는 지금보다 더 커야한다고 봅니다.

롤의 라인스왑을 막은 패치와, 스2 초기 8병영사신링 못하게 막은거랑 뭐가 다른지 전 잘 모르겠네요.
(스2 역시 지금도 가능합니다만, 패널티가 분명하게 존재하죠.)

지금의 라인스왑은 2:2 상성극복, 탑라이너의 2:1능력 같은것에 좌지우지 된다면, 이 패치 이후의 라인스왑은 다른 의미를 가질 겁니다. 탑라이너의 2:1 능력에 기대고 하지는 않을 것이고, 픽밴으로 인해 발생한 2:2 상성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패널티를 가지고 탑으로 올라가겠지요.
Steel x 9
14/01/15 14:54
수정 아이콘
이렇게 되면 라인스왑은 줄어 들거나 거의 없어지겠지만
지금도 나오는 챔프만 나오게 되는데 상성무시가 가능한 몇개의 챔프폭으로 더 줄어들겠네요.
YORDLE ONE
14/01/15 14:58
수정 아이콘
잔나 버프군요 후후 신남
14/01/15 15:01
수정 아이콘
전 괜찮은거 같습니다. 라인스왑도 전략이라곤 하지만 보는 입장에선 너무나 노잼인데다가... 특정 챔피언들을 강요하게 되는 면도 있으니까요.
애초에 꼭 탑 미드 봇 타워가 똑같아야될 이유도 없으니까요. 인위적이라고 할것도 없는거 같아요..
김치남
14/01/15 15:08
수정 아이콘
환영합니다 라인스왑은 프로게이머들이 연구보다는 쉽게 이기기 위해 시청자는 생각안하고 자기들 편한 전략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어떻게든 강제로 막아야됩니다 이방법으로도 라인스왑이 여전히 나온다면 2인이 나눠먹는 경험치를 지금 나눠먹는것보다 더 적게
하도록 패널티를 줘야될정도라고 봅니다
실룩셀룩
14/01/15 15:12
수정 아이콘
문도랑 레넥이 너프의 칼날을 피해갔군요
당분간 대회에선 문도 레넥 트린정도가 대세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흐흐

스왑에 대해서는
저래도 알아서들 스왑할꺼 같은데 모르겠네요
어차피 스왑에서 포탑미는건 정글러가 라이너 몰아내고 셋이서 일방적으로 포탑치면서 제거하는 방법이였고
그렇게 되면 저정도의 탑포탑상향은 한웨이브정도 차이밖에 안날꺼 같은데
그정도면 라인스왑시 이익이 있다면 충분히 감수할 만 하다고 봅니다.

