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8/16 22:38:16
Name Leeka
Subject [LOL] 롤챔스 6강 체제의 완성. 간략하게 6강팀 프리뷰.
1. 짧은 8강 4회차 후기

댄디갓!!! 라쿤 안녕.


2. 6강 체제의 완성. 이젠 6강팀들의 경기를 원없이 볼 수 있습니다.

8/21(수) - 4강 1일차 KT B VS CJ Frost
8/23(금) - 4강 2일차 SKT T1 VS MVP 오존
8/28(수) - 진 팀간의 3/4위전
8/31(토) - 롤챔스 섬머 결승전!

9/4(수) - 롤드컵 선발전 준 플레이오프 (5위 VS 6위)
9/6(금) - 롤드컵 선발전 플레이오프(4위 VS 준플레이오프 승자)
9/7(토) - 롤드컵 선발전 결승전(3위 VS 플레이오프 승자)

* 위 모든 경기가 5판 3선승제!  (1~4 드래프트, 5 블라인드)

거기에 9/15일부터는 롤드컵 시작입니다.  이제 안구정화되는 빅매치를 계속 보겠네요.


3. 6강팀들의 현재 점수 및 가능한 순위

나진 소드 - 540~600점 / 1~3위까지 가능. (최소 선발 결승전 확보)
MVP 오존 - 520~820점 / 1~3위까지 가능.  (최소 선발 결승전 확보, 롤챔스 결승 진출시 롤드컵 직행 확정, 우승시 롤드컵 8강 직행 확정. )
CJ 프로스트 - 400~700점 / 1~5위까지 가능. (섬머 우승 시 롤드컵 8강 직행 확정. )
CJ 블레이즈 - 320 점 / 4~6위까지 가능. (SKT T1이 3위, KT B가 4위 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무조건 5~6위 토너먼트부터 시작.)
KT Bullets - 300~600점 / 1~6위까지 가능. (나진 소드가 NLB 우승 + 오존이 롤챔스 준우승을 할 경우, 우승해도 소드와 2위 결정전)
SKT T1 - 250~550점 / 1~6위까지 가능. (나진 소드가 NLB 결승 진출 + 오존이 3위를 할 경우. 우승해도 롤드컵 직행 불가..)

* 윈터, 스프링, 섬머 3시즌 전부 '위 6개팀' 중 4개팀으로 '4강전' 이 진행되었습니다.
프로스트는 4강에 3시즌 모두 진출. 소드는 1시즌만 진출. 나머지 4개팀은 2시즌 4강 진출입니다.


4. 6강팀들 각 선수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Most 3 분석

나진 소드

엑스페션 - 럼블 14회, 57.1% / 이렐리아 11회, 63.6% / 카직스 잭스 8회, 50%
와치 - 녹턴 18회, 72.2% / 리신 16회, 43.8% / 마오카이 11회, 72.7%
쏭 - 라이즈 17회, 64.7% / 카서스 오리아나 11회, 81.8% / 트위스티드 페이드 11회 63.6%
프레이 - 이즈리얼 29회 62.1% / 케이틀린 21회 71.4% / 트위치 16회 87.5%
카인 - 소나 34회 67.6% / 룰루 19회 57.9% / 쓰레쉬 14회 50%

* 쏭의 경우, 의외로 카서스/오리아나의 승률이 상당히 좋습니다.
프레이의 트위치 승률은.........


MVP 오존

옴므 - 쉔 19회 78.9% / 이렐리아 12회 25% / 레넥톤 7회 57.1% / 자크 6회 100%
댄디 - 자르반 20회 55% / 리신 19회 73.7% / 녹턴 8회 75% / 엘리스 7회 100%
다데 - 트위스티드 페이드 18회 72.2% / 라이즈 17회 64.7% / 제드 10회 90%
임프 - 케이틀린 27회 59.3% / 이즈리얼 19회 47.4% / 베인 15회 86.7%
마타 - 소나 17회 70.6% / 룰루 15회 40% / 쓰레쉬 12회 83.3%

* 자크는 옴므의 Most 3은 아닌데.. 승률이 무시무시해서 추가해봅니다.
엘리스도 댄디의 Most 3은 아니지만.. 역시나 무시무시한 승률에 감동받아서 추가를..
다데의 제드와 임프의 베인, 마타의 쓰레쉬도 역시 명불허전의 승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J 프로스트

샤이 - 잭스 18회 72.2% / 제이스 신지드 12회 66.7%, 이렐리아 12회 41.7%
클템 - 쉔 30회 76.7% / 스카너 22회 59.1% / 아무무 18회 55.6%
빠른별 - 애니비아 15회 46.7% / 라이즈 15회 60% / 카서스 13회 69.2%
스페이스 - 이즈리얼 19회 47.4% / 케이틀린 16회 62.5% / 트위치 7회 85.7%
메라 - 소나 44회 70.5% / 쓰레쉬 17회 76.5% / 알리스타 17회 70.6%

* 많은 분들이 궁금해할.. 메라의 블크는 13회, 76.9%의 승률을 지니고 있습니다.

