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5/16 14:45:48
Name Josh
Subject 디아블로3 관전평
무척이나 하고 싶지만, 사정상 못하고 방송만 보며 게임을 알아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생각나는 몇가지를 적어보려 합니다.


1. 이야기 전개 방식

줄거리가 기억나는 게임들이 많지가 않습니다. 끽해서 스타와 워크정도가 캠페인하면서 알아나간 기억이 있네요.
디아도 마찬가지로 스토리가 있지만, 디2 시절을 생각해보면, 현재의 온라인 게임들과 같은 흐름이었다고 봅니다.
이야기를 알아가며 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내 캐릭을 더 빨리 더 강하게 키우는 것에 대부분 사람들이 집중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3편에서는 그런 부분에 신경을 쓰지 않았나 싶습니다. 모든 컨텐츠 한글화라는 것도 도움이 되었지만,
중간중간 영상으로 넘어가는게 아니라, 게임화면이 이야기로 이어지는 부분은 '녹스'라는 게임이 생각났고,
이 방식이 줄거리에 대한 집중을 잘 만들어낸 부분이 아닌가 싶습니다.


2. 난이도

디2시절 3대 악마들은 그저 아이템 주는 슬롯머신에 불과했습니다. 하루동안 수 많은 메피스토, 디아블로, 바알이
티모만큼이나 많이 죽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잡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도 않았고, 아이템만 있으면 쉽게 잡았죠.
그러다보니 그저 남들보다 더 나은 아이템이 즐길거리의 전부였다고 보여집니다.

이번엔 와우를 만들고 운영하면서 배운부분을 디아에 많이 집어넣으려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래서 레이드를 마지막 종착지로 잡고, 그걸 만들려고 인페르노라는 난이도를 만들었다고 생각됩니다.

'너무 쉽다' 라는 말이 보이고 있습니다. 저도 느끼기에 디2 때보단 너무 일찍 끝난거 같습니다.
디2시절엔 그런 게임이 많지도 않았고, 영어라는 것도 어찌보면 게임 진행이 느린 이유였겠죠.(+ 렐름 다운)

패키지 게임이라 타 온라인 게임에 비해 맵의 크기가 작을 수 밖에 없고, 또 스토리를 깔고 가야하니
DLC나 확장팩을 내는데 한계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4개 구간을 다른 난이도로 낼 수 밖에 없었고,
맨 처음인 노말 난이도는 더 쉬워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하지만, 인페르노가 생각보다 일찍 깨진다면 욕을 먹겠죠.


3. 그 외 시스템

여러가지 세세한 것들이 다 변했습니다. 쉬라인부터 용병시스템, 창고, 경매 등 발전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스킬시스템이 좋네요.
컨트롤적인 부분도 전작보다 더 요구되지 않나 싶습니다. 콘솔로 나오면 재밌을거 같다는 생각도 들더군요.
만렙이 하는걸 봐야 즐길게 있나 없나 알 수 있을거 같습니다.


해보면서 적는게 아니라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네요.

뻘글) 첫날 보면서 든 생각입니다만, LOL 배경 바탕으로 캐릭들 넣어서 디아같은 게임 만들어도 괜찮지 않을까 싶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5/16 14:50
수정 아이콘
lol배경으로 디아 같은 게임을 만들면 좀 심하다고 욕 먹을 확률이 높죠.
lol도 어쨌든 태생이 워3라 그리고 챔프부터 워3나 와우 영웅들이랑 스토리가 유사한것도 많고
그러면 아무래도 블리자드 따라한다고 욕 먹을 확률이 높죠.
Lainworks
12/05/16 14:54
수정 아이콘
반대의 경우는 디아3 베타 클라이언트 해체한 파일더미에서 diablo_dota.mpq 가 나온적이 있어서(.......)
12/05/16 15:03
수정 아이콘
뻘쁠이지만 디3 스토리가 궁금하네요. 인터넷 검색해도 안나오던데...
궁금한건 스포따위 신경안쓰는데 어헣
Siriuslee
12/05/16 15:06
수정 아이콘
엔하위키에 가면 대충 나옵니다..
스토리가 아니라 인물중심으로 설명이 되어있지만,