정글아이템의 변화로 우디르 스카너 노틸러스등 마나소모가 극심해서 쓰기어려웠던 정글러들의 활용가능성이 어느정도 보이네요

야스오는 누가봐도 오핀데 너프대신 버프가 한번 더 들어가네요
필밴목록에 올라가지 않을까 싶네요
츄지핱
14/01/15 15:14
수정 아이콘
라인스왑 막는 걸 이런 식으로 한다는 건 좀... 게임 디자이너(기획자) 가 문제는 해결하는 방식으로는 좀 부적절한 게 아닌 가 싶네요.
김연우
14/01/15 15:17
수정 아이콘
그냥 탑 타워 기본 방어력 100, 미드 타워 50, 바텀은 그대로, 이러면 안되나
14/01/15 15:18
수정 아이콘
베인은 이제 안보이겠네요
Teophilos
14/01/15 15:25
수정 아이콘
리븐도 상당한 너프네요. 과연 관뚜껑을 여는 너프가 될 것인가....
베네딕트컴버배치
14/01/15 15:31
수정 아이콘
게임을 막 베베 꼬네요.
올스타즈
14/01/15 15:33
수정 아이콘
라인스왑은 막았다고해도, 탑에서 쉬바나vs문도 매치는 계속 나올것 같은데요.
14/01/15 15:55
수정 아이콘
탑에서의 1:1이 강제 된다면.. 좀더 챔피언을 카운터 치는 픽도 나올수 있을꺼 같습니다...
지금은 머 상대가 a를 뽑았는데 그거 카운터 치려고 b를 뽑아도 라인 스왑하면 그만이라.. 그냥 초반에 잘버티고 후반 운영에 도움이 되는 챔피언만 나오니까요..
물론 쉬바나 문도가 딱히 카운터픽이 있나.. 생각해보면 없기도 하지만... 음 잭스정도는 다시 나오겠네요.. 라인전만 보고 트런들 나오거나 머 이런식도 혹시나 되면 더 재미있을꺼 같긴 합니다.
눈물고기
14/01/15 15:34
수정 아이콘
라인스왑 못하면 라인전 약한 원딜은 완전 사장인데요..
마인에달리는질럿
14/01/15 15:35
수정 아이콘
퍼플진영 수퍼 너프네요.
단신듀오
14/01/15 15:40
수정 아이콘
트런들은 어떤가요 ?
키스도사
14/01/15 15:5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환영하는 패치입니다. 솔직히 라인 스왑 메타는 초반에 재미가 극도로 떨어집니다. 차라리 라인전 구도로 가서 누가더 강한가 대결로 가는걸 개인적으로 더 선호합니다. 그리고 라인전이 정말 안습이면 저런 패치해도 라인스왑 걸꺼같네요.

야구에서도 마운드 높이 조정이나, 공인구 규정, 심판의 스트라이크존 규정, 심지어 볼카운트 변화등으로 게임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100여년간 변해왔고 그게 자리 잡았죠. 그리고 이 규정들도 언제 바뀔지 모릅니다. 한때 MLB에서는 투고타저가 심해지자 볼카운트를 3개에서 4개로 늘릴수도 있다는 방침을 내놓기도 했죠.

100년이 넘는 스포츠도 이런 저런 규정 변화들을 겪으며 바뀌어 왔는데 아직 E스포츠로써 걸음마를 이제 막 시작한 롤은 당연히 시행착오가 많을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저런 밸런스 조정을 위해 이것저것 해본다면 충분히 해답을 찾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마빠이
14/01/15 16:01
수정 아이콘
키스도사님의 글을 보니 이해가 가는거 같습니다.

게임으로 보면 이번 패치가 억지 패치 같은데..
스포츠?로 접근하면 수긍이 가능 패치 같습니다.

결국 라이엇의 방향성이 나타난게 이번 패치인거 같습니다.
그리고또한
14/01/15 16:03
수정 아이콘
그렇긴 한데 결국 하는 게임과 보는 게임간의 괴리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기반이 약해지는 결과가 나오죠.
E스포츠로서의 첫째 조건은 재밌는 게임입니다. 그래서 걱정되는 거죠.
마빠이
14/01/15 16:05
수정 아이콘
그런데 거의 대부분의 일반유저들은 라인스왑 자체를 하지 않아서 그렇게 막 역풍?이 온다거나 하는
문제는 없을걸로 보여요.
그리고또한
14/01/15 16:13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 패치의 의도 자체는 굉장히 좋다고 보고, 또 이게 대회에만 영향을 줄 거라고 생각은 합니다.

다만 문제는 앞으로도 이런 식의 조잡한 패치방식을 선택해버리면 그 뒤가 걷잡을 수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결국 선을 넘어버리면 다음에도 라이엇은 이런 식으로 쉽게쉽게 문제가 되는 메타를 막아버리려 들 테고...그게 쌓이는게 걱정입니다.
마빠이
14/01/15 16:14
수정 아이콘
네 그점에 대해서도 저도 동의합니다.
로마네콩티
14/01/15 16:13
수정 아이콘
사실 라인 스왑은 현실에서는 윗동네야 하겠지만 플레에서도 잘 안해요.
그러면 한 상위 1-2%들이 한다는 건데
이번 패치는 전적으로 보는 게임이 재밌어지기 위한 패치같습니다.
14/01/15 16:06
수정 아이콘
푸하하하하 드디어 블라디가 살아나는건가....
14/01/15 16:08
수정 아이콘
좋은데요
소나기가내려온다
14/01/15 16:12
수정 아이콘
라이엇 디자이너의 무능력함을 만천하에 공개하는거네요.
14/01/15 16:16
수정 아이콘
정말로 라인전이 불리하다면 선택적으로 라인스왑을 걸라는거죠

쫄리는쪽이 탑으로 라인스왑 걸면 되는겁니다.