CJ 블레이즈

플레임 - 이렐리아 13회 69.2% / 니달리 쉔 11회 63.6% / 잭스 10회 70%
헬리오스 - 리신 20회 70% / 녹턴 14회 77.8% / 아무무 16회 50%
엠비션 - 라이즈 28회 64.3% / 카직스 16회 62.5% / 다이애나 15회 80%, 트위스티드 페이드 15회 86.7%
캡틴잭 - 케이틀린 23회 69.6% / 코그모 22회 63.6% / 베인 21회 61.9%
러스트보이 - 룰루 40회 70% / 소나 33회 63.6% / 누누 15회 53.3%

* 엠비션의 다이애나, 트페의 승률이 상당히 높으며. 러보의 룰루도 정말 높은 픽 횟수를 지니고 있습니다.

KT B

인섹 - 리신 23회 78.3% / 아무무 10회 30% / 자크 9회 55.6%
카카오 - 리신 13회 61.5% / 신짜오 9회 44.4% / 초가스 7회 71.4%
류 - 카직스 13회 53.8% / 다이애나 9회 77.8%, 라이즈 9회 33.3%, 트위스티드 페이드 9회 88.9%
스코어 - 케이틀린 25회 72% / 이즈리얼 22회 59.1% / 미스포츈 8회 50%
마파 -  소나 24회 54.2% / 룰루 23회 78.3% / 알리스타 11회 45.5%

* 인섹의 아무무(지금은 탑이라 안하겠지만)와 류의 라이즈는 승률이 의외로 안좋습니다..

SKT T1

임펙트 - 쉔 12회 66.7% / 케넨 10회 90% / 제이스 럼블 7회 42.9%
뱅기 - 자르반 12회 58.3% / 나서스 6회 83.3% / 누누 6회 100%
페이커 - 오리아나 7회 71.4%
피글렛 - 케이틀린 13회 92.3% / 베인 9회 88.9% / 바루스 6회 50%
푸만두 - 나미 11회 90.9% / 쓰레쉬 8회 62.5% / 엘리스 피들스틱 6회 83.3%

* 페이커 선수의 경우. 오리아나를 제외하고 5번 이상 사용한 챔프가 없습니다..



5. 요약

이제 원없이 6강팀의 경기를 3주간 실컷 본뒤..
롤드컵을 3주간 즐기면 됩니다!

p.s 정말 6강과 그 밑의 격차가...  그냥 모든 8강이 일방적인 3:0이 나와버리네요..  다음 윈터 시즌에는 새로운팀들이 따라잡았으면 합니다.

12 스프링에서 프로스트/블레이즈
12 섬머에 나진 소드 합류
12 윈터에 KT B 합류
13 스프링에 MVP 오존과 SKT가 합류하면서 6강까지 확대됫는데
13 섬머에는 합류하는 팀이 없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티레브
13/08/16 22:40
수정 아이콘
우승팀간의 결전은 무슨의미인지..
13/08/16 22:40
수정 아이콘
아콩.. 오타났네요~ 수정완료.
사티레브
13/08/16 22:42
수정 아이콘
현재폼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인지라
소드는 직행말고 플레이오프 결승전을 치뤘으면 좋겠네요

