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8/11 00:58:49
Name 박루미
Subject WCG 2010 국가대표 선발전 현재까지의 중간정리(종합)

World Cyber Games(WCG 2010)
Drafting a member of the national team
Tournament the final
8.2 - 8.22(E-sports stadium In Yongsan-Korea)




올해도 찾아왔습니다. 월드사이버게임즈 페스티벌 2010(World cyber games festival)이 오는 9월 30일 부터 10월 3일까지 총 7일간의 기간동안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펼쳐지는데요, 금년도의 PC분야 정식종목은 종목선택의 여부를 놓고 진통이 좀 있었던 스타크래프트:Blood war 부분, 그리고 워크래프트3:프로즌 쓰론 부분, 카운터 스트라이크, 피파2010, 캐롬3D, 트랙매니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XBOX360시리즈로는 2010년 신설종목인 포르자 모터스포츠3(Forza mitorsports 3), 기타히어로5(Guitar hero 5), 철권6(Tekken 6)가 채택되었고요, 모바일종목으로는 2008년부터 채택되기 시작해 금년도로 3회째를 맞이하는 레이싱게임인 '아스팔트5(Asphalt 5)' 가 채택되었습니다., 프로모션 종목으로는 전년도 던전앤파이터에 이어 금년도에는 주)아이오엔터테인먼트의 로스트사가(Lost saga), 라이오프게임즈의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 드래곤플라이사의 퀘이크워즈 온라인(Quake wars on-line)이 새롭게 선을 보이게 됩니다.

이 중 한국대표 선발전은 정식과 Xbox360 종목을 합하여 6개 부분과 모바일 1개 부분, 프로모션 1개 부분을 합하여 총 8개 부분에서의 선발이 이루어지게 되고요, 지난 6월 18일 부터 7월 11일까지 스타/워3/피파2010/카스 - 총 4개 부분의 아마츄어 온라인 예선전이 치뤄졌습니다. 그리고 지난 7월 18일, 국대 선발 종목인 6개 부분의 오프라인 예선전이 치뤄졌고요~

관심을 모은 스타크래프트 분야는 총 4명의 아마츄어 진출자가 등장하였습니다. 과연 제 2의 손석희를 꿈꾸는 그들은 누가될까요? 차대한(아마, Z), 박재현(준프로, P), 이예준(아마, Z), 김성운(아마, Z)

스타부분은 총 24강전제로 24강에서 12명의 선수를 상위 16강으로 진출시키게 됩니다. 여기에 자동시드인 전년도 금/은/동메달리스트들과 KESPA 랭킹 1위자가 16강에 합류되어, 16강의 본선 2라운드가 펼쳐지는데요, 스타부분의 WCG2010 국가대표 선발전에 참여하게 될 프로게이머 26인의 참가자격은 7월 16일자 공지와 같습니다(http://kr.wcg.com/Fun/Notice/notice_view.asp?keyno=N10071610000)

이 중 2라운드 시드 배정자들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이영호(KT, T) - KESPA 랭킹 1위 자격
2. 김택용(SKT, P) - WCG 2009 동메달리스트
3. 송병구(삼성, P) - WCG 2009 은메달리스트
4. 이제동(화승, Z) - WCG 2009 금메달리스트

이렇게 결승리그까지 진행되어 1위와 2위에게 시드를 부여하며, 3.4위전을 통해서 3위에게도 시드를 부여합니다만, 4위는 탈락하게 됩니다. 스타부분은 이렇게 하여 오는 9월 30일부터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열리게 되는 WCG 2010 그랜드파이널에 출전하게 되지요~

WCG 2010 국가대표선발전의 방송중계와 다시보기는 (http://kr.wcg.com/Championship/Broadcast/2010/Broadcast.asp) 금년도