대신에 그만한 패널티가 있죠

라인스왑안하는쪽은 봇타워에서 이득을보는거죠

괜찮은데요
지나가던한량
14/01/15 16:18
수정 아이콘
특별히 문제될 건 없다고 봅니다. 스타2에서도 토스 4차관을 막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던 과거가 있듯 롤판도 지루한 메타를 쳐버리는 결정이 필요하겠지요. 다만 변경내역이 너무 조잡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인위적이라 욕먹는 것은 최근 고루해진 라이엇의 이미지 탓도 있겠지만 변경 내역의 조잡함 그 자체의 문제도 크겠군요.
14/01/15 16:22
수정 아이콘
흠...? 부정적인 의견이 생각보다 많아서 흥미롭네요.

개인적으로는 창의적으로 라인스왑을 억제하는 효과를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 의견에는 라인스왑이 보는데 있어 굉장히 재미없다는 전제가 깔려 있구요.

라인스왑 하지말라는 것도 아니고 페널티니까 오히려 더욱 전략적으로 사용할 여지도 남아있다고 봅니다. (이런데도 라인스왑이란말야~!?)


반대하시는 분들은 라인스왑을 재밌어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어거지인게 아쉽다고 생각하시는건가요?

다른 대안을 가지고 비판하는 댓글은 못 찾아서 좀 아쉽네요...
14/01/15 16:28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상성 다필요없이 뽑아서 그냥 라인스왑해서 크면되지 무작정 이 생각만 했으니 저는 그게 아니라고봤는데

탑으로 라인스왑하는쪽에게 패널티를 부여한다는게 괜찮다고생각..
그리고또한
14/01/15 16:29
수정 아이콘
라인스왑에 대해 재밌어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겁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롤이 가장 재밌는 모습은 여러 메타가 물고 물리는 것일 테고, 아마 많은 분들도 여기 동의하시리라 보는데...

다만 위에도 썼는이 그걸 막는 방식이 좀...조잡하달까요.
라이엇 스스로의 역량이 안되더라도 챔프와 아이템 밸런싱으로 어떻게 해보기를 기대했는데 말이죠.
14/01/15 17:39
수정 아이콘
하지만 챔프나 아이템으로 밸런싱해도 아쉬운 소리는 똑같을거 같네요 크크
그리고또한
14/01/15 17:45
수정 아이콘
사실 아쉬운 소리 안듣는 게임사가 어딨겠습니까. 그나마도 유저 없으면 못 듣는 건데요.
뭐 듬직한 탱커 하나 들어왔으니 잘 받아주겠죠. 유령게의 커뮤니티 스킬은 최강 아니겠습니까.
아저게안죽네
14/01/15 18:41
수정 아이콘
라인스왑을 챔프로 잡기는 사실 불가능합니다. 챔프 상성이 밀려서 하는 라인스왑이 대부분인데
챔프 상성을 없애지 않고서는 그걸 못 막죠. 근데 챔프 상성이 없어지는 건 말이 안 되니 제 생각으로는 괜찮은 조정으로 보입니다.
14/01/15 16:22
수정 아이콘
블라디 캐넨!!!!!
14/01/15 16:43
수정 아이콘
억지네요. 특히 초보자들에게 당장의 영향은 없겠지만