떨어지길 바라는 의미가 아니라
6강중 하나를 잡아서 폼이 올라왓다는걸 증명했으면 하는 마음
13/08/16 22:46
수정 아이콘
어제 블레이즈를 압살하긴 했죠.
13/08/16 22:46
수정 아이콘
저도 소드팬으로써 직행하지말고 3위해서 4~6위에서 올라온 팀을 압도적으로 꺾고 올라가서 보여줬으면 좋겠습니다. 만에하나 직행으로 올라가서 롤드컵에서 일찍 탈락한다면 엄청난 화살을 받을거 같아요 ㅠㅠ
사티레브
13/08/16 22:58
수정 아이콘
네 저도 소드가 다시 롤드컵 가길 바라고 그 과정에서 아무말 없게 탄탄했으면 좋겠어요
6강중 소드와 같이 폼이 떨어진 블레이즈라도 다시 잡는한이 있더라도 말이죠
13/08/16 22:47
수정 아이콘
이미 블레이즈 잡았죠
키스도사
13/08/16 22:52
수정 아이콘
어제 NLB에서 6강중 하나인 블레이즈를 2:0으로 압살했죠.
사티레브
13/08/16 22:58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 얘기가 나올거 같긴 했는데 지금 4강에 오른 팀들 정도였으면 싶기도하고
그 블레이즈라도 다시금 bo5정도에서 잡아줬으면 합니다
13/08/16 23:23
수정 아이콘
자격지심이신거 같네요
사티레브
13/08/16 23:38
수정 아이콘
무슨 의미신지?
자격지심 뜻을 아시는거 같지도 않으시네요
一切唯心造
13/08/16 23:54
수정 아이콘
위에 쓴 6강은 누가 누굴 잡아도 크게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아서 -_-;;
힘들게 뻔한 진출전을 치루게 하고 싶진 않네요 크크
사티레브
13/08/16 23:58
수정 아이콘
저번 진출전 5경기 정도를 보고싶습셒습...
13/08/16 22:46
수정 아이콘
오오 정말 담주부턴 지겹도록 보는 6강이군요 흐흐~ 신난다

Leeka님 글이 언제올라오나 기다리고 있었는데 각 팀별 모스트3을 조사하셨네요. 수고하셨습니다

항상 글 재밌게 보고있어요~ 흐흐 이번결승은 통신사 더비를 예상 해봅니다!
스웨트
13/08/16 22:46
수정 아이콘
이번 4강은 진짜 누가 이길지 모르겠네요. 다들 쎄서.. 정말 쎄서..
아트라스
13/08/16 22:48
수정 아이콘
예상만 갈뿐 누구하나 아 이팀이 80%정도 올라가겠다 이정도 느낌이없네요 4팀다 결승갈 자격도있고 갈만하고 참 너무 기대되요 빠르게 오기를
뭘해야지
13/08/16 22:49
수정 아이콘
제발 cj가 이겨줘...
13/08/16 22:51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가 엄청난 명경기 끝에 3 : 2로 극적인 우승을 거머쥐었으면 좋겠습니다. 작년 섬머 때의 감동은 정말이지 대단했거든요.
뿌잉뿌잉잉
13/08/16 22:5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프로스트/ 오존/ 나진 이렇게 갔음 좋겠네요

3팀다 봇라인이 매우 강력한게 특징이네요
Yesterdays wishes
13/08/16 22:57
수정 아이콘
오존대 sk는 서로 비슷함 유형의 대결로 봐서 결국 정글 클라스차이로 오존 승을 점쳐봅니다. 라이너간 균형은 대충 합이 맞다고 보고 정글의 미세한 차이가 스노우 볼을 만들것 같네요.

Kt 대 cj는 cj의 미세한 우세를 점쳐봅니다. 개인적으로 봇의 균형이 cj로 기운다고 보고 미드는 미세하게 류가 우위를 점한다해도 게임에 큰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요.. 봇 균형의 붕괴가 카카오 정글링에 영행을 줄 수준이 되느냐 마느냐가 승패를 가를것 같습니다. 봇이 우위를 점한다면 클템의 안정적 운영이 빛을 발할거라고 봅니다.
13/08/16 23:35
수정 아이콘
전 정글 클라스차이로 인해 ktb가 프로스트에 앞설거라고 생각하는데요