그리고 디아3에 관심있던 분들이면 그동안 나온 정보를 종합해서 예측한것 처럼 진행 된다고..
12/05/16 15:03
수정 아이콘
이제 노말 액트3 합니다만 지난번 블리자드의 인터뷰에 따르면 불지옥 난이도에서는 몹들의 패턴이 바뀔거라고 했고..
그게 아니더라도 와우가 지난 세월동안 만들어온 레이드 보스몹 패턴만 4인이하 액션게임용으로 리메이크해도.. (+ 스펙요구 왕창올리기)
쉽다는 말이 나올리가 없다고 전 믿고있습니다.

블리자드의 와우 밸런스 테스트팀이 자기들이 만든 레이드의 하드모드도 못깬다는거야 유명한 사실이지만;
어쨌든 자기네 입으로 불지옥난이도는 정말 불지옥이 될거라고 공언한이상 정말 불지옥...일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292 2012 스타크래프트2 상금랭킹 TOP 20 (~05.31) [4] sleeping0ju5764 12/05/30 5764 0
47291 [디아3] 이 게임 문제가 너무 많습니다. [68] 태랑ap9911 12/05/30 9911 2
47290 tving 2012 스타리그 16강 6회차 [303] SKY927322 12/05/30 7322 1
47289 배틀로얄 Mig Frost vs 나진 엠파이어 로 변경 + 미리보는 Summer 이야기 [30] aSlLeR6710 12/05/30 6710 0
47288 2012 HOT6 GSTL Season 2 - 1R A조 승자전, SlayerS_EG vs ZeNEX [118] kimbilly5107 12/05/30 5107 1
47287 [LOL] Spring 시즌 하이라이트 영상입니다. [17] Cherry Blossom6377 12/05/30 6377 11
47286 [디아3] 수도,법사 만렙찍고도 게임을하지않는이유.. [159] 돈성빠돌V515420 12/05/29 15420 0
47285 [LOL] 원거리 딜러의 템트리에 대해... 피바라기vs무한의대검 [55] 작업의정석10522 12/05/29 10522 2
47283 [LOL] 로코도코의 "제닉스스톰" 행이 무산된거 같습니다. [57] 마빠이10476 12/05/29 10476 0
47282 tving 2012 스타리그 16강 5회차(2) [69] SKY925359 12/05/29 5359 0
47281 tving 2012 스타리그 16강 5회차 [218] SKY926839 12/05/29 6839 0
47280 2012 HOT6 GSTL Season 2 - 1R A조 2경기, ZeNEX vs Teamliquid [115] kimbilly5219 12/05/29 5219 1
47279 [디아3] 그럼, 발상을 바꾸면? [11] 억울하면,테란해!9279 12/05/29 9279 0
47276 SK planet StarCraft II Proleague Season 2 - 2주차, SKT vs 웅진 #1 [316] kimbilly6548 12/05/29 6548 2
47275 [디아3] 아직 구입하지 않은 분들을 위한 디아블로3 감평 [39] 알킬칼켈콜8034 12/05/29 8034 0
47274 [디아3] 앞으로의 변화 방향에 대한 흥미 있는 기사들이 실렸군요. [41] The xian7450 12/05/29 7450 0
47273 [디아3] 부두 -> 악사로 전직한 소감 [30] darkmusic7828 12/05/29 7828 0
47272 [디아3] 디2 유저로써의 디3 경험기 [5] 그리메5173 12/05/29 5173 0
47271 [LOL] The 2nd NVIDIA Game Tournament 대회 일정 Fix_me5065 12/05/29 5065 0
47270 [디아3] 어느 초보자의 하루~ [31] 이마로5840 12/05/29 5840 0
47269 프로리그를 응원하며... 조금 더 개선되기를 바라는 희망사항 [31] 캐리어가모함한다6564 12/05/29 6564 0
47268 [스타2] 레드불 배틀 그라운드 경기결과 및 GSL 코드A 예선 결과 [12] 지노6142 12/05/28 6142 0
47267 스타크래프트2가 나름대로 자리를 잘 잡아가는 것 같아서 흐뭇하네요. [20] RPG Launcher6717 12/05/28 671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