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11/20 17:31:03
Name Love.of.Tears.
Subject 임요환 선수에 부쳐 (부제: ~다움)
드라마에서 극의 갈등이 심해질 경우 예를 들어 삼각관계나 출생의 비밀이 밝혀진 직후 항상 나오는 대사가 있습니다.


A : 너답지 않아. 너답지 않게 왜 그래?
B: 나답지 않다고? 도대체 나다운 게 뭔데!



나답다. 이 말은 참 감사한 말입니다. 보통 이런 상황에서는 나의 이미지가 상대방에게 좋게 작용했다고 보는 게 맞을 겁니다. 그것은 내가 잘해서라기보다는 나의 허점이나 약점들을 상대가 잘 봐주었고, 동시에 잘 감싸주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나답다는 말이 부담스러울 때도 많습니다. 상대에게 좋게 작용해서 으레 그럴 것이라 믿었던 나의 이미지가 허튼 짓이나 말 한 번에 실망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매사 조심해야 한다는 점이 부담스럽게도 작용합니다.

전 어제 임요환 선수도 그랬으리란 생각을 했습니다. 황제라는 수식어와 대단한 커리어 그리고 큰 인기는 그에게 찬사가 가기에 충분한 조건들이었습니다. 숨 가쁘게 응원하고 승리 한 번 한 번에 마치 자신의 일처럼 기뻐해 주는 팬들을 보면서 오랜 시간 힘든 선수 생활을 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하는 그였습니다.

팬들이 그렇게 승리에 익숙해져 있을 때쯤 기쁜 것과 별개로 승수가 많아지고 보는 재미도 있다 보니 팬들의 눈도 자연스레 업그레이드되었고, 동시에 그의 승리가 당연시 되었죠. 팬들의 마음속엔 “임요환은 무적이니 오늘도 이길 거야.”라고 자리 잡았는지도 모릅니다. 그게 ‘임요환다움’이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종종 패배도 하고 무기력해 보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더니 ‘가끔’이었던 패배는 ‘종종’이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점차 ‘임요환다움’의 색은 바래버렸지요. 어느 팬들은 ‘실망’이란 수건 또한 던졌습니다. 각종 언론은 ‘임요환 시대의 종말, 다시 부활할 순 없을까’하는 물음표까지 남기기도 했죠. 벤치워머라는 말, 실상 감독이란 말 등 어쩌면 그의 입장에서 가장 듣기 싫을 말까지 들으며 자릴 지켰던 그는 둥지를 옮깁니다.

슬레이어스라는 조각배를 만들어 최고 함선으로 키워내리라는 그의 야망이 시작됩니다. 하지만 불운하게도 그는 배신자라는 오명을 쓰고 말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임요환다움’의 제 2막이라고 느꼈는데 말입니다. 그의 연인인 김 전 구단주님과의 열애설부터 슬레이어스 클랜 창단에 이르기까지 바람 잘날 없는 하루를 보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단 멤버와 선수로서 그리고 후배들을 위한 조언자로서 최선을 다합니다. 쉬는 날마저 영화를 보러 가는 것조차 마다하고 열심히 했습니다.

그리고 한참 후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군단의 심장’에서 연습재개 할 것이라는 당찬 각오를 다집니다. 그러나 얼마 후 그는 코치직으로 임명되며 친정이었던 SKT로 팀을 옮깁니다. 너무 갑작스럽고, 당황스러워서 눈물밖에 나오지 않는 상황, 그런데 그 이후 충격적인 일이 그 안에 내포되어 있었음을 알게 됩니다.

자, 임요환 선수는 자신을 다른 의미로 임요환스럽게 알고 있는 대중들을 위해 최대한 말을 아꼈습니다. 어쩌면 자신을 따라다녔던 ‘임요환다움’을 버리고 싶었을지 모릅니다. 전 아직도 그를 개인적으로는 ‘요환이형’이라 부르지만 공적으로는 ‘임요환 선수’라 부릅니다. 아마 이 호칭은 그가 이 판을 떠나도 못 버릴 것 같습니다. SKT로 온 후, 기자회견에서 “선수 생활에 대한 여부는 말하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그가 가진 생각이 선수에 대한 열망이 남았는지 아닌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그가 어떤 길을 가든, “뭘 할 것이다”고 단정 짓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이제는 그저 그를 믿는 것, 그리고 여전히 이 판에 머물러 있는 그를 위하여 응원을 보내는 것이 최선일 것 같습니다. 주제넘었다면 죄송합니다.