각성한 스코어 마파가 프로스트에 뒤질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롱리다
13/08/16 22:59
수정 아이콘
6강 vs 6강 이외의 팀이 붙을 때 역배당을 거는건 아무 의미가 없다는것을 깨닫게 해주는 8강이었네요
뭘해야지
13/08/16 23:05
수정 아이콘
16강 같은곳에서는 ctu가 소드를 2:0으로 발랐으니 16강 같은곳에서 역배당은 모릅니다
바꿀닉넴이없네
13/08/16 23:09
수정 아이콘
16강 소드 vs ctu는 1:1이었습니다. 그래서 소드는 3무 탈락을 하고 말았죠
뭘해야지
13/08/16 23:10
수정 아이콘
아 1:1이엿군요. 2:0으로 기억하고 있었네요 ㅠㅠ
13/08/16 22:59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 우승하고 오존 준우승해서 둘이 진출 먼저 하고 소드는 결정전 가서 살아난 폼을 확인했음 좋겠네요. 뭐 누가 롤드컵에 나가든 세계정복 해주리라 믿습니다.
뭘해야지
13/08/16 23:01
수정 아이콘
미드중에 빠른별 주캐가 가장 승률이 낮네요 ㅠㅠ
가장승률 좋은게 70%도 안되는게 빠른별 혼자 ㅠㅠ
13/08/17 01:11
수정 아이콘
빠른별이 가장 잘하는 주챔이라 할 수있는건 애니비아와 럭스지요
다만 이 챔프들은 대회에 쉽게나옿 수 없다는 단점이 있네요 ㅠㅠ
빠른별의 애니비아를 볼 날이 다시 왔으면 좋겠습니다
바꿀닉넴이없네
13/08/16 23:03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가 힘들어 보이는 것 빼면 예상을 할 수가 없네요
13/08/16 23:04
수정 아이콘
소드/오존 두 팀은 직행
T1은 플옵 뚫고 이렇게 갔으면 좋겠네요
13/08/16 23:08
수정 아이콘
4강 1일차는 KT 압승 예상합니다

4강 2일차는 MVP가 이길꺼 같구요

MVP대 KT는 예상이 힘드네요

롤드컵 진출팀은 MVP SKT KTor나진 예상합니다
아트라스
13/08/16 23:14
수정 아이콘
kt대 cj는 봇라인 비등 탑라인 인섹이 5대5는 해주는걸 보았고 미드는 둘중 누구든 류가 좀 앞설거 같고 결국 kt가 요즘 물오른게 한타이기 때문에
5대5 싸움의 기습적 이니시라던지 궁연계로 케이티가 이기지 않을까 싶고
오존대 sk는 탑은 비등 미드도 비등이라고생각됨.. 다데가 넘 잘해진듯. 봇라인도 비등해져버림.. 피글렛 폼이올라옴. 근소하게 오존에 우세를...
13/08/16 23:38
수정 아이콘
오존하고 SKT는 '지금 멤버로 11게임 붙어서 9:2로 오존이 압살중입니다'.. 원래 스크는 오존에게 천적수준으로 매번 박살났어요..

실내무도, 스프링 12강, 스프링 4강, AMD까지.. 전부 일방적으로..
아트라스
13/08/16 23:41
수정 아이콘
그렇죠 그래서 근소하게 오존의 우세를 왜 근소하게냐면 sk폼이 저번시즌에는 그냥 솔랭패기로 막하는 거 같았다면 봇라인 서폿 원딜둘다
페이커도 더 단단해진거 같고 벵기도 좀 올라왔거든요. 그래서 저번처럼 무너지진 않을느낌...3:1로 혹시 오존한테 지더라도 저번처럼 맥없진 않을 듯해요.
13/08/17 16:45
수정 아이콘
근데 맵장악 해나가는거 보면 아직도 오존이랑 클라스차이가 좀 납니다.
물론 SKT가 저번시즌보다 더욱 매서워지고 단단해졌기 때문에 기대를해보고 있지만.. 왠지 3대1스코어가 또나올거 같은 느낌이드네요.
13/08/17 01:17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위에 적힌 6팀간의 경기에서 폼이 아니면 잘 믿음이 가지 않습니다 그 이하 팀에 대해서는 잭선장도 봇캐리가 가능하거든요
그런 면에서 피글렛의 폼은 오존 전을 보고 판단해야 할꺼 같아요

같은 이유로 지난 쉴드전에서 클템이 꽤나 잘해보였지만 그것도 폼이 올라왔다는 생각은 안들어요..
zl존호옹이
13/08/17 01:46
수정 아이콘
크크 스프링에서 데프트 이즈리얼 8킬로 성장시켜준 잭선장이 생각나네요
키스도사
13/08/16 23:1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프로스트는 항상 과소평가 받는다고 생각합니다. 롤챔스에서 4강 개근은 아무도 못한 업적이죠. 탑은 인섹보다 샤이가 우세하다고 생각하고, 미드는 류가 롤코를 타느냐가 갈린다고 생각합니다. 바텀은 쉽사리 예측하기가 힘드네요. 다만 KTB와의 경기는 카카오의 캐리력은 클템의 캐리력보다 강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끝까지 가봐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재밌을꺼 같네요.

