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7/12 15:34:27
Name Davi4ever
File #1 WP(110710).JPG (882.9 KB), Download : 17
File #2 WP(110710)_race.JPG (300.1 KB), Download : 13
Subject 2011년 7월 둘째주 WP 랭킹 (2011.7.10 기준)




2011년 7월 둘째주 WP 랭킹입니다.

이영호가 11주 연속 통합랭킹 1위를 차지했습니다.
2위 이제동과의 점수차는 148점으로 약간 줄어들었습니다.

테란랭킹 1위 역시 82주 연속 이영호입니다. (전체랭킹 1위, 통산 142주)
테란랭킹 2위 정명훈(전체랭킹 7위)과의 점수차는 1249.8점으로 50점 정도 줄었습니다.

저그랭킹 1위는 120주 연속 이제동입니다. (전체랭킹 2위, 통산 183주)
저그랭킹 2위 김명운(전체랭킹 4위)과의 점수차는 663.3점으로 40점 가량 줄었습니다.

프로토스랭킹 1위는 14주 연속 김택용입니다 (전체랭킹 3위, 통산 107주)
프로토스랭킹 2위 송병구(전체랭킹 6위)와의 점수차는 298.7점으로 40점 정도 줄었습니다.

김민철이 허영무-유준희에게 승리하며 10위로 2계단 상승,
저그랭킹은 4위로 1계단 올랐습니다.
이재호는 조기석을 꺾고 12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이신형은 박재혁-고강민-김대엽을 물리치고 18위로 5계단 상승,
테란랭킹은 9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김기현은 김경모-이재호를 꺾고 19위로 8계단 상승,
테란랭킹은 10위로 1계단 올랐습니다.

김성대는 김구현을 물리치고 28위로 1계단 상승,
김윤중은 이영호에게 승리하며 29위로 9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8위로 5계단 올랐습니다.

허영무는 고석현-이재호에게 승리하며 31위로 6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9위로 3계단 상승했습니다.
박상우는 전상욱-김기현을 꺾고 39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고강민은 박수범-김윤환에게 승리하며 42위로 3계단 상승,
저그랭킹은 16위로 2계단 올랐습니다.
정윤종은 유영진-정우용을 꺾고 46위로 1계단 상승,
프로토스랭킹은 15위로 1계단 상승했습니다.
김도우는 김성대를 물리치고 50위로 1계단 상승,
정우용은 최호선을 꺾고 55위로 4계단 상승,
테란랭킹은 16위로 3계단 상승했습니다.

60위권 밖에서는 노준규를 꺾은 주성욱이 61위로 1계단 상승,
한두열이 정명훈-고석현에게 승리하며 65위로 17계단 상승,
신대근이 김대엽을 물리치고 72위로 7계단 상승,
한지원이 김태훈-윤용태를 꺾고 79위로 16계단 상승,
정영재가 장윤철에게 승리하며 84위로 12계단 상승,
이정현이 박대호를 꺾고 100위로 3계단 상승했습니다.

송영진이 정경두를 꺾고 104위로 첫 진입,
윤지용이 김준호에게 승리하며 104위로 첫 진입,
김승현이 강정우를 물리치고 108위로 재진입,
김성운이 이예훈을 꺾고 109위로 첫 진입했습니다.

'2개월짜리 WP 랭킹' DWP랭킹에서는 이영호가 9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이제동이 2위, 신동원 3위, 김명운 4위, 이신형이 5위를 차지했습니다.
프로토스 중 DWP랭킹이 가장 높은 선수는 김택용입니다. (6위)

TTWP 랭킹에서는 SK텔레콤 T1이 29주 연속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삼성전자 KHAN이 5위로 1계단 올라섰습니다.

Best Pointer(60위권에서 점수가 가장 많이 상승한 선수)
김윤중(119점 상승, 프로리그에서 이영호에게 승리)

Best Jumper(60위권에서 랭킹이 가장 많이 오른 선수)
김윤중(9계단 상승, 프로리그에서 이영호에게 승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늘의왕자
11/07/12 16:07
수정 아이콘
김기현 19위..쭉쭉 올라가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898 연재물, 성전星戰(별 성, 싸울 전) 7회 - 전개3 - [10] aura5091 11/07/15 5091 0
44897 2002년 풋풋했던 그들 [18] 정열7478 11/07/15 7478 5
44896 프로토스전 퀸의 활용 [20] 다레니안6108 11/07/15 6108 0
44895 스카웃의 봉인해제를 위하여.. [82] mirtoss6783 11/07/15 6783 0
44893 스타2 게임단 SlayerS 팀, 스타2 최초로 여성 게이머가 입단. [95] kimbilly11133 11/07/15 11133 0
44892 대 저그전 옵티컬 플레어의 활용에 대하여 [30] 소디10761 11/07/14 10761 0
44891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4조(2) [119] SKY924505 11/07/14 4505 0
44890 토스는 대 저그전에서 아비터와 다크아콘을 사용하자! [68] 머드8387 11/07/14 8387 0
44889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4조 [301] SKY924782 11/07/14 4782 0
44888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3조(2) [147] SKY924506 11/07/14 4506 0
44887 2011 MBC게임 스타리그 서바이버 토너먼트 Season 2 3조 [233] SKY924553 11/07/14 4553 0
44886 신맵도 스타걸도 사라진, 이상한 이번 스타리그 [66] Alan_Baxter9271 11/07/14 9271 0
44883 다승왕을 정확히 이해하기. [56] 절름발이이리9316 11/07/14 9316 16
44882 연재물, 성전星戰(별 성, 싸울 전) 6회 - 전개2 - [10] aura5226 11/07/14 5226 0
44881 현재 포모스에서 인터넷 투표페이지를 만들어서도 투표중입니다만 [44] 파라디소6008 11/07/14 6008 0
44880 여자도 손스타를 하고 입스타도 하고 스타를 잘만봅니다. [75] 벡터와통계7014 11/07/14 7014 3
44879 개인리그(우승자)와 프로리그(다승왕) 제대로 한 번 비교해봅시다. [116] 매콤한맛6770 11/07/14 6770 2
44878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역대 스1에서 기억나는 선수들, 아까웠던 선수들.. [41] Gloomy6893 11/07/13 6893 0
44877 개인리그 준우승 VS 프로리그 다승왕. 어느쪽의 위상(가치)가 더 높다고 생각하십니까? - <II> [487] 파라디소9885 11/07/13 9885 2
44876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1회차(3) [231] SKY925656 11/07/13 5656 0
44875 Jinair 2011 스타리그 16강 1회차(2) [191] SKY925746 11/07/13 5746 0
44874 다크아칸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아닐까? [48] 녹턴9973 11/07/13 9973 0
44873 Daum Tekken Crash Season 8 16강 조편성 [3] SKY927703 11/07/13 770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