그리고 임요환 선수, 당신이 이전에 가졌던 ‘임요환다움’은 버리세요. 지금으로도 충분히 당신을 응원합니다. 당신의 삶, 그 안에서 무엇을 하든 항상 자유롭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졸필입니다. 양해 부탁합니다.


Written by Love.of.Tears.


PS. 본문 중 팬에 대한 언급 내용은 ‘일반론’이 아님을 밝힙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9592 프로리그 개막이 반가운 사람입니다^^ [23] My StarLeague8056 12/12/07 8056 1
49591 OLYMPUS LOL Champions Winter - 인터리그, Team OP vs NaJin Sword #2 [224] 키토10388 12/12/07 10388 0
49590 OLYMPUS LOL Champions Winter - 인터리그, Team OP vs NaJin Sword #1 [236] 키토10752 12/12/07 10752 0
49589 [LOL] 시즌3 신규 아이템을 써봤습니다. [16] 저퀴8957 12/12/07 8957 0
49588 KeSPA, 해외 e스포츠 커뮤니티 팀리퀴드에 게재된 오보 관련 입장 발표 [93] kimbilly13038 12/12/07 13038 0
49587 안녕하세요. 이재균 감독입니다. [68] 이재균13940 12/12/07 13940 29
49585 [LOL] 제안 - 랭징징들을 위한 작은 소고 [61] Animako10080 12/12/07 10080 0
49584 자유의 날개 & 군단의 심장, 밸런스 업데이트 #8에 대한 개발팀의 생각 [32] 김연우12377 12/12/07 12377 0
49583 스타2 프로게이머에게 사인을 받았습니다. [11] 대경성11933 12/12/06 11933 4
49582 [LOL] 시즌3 도란의 검 효율은 낮아졌는가? [24] LenaParkLove13304 12/12/06 13304 0
49581 [LOL] 시즌 3의 대격변 이후의 탑솔 밸런스 [36] Sigh Dat13023 12/12/06 13023 0
49580 [LOL] 업데이트후 주의 변화점에 대해서 [117] 루시드폴13316 12/12/06 13316 1
49579 플레이포럼 서비스 종료 [40] 인간흑인대머리남캐15968 12/12/04 15968 0
49578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12-13 1라운드 1주차 주말 경기 엔트리 공개 [38] 강민화이팅9605 12/12/06 9605 0
49577 [LOL] UFO코르키가 공짜로? 각시탈 샤코의 등장? LOL 한섭 1주년 이벤트 [35] 잊혀진꿈10066 12/12/06 10066 0
49576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12-13 시즌 Preview [35] 강민화이팅8395 12/12/06 8395 0
49575 이제동 선수, 해외 게임단 EG 팀에 1년간 임대 [52] 강민화이팅10106 12/12/06 10106 0
49573 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 베타 2.0.2 새 밸런스 패치 (폭풍 추가) [59] s23sesw8275 12/12/06 8275 0
49572 OLYMPUS LOL Champions Winter - 인터리그, KT Rolster A vs GSG #2 [282] 키토10052 12/12/05 10052 0
49571 OLYMPUS LOL Champions Winter - 인터리그, KT Rolster A vs GSG #1 [273] 키토8518 12/12/05 8518 0
49570 OLYMPUS LOL Champions Winter - 인터리그, LG-IM vs MVP Blue #2 [316] 키토8850 12/12/05 8850 0
49569 OLYMPUS LOL Champions Winter - 인터리그, LG-IM vs MVP Blue #1 [317] 키토10211 12/12/05 10211 0
49568 로코도코 최윤섭, CLG와 결별하고 다시 한국행 [67] 마빠이11901 12/12/05 1190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