그리고 오존과 SKT는 양팀의 돌직구 인터뷰로 인해서 더 기대가 됩니다. 개인적으론 오존이 기세와 역대 SKT 상대로 우세한 모습들을 보여줬기 때문에(KTB와 CJB에서도 이런 역대전적을 무시못한다는걸 보여줬죠.) 오존이 조금더 유리할꺼 같다고 생각합니다만, 8강에서 보여준 압도적인 모습을 SKT도 보여줬기 때문에 어떨지는지켜봐야 겠네요.

결론은 엄대엄입니다!
13/08/16 23:36
수정 아이콘
여긴 프로스트 vs 쉴드 때도 딱히 프로스트 우위를 얘기하지 않았던 곳이에요. 지금 뒤로 돌아가서 읽어보면 되게 재밌음.
13/08/16 23:47
수정 아이콘
뭐 나름 객관적으로 보는 자료로는 불리하긴해도 응원하는 마음을 담아서 해볼만하다라고 평할수도 있는거죠.
응원하는 팀이 저평가를 받는 꼴이 재미있고 자시고를 떠나서..
Practice
13/08/17 00:02
수정 아이콘
저는 관련 논의는 게시물조차 본 적이 없어서 뭐라 말씀 드리기 어렵지만, 피지알이 ~이런 곳이다, 라고 단정 짓는 말씀은 조금 위험하지 않을까 싶네요
13/08/17 00:30
수정 아이콘
어디에 프로스트 우위가 없죠? 당장 같은 프리뷰만 봐도 프로스트가 압도적인데요?
그리고또한
13/08/17 09:31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가 좀 까이는 경향이 있긴 한데...(정글이라던가, 클템이라던가?)
그와 별개로 강팀으로서 실력은 인정받아 왔던 것 같네요. 성적이 들쑥날쑥한 경향도 없이 죽 4강을 해오고 있고요.
13/08/17 12:03
수정 아이콘
경기 전에 로코 아니고 제파만 나오면 쉴드가 우세한 것 같다는 말을 그렇게 많이 들은게 정말 프로스트 실력을 제대로 인정해줬던 건지 결과가 나온 지금 되묻고 싶네요.
Practice
13/08/16 23:51
수정 아이콘
저도 엄대엄이라고 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카카오가 클템보다 더 나은 정도가 꽤 크긴 한데, 샤이가 인섹보다 나은 약간 만큼의 정도와 류가 롤코로 인해 하강했을 경우의 CJ 미드의 약간 나은 정도, 스코어-마파가 물론 좋은 봇듀오이긴 하지만 매라-스페이스보다는 사알짝 처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CJ 봇듀오의 약간 나은 정도를 합치면 비슷비슷할 것 같거든요.

중요한 건 류의 컨디션이라고 생각합니다. CJ 입장에서 클템과 카카오의 격차를 다른 포지션에서의 약우위를 바탕으로 메운다고 가정했을 때, 류가 8강 때처럼 미친 듯이 날아다니면 KTB 입장에서 정글-미드가 캐리하는 그림이 나올 것 같습니다.
13/08/17 01:21
수정 아이콘
카카오가 클템보다 우위인거 같아서 밴픽이 정말정말 중요할꺼 같아요 지난 스프링 8강도 클템은 와치보다 폼이 떨어졌지만 밴으로 잘 봉쇄해서 이겼다고 생각하거든요
zl존호옹이
13/08/17 01:49
수정 아이콘
지난시즌 8강에서도 skt는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줬는데요 크크
13/08/17 11:04
수정 아이콘
어디 보시고 오셨나요...나진 팬들도 쉴드가 이기더라도 힘들게 이길 거라 예상했는데;;
13/08/16 23:3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KTB,오존,나진소드의 롤드컵 진출을 희망합니다.
一切唯心造
13/08/16 23:43
수정 아이콘
오존, 소드, KT 혹은 SK가 올라갈 것 같네요
포포리타
13/08/16 23:52
수정 아이콘
언제나 프로스트는 과소평가되는 팀입니다.
누굴 만나든 엄대엄..
근데 이번시즌은 이길수 있는 팀은 이겼어요.
4강은 저도 kt가 좀 더 우세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객관적으로 생각해보면 kt가 좀 더 강해요. 라인전은 정글러의 역량이 가른다고 봅니다.
한타도 강하죠. kt가 말이죠.
하지만 프로스트가 승리하길 기원합니다.
13/08/17 02:34
수정 아이콘
객관적;;은 아닌듯 싶네요. 블레이즈와의 8강전을 제외하고 꾸준히 멘탈에 약점을 보여온 KT보다는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높은 경기력을 보여준 프로스트가 강하다고 봅니다.