점점 게임이 억지화 된다는건 참...
14/01/15 16:54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모르겠고 확실한 건 이제 라이엇도 eu를 확고히 인정한단 거군요.
14/01/15 16:57
수정 아이콘
라인스왑 계속 나오는 거 진짜 너무 재미없는데 다행입니다. 라인 스왑 없이 맞라인 서던 예전이 보는 재미는 훨씬 있었어요.
14/01/15 17:37
수정 아이콘
대환영!! 저는 라인스왑 진짜 별로라서 크크
언제나그랬듯이
14/01/15 17:58
수정 아이콘
탑/미드에게만 준다는 건 확실히 좀 억지라는 느낌이 드네요
개인적으론 EU 스타일에 대한 반감은 거의 없는 편이고 오히려 EU스타일은 기본적으로 상당히 많은 챔피언을 포용하는 형태라고 생각하지만(대회 챔피언 출현폭은 EU메타와는 별개로 그냥 챔피언들 자체의 OP성으로 결정나니까요) 그냥 봇 타워까지 일괄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더 낫지 않았을까 싶네요.
kongkaka
14/01/15 18:20
수정 아이콘
일단은 해보고 아니면 다시 바꾸면 되긴하죠.
개인적으로는 조금 아쉽네요.
스타로치면 7분안에 짓는 3번째 커맨드센터는 800원
이런 느낌이네요.
14/01/15 18:34
수정 아이콘
제 기억에 2년전에 라이엇이 신규 유저유입을 원할하게 하는 1등 공신으로 EU스타일을 꼽으면서
EU스타일을 기본적으로 깔고 가겠다고 한걸로 아는데....아직까지 EU스타일 가지고 이야기 나오는게 재밌네요.

저도 이번 패치를 긍정적으로 보는게 라인스왑 하는거 솔직히 재미 없었거든요.
무조건 스왑하고 보니 어느팀이 더 빨리 타워미나 어느팀이 초반 3인다이브로 재미보느냐의 뻔한 레파토리만 나왔으니까요.
사티레브
14/01/15 19:28
수정 아이콘
다이브도 막고 라인스왑도 막을겸 타워 내 사거리 1000정도내에 아군챔피언 대비 적챔피언 비율로 타워의 성능 버프 혹 너프 반영 정도를 할거같앗는데 이건 너무 단순하고 편향적이라 우습네요 결과라도 좋았으면 합니다
베네딕트컴버배치
14/01/15 20:42
수정 아이콘
예외 규칙들이 하나둘 생겨나면 점점 더 어려워지죠. 어? 다 똑같은 타원데 이건 왜이렇게 안부서져?!
근거리미니언, 원거리미니언, 공성미니언, 슈퍼미니언, 1/2/3차 타워는 분류별로 똑같아야 좋겠죠.
방민아
14/01/15 22:28
수정 아이콘
봇에 밴카드 투자 늘겠네요. 밴픽실수하면 게임내내 고통 받겠네.
긍정_감사_겸손
14/01/15 22:43
수정 아이콘
결과는 환영이지만, 과정은 심히 걱정됩니다.
선례가 생겨버렸으니 다음에도 뭔가 문제있으면 이런식으로 억지 패치 할수도 있겠죠. 하지만 이런게 반복되면 LOL은 언젠가 폭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안정적이지 못하니까요.
LikeDaniel
14/01/15 23:3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이번 패치는 나이스하다고 생각되는데 많은 분들이 안좋게 보시네요.
이번 패치는 결과적으로 플레이하는 대다수의 일반 유저에겐 사실상 영향이 아예 없고(라인스왑을 하는 다이아 이상의 티어 제외),
그러면서도 대회에서 보는 재미를 향상시킬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나이스하다고 생각됩니다.
샨티엔아메이
14/01/16 08:03
수정 아이콘
애초에 맵 자체가 완벽한 대칭맵도 아닌데
위치에따른 변경점을 또 만들었다고해서 과연 이게 조잡한건가?억지인가?에는 의문이 듭니다.
14/01/16 09:26
수정 아이콘
미드봇 스왑도 어려워지겠네요
14/01/16 11:04
수정 아이콘
근데 또 이러면 반대로 고기 방패 챔프들이 죽는거 아닌가 싶네요..
케넨 나오면 누가 얘랑 라인전을 서야 되나..
저지방.우유
14/01/16 13:32
수정 아이콘
라인스왑 워낙 싫어해서 이번 패치 마음에 드네요
하지만 억지스럽다고 하시는 분들의 생각에도 동의합니다
그래도 억지로라도 이걸 맞라인 서게 하는 방법이 괜찮아 일단 환영이네요
이게 일반 게임에서 영향있는 것도 아니고
대회에서만 그런 거니...