클템도 사실 과하게 욕을 먹는 경향이 있긴하죠. 오프더레코드등을 보면 팀원 멘탈 추스리고
지속적으로 판에 대해 환기하는 역할에, 한타 기여도도 낮은 편이 아니고 말이죠.
프로스트 팬 입장에서 상대를 강하게 평가하고 기대감을 낮춰, 패배했을 때의 충격을 줄이는 것도
나쁘진 않습니다만 기대하셔도 좋지 않을까 합니다.
Cynicalist
13/08/16 23:57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 대 KTB는 엄대엄이고...

SKT 대 오존은 오존이 이길것 같은데


둘중 하나만 볼수 있다면 SKT 대 오존경기가 더 꿀잼일 것 같은..
13/08/17 00:1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클템상대로는 마이정글도 괜찮다고 봅니다

그냥 서로 cs먹고 같이컷을때 좋은거 고르면 될듯합니다

서로 갱없이 그냥 정글만 먹는거죠
13/08/17 01:23
수정 아이콘
같이 CS먹고 컷을때 정글 마이가 아무무나 람머스 같은 것보다 좋은가요?? 잘 몰라서 여쭤봅니다
zl존호옹이
13/08/17 01:40
수정 아이콘
마이 리메이크된 클라이언트가 적용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상황마다 다르긴한데 마이가 좀 더 좋지 않을까란 생각이 드네요
샨티엔아메이
13/08/17 01:52
수정 아이콘
크는 속도가 차이나죠.
람머스는 갱없이 큰다는게 말이 안되고
아무무가 갱없이 죽어라 정글+빈라인 cs만 먹어서 코어템 2개정도 맞출때 쯤이면
마이는 적어도 코어템 3개+@ 되서 나오고 마이는 그 정도 템을 갖추면 챔프가 급이 달라집니다.
디하르트
13/08/17 00:12
수정 아이콘
쏭의 경우에는 카서스 오리아나가 의외라고는 보기 힘든 것이

처음 소드가 결성되고 미드가 구멍이라고 불릴때도 파밍형 챔프는 곧잘 했습니다.

아리 같은 경우에나 황천질주 등으로 안좋게 평가받았지만 카서스 오리아나 같은 파밍형 챔프는 어떻게 보면 쏭의 마지막 자존심이라고

불릴만큼 그나마 기복이 적었던 챔프라고나 할까요
13/08/17 00:21
수정 아이콘
4강은 양 쪽 모두 정글러 싸움이 키포인트가 될 것 같네요.
두 따이브
13/08/17 01:04
수정 아이콘
카서스 오리아나 승률이 높은게 왜 의아한지가 오히려 의아합니다 -_-;
소드가 결성되고 송은 오히려 카서스 오리아나만 막으며되는 선수였거든요. 이블린이 나중에 주캐에 합류했지만요.
롤드컵 TPA전에도 퍼플인데 카서스밴하고 오리아나 뺏겼다가 (반대던가) 멍청밴소리 들었죠 -_-;
zl존호옹이
13/08/17 01:45
수정 아이콘
그때 멍청소리들은건 상대가 오리아나임에도 라이즈를 택하는 셀프카운터를 해서 들었던 소리로 기억합니다.
두 따이브
13/08/17 18:04
수정 아이콘
그전까지 보여준게 카서스 오리아나 이블린 황천아리 네개뿐이였는데
상대는 오리장인 토이즈고 퍼플인주제에 카서스는 셀프밴 한주제에 결국 뽑은게 셀프카운터 라이즈였고, 그나마 숙련도도 엉망이였죠 -_-;
걍 둘다 냅두고 카서스를 가져오던가 아님 오리를 밴하고 카서스랑 라인전을 하던가가 중평이였던걸로 기억하네요 흐흐
유재석
13/08/17 01:04
수정 아이콘
왜 롤챔스 4강 야외투어 안하나요~ 자리 꽉 채울텐데.. 아쉽네요 크크
직관가서 봐도 재밌을거같은디..
Gorekawa
13/08/17 01:19
수정 아이콘
어떤 경우에서라도 MVP 오존 / SKT T1 / KT Bullets 이 3개의 팀이 나가길 희망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에 이 3팀이 롤드컵에 나간다면 아마 1,2,3위 모두 한국팀이 석권하는 일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비버비버
13/08/17 03:34
수정 아이콘
저랑 같은 생각이시군요 크크크
13/08/17 01:36
수정 아이콘
누가 강하고 이런건 잘 모르겠고 skt가 세계무대에 갔으면 좋겠습니다
페이커 선수를 세계에 보여주고 싶어요.
이퀄라이져
13/08/17 01:37
수정 아이콘
오존 우승, 프로스트 준우승 예상합니다.
일단 지금 오존은 가장 완벽한 팀같고
얼밤 대 크트비는 얼밤이 봇우위, 크트비가 정글우위로 가다가 특유의 운영으로 얼밤이 3:2로 이길꺼 같아요.

(아직은 먼 이야기지만) 롤드컵 결승은 소드 vs OMG 하면 좋겠습니다...
감모여재
13/08/17 02:14
수정 아이콘
오존을 상대하는 방법을 (비록 오존이 즐겜한걸 수도 있지만) 초약체팀으로 평가받던 스톰이 잘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댄디 댄디 댄디. 댄디를 연구해서 댄디의 동선을 파악하고 댄디가 잘하는 챔프를 밴하고 라이너가 아닌 댄디를 말리고... 다른 팀들이 참고할만한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13/08/17 02:40
수정 아이콘
KT 우승 SK준우승했으면 좋겠네요. 롤드컵은 KT SK 소드.
블라디미르
13/08/17 03:50
수정 아이콘
얼밤/불밤은 이길때 보면 정글러들이 각성한듯 싶지만 결국 하위권팀이랑 할때만 잘해보이지 정글러 센팀 만나면

클템,브베가 말그대로 초전박살이 나버리는 바람에 게임이 기울어버리는데 과연 댄디와 더불어 국내 최고라 불리는 카카오를 상대로 클템이 어떻게 될지

클템이 카카오한테 버티기만 하면 CJ가 3:1 정도로 이길것 같고, 카카오한테 그냥 탈탈 털리면 3:0 셧아웃
소녀시대김태연
13/08/17 17:40
수정 아이콘
천천히 읽다가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브베오스 ㅠㅠ
13/08/17 09:58
수정 아이콘
최근경기보면 라이너 실력차이는 그렇게 심하게 나지 않는것 같은데 정글러 실력차이는 엄청나게 나지않나요.

또 정글러 차이가 게임의 판도를 가장 드라마틱하게 바꾸는게 현 상황같고

잘하는쪽 정글러를 말리게 한다는것도 좀 의아한게 그걸 안당하니까 잘하는 정글러겠죠.

어느라인의 근소한 우세 이런건 별 의미가 없는것같고 클템이 털리면 그냥 지는거고 클템이 버텨낸다면 엄대엄이 될거같아요.
레몬맥콜
13/08/17 10:44
수정 아이콘
KT B가 블레이즈를 상대로 보여준 모습을 보니 프로스트를 상대로도 안좋은 모습 보여주지는 않을거라 봅니다. 프로스트식 운영을 가장 잘 한다는 팀이 바로 KT B이고 전체적 라이너들의 무게감을 비교해도 밀린다고 보진 않습니다. 오히려 앞서면 앞섰지... 카카오 아니면 인섹을 타겟팅 한 밴일텐데 인섹이 제이스등을 다룬것을 보면 그것도 딱히 쉬워보이지는 않네요.
뭘해야지
13/08/17 10:44
수정 아이콘
cj 입장에서는 여론 때문에 인섹 놓아준게 진짜 아쉽네요..