라인스왑이 초창기에는 전략적인 선택이 맞았으나
이제는 맞라인가는 것처럼
그냥 챔프에 따라 라인스왑하는 느낌이어서
지금도 라인스왑이 전략이라고 생각하지 않거든요 (맞라인을 하나의 '전략'으로 생각 안 하듯)

게임 양상이 어떻게 펼쳐질지 기대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728 [LOL] 마스터즈 올스타전 최종 팀이 결정되었습니다. [129] Leeka11197 14/03/25 11197 0
53634 [LOL] 진에어 보루나의 방출을 원합니다. [186] Leeka14753 14/03/14 14753 21
53475 [LOL] LOL의 행동양식 개선 제도에 대하여 [111] sonmal12232 14/02/16 12232 2
53472 [LOL] 안녕하세요. 최병훈 감독 입니다. [102] 최병훈.24471 14/02/16 24471 20
53470 [LOL] 피글렛 선수의 솔랭 욕설사건이 있었습니다. [392] 삭제됨23712 14/02/15 23712 2
53456 [LOL] [펌] [번역] 푸만두에 대한 회상 [31] 다솜11331 14/02/13 11331 6
53453 [LOL] 캡틴잭의 부활! 새로워진 진에어 스텔스 [51] Leeka11551 14/02/13 11551 0
53427 [LOL] 현재까지 밝혀진, 각 팀 별 이적 상황. [29] Leeka9489 14/02/09 9489 0
53420 [LOL] 롤판 개인 수상 리스트 정리. [34] Leeka9530 14/02/07 9530 1
53388 [LOL] SKT K는 어떻게 최고의 팀이 되었나 [72] 다레니안13812 14/02/04 13812 12
53381 [LOL] LCS가 부러운 때도 있네요.. [33] Leeka10866 14/02/03 10866 0
53353 [LOL] 12~13윈터부터 13~14윈터까지 개인 수상 정리. [8] Leeka7161 14/01/29 7161 0
53339 [LOL] SKT K 왕좌에. 최대의 위기가 닥쳤네요. [149] Leeka13349 14/01/27 13349 1
53332 [LOL] 지도자의 중요성을 보여준 SKT K [19] 페마나도9804 14/01/27 9804 2
53328 [LOL] 응원글 - 코치 김정균 [52] Tad15880 14/01/26 15880 9
53323 [LOL] 자극이 필요했었습니다. 지금도요. (스압) [146] 19315 14/01/26 19315 54
53322 [LOL] 피글렛의 눈물 [50] 극연14650 14/01/26 14650 17
53307 [LOL] 판도라TV LOL Champions Winter 13-14 결승전 프리뷰 [63] 노틸러스9371 14/01/24 9371 0
53271 [LOL] 최초의 2회우승이 걸린 승부!. 오존 VS SKT 결승 프리뷰. [47] Leeka9329 14/01/19 9329 1
53237 [LOL] 피글렛은 왜 늦게 떴나. [45] Leeka9761 14/01/15 9761 2
53234 [LOL] 라인 스왑 하지 마! 리그오브레전드 4.1 패치 공개 [136] Leeka11048 14/01/15 11048 1
53189 [LOL] 팀 게임에서 개인의 기량 평가란... [17] 레몬커피9251 14/01/09 9251 7
53188 [LOL] 롤챔스 4강 SKT T1 K vs KT Bullets 리뷰 #2 [23] 노틸러스11948 14/01/09 11948 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