건웅이랑 강현종 이미지가 너무 안좋아서 놓아준거라 생각하는데 건웅이라도 지금의 이미지 정도였어도 안놓아줬을거 같은데 ..
13/08/17 10:51
수정 아이콘
불밤을 만나지 않은 얼밤이 롤챔스 토너먼트에서 떨어지는건 상상하기가 쉽진 않네요
Legend0fProToss
13/08/17 11:42
수정 아이콘
클템이 어떤걸 준비해올지 기대가 됩니다...
프로스트는 당연히 리신,엘리스밴을 기초로 해야될거같고
ktb는 스페이스에게 트위치,베인을 쥐어주지않는걸 목표로 밴픽을 잡아야될거같습니다.
또한 미드에서는 누가 아리를 가져가냐가 포인트가될듯합니다.
또한 요즘 잭스가 스멀스멀 다시 기어나오는데 대표 잭스장인인 샤이의 선택이 궁금해지네요
zl존호옹이
13/08/17 12:15
수정 아이콘
잭스가 요새 왕귀한 경기가 많이 없지는 않았습니다. 임팩트, 라간, 노네임드 선수들이 잭스 꺼내들고 왕귀했는데도 지는 바람에 잭고인 소리 들었었죠 노네임드 선수는 한번 이기기는 했지만요 크크
요정빡구
13/08/17 12:41
수정 아이콘
SK와 오존이 나머지 2팀보다 좀 더 강해 보입니다...
SK 오존전은 5:5라고 보고 두팀중에 승리하는 팀이 우승할것 같아요
13/08/17 16:48
수정 아이콘
롤드컵은 오존 프로스트 SKT 소드 중에 나갔으면 좋겠네요.
물론 소드가 강력함을 다시 회복한다는 가정하에요. KTB는 강해지긴 했지만 약간 아쉬워요 아직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272 [LOL] 트래비스 인터뷰: 러블린, 피글렛, 미티오스 + 더블임프트 [8] 엘에스디9479 13/09/22 9479 3
52248 [LOL] 롤드컵 1회차 일별 TOP5 하이라이트. [10] Leeka8618 13/09/19 8618 0
52246 [LOL] 이쯤 되면 나올법한 한국 롤 과대평가설 [91] 하얀호랑이13007 13/09/19 13007 0
52188 [LOL] SKT T1에 대한 해외 리뷰 [27] 랑비15185 13/09/12 15185 7
52158 [LOL] 현재 라인별 최강은 누구라고 생각하시나요? [160] Leeka19110 13/09/08 19110 0
52152 [LOL] 리턴 섬머 결승! 국대선발 결승전 밴/픽 프리뷰. [18] Leeka8452 13/09/07 8452 0
52146 [LOL] 6강?.. 팀들의 시즌3 상대전적 정리 버전업데이트. [53] Leeka9031 13/09/06 9031 0
52103 [LOL] 롤챔스 6강팀의 시즌3 상대전적 이야기 [22] Leeka8345 13/09/01 8345 2
52099 [LOL] 이번 서머시즌 NBA식 수상자 적어보기 [25] 체념토스7937 13/09/01 7937 0
52098 [LOL] 소드에 이어 오존도 롤드컵으로 보내버린. SKT T1 후기 [22] Leeka10496 13/09/01 10496 2
52096 [LOL] 오늘 결승 경기 후기 [19] 체념토스9234 13/09/01 9234 0
52094 [LOL] 전 스타테일 멤버들의 결승전 격돌! 롤챔스 섬머 결승전 프리뷰. [46] Leeka10689 13/08/31 10689 1
52093 [LOL] 핫식스 LOL 챔피언스 서머 2013 결승전 프리뷰 [162] 노틸러스9924 13/08/30 9924 6
52084 [LOL] 롤챔스 섬머 8강 2주차, 4강. 공식 TOP 6 하이라이트 [1] Leeka11968 13/08/29 11968 3
52036 [LOL] SKT T1 vs MVP 오존, 롤드컵 진출을 위한 건곤일척의 대결 후기. [7] Gorekawa9785 13/08/24 9785 3
52031 [LOL] 뱅기+페이커. 오존을 격파하고 결승에 진출. 롤챔스 4강 리뷰. [30] Leeka11595 13/08/24 11595 4
52022 [LOL] 핫식스 LOL 챔피언스 서머 2013 4강전 B조 프리뷰 [149] 노틸러스9340 13/08/23 9340 1
52014 [LOL] 최고의 천적 대결! SKT T1 VS MVP 오존 프리뷰. [54] Leeka9479 13/08/22 9479 1
51958 [LOL] 롤챔스 6강 체제의 완성. 간략하게 6강팀 프리뷰. [79] Leeka12094 13/08/16 12094 3
51935 [LOL] 핫식스 LOL 챔피언스 서머 2013 8강전 C조 프리뷰 [102] 노틸러스8927 13/08/14 8927 0
51883 [LOL] 팀리퀴드 OGN 롤챔스 플레이어 분석.txt [17] 짱슈11174 13/08/08 11174 2
51862 [LOL] 롤챔스 섬머 16강 하이라이트 [19] Leeka9957 13/08/04 9957 1
51751 [LOL] 핫식스 LOL 챔피언스 서머 2013 조별리그 10회차 프리뷰 [93] 노틸러스8977 13/07/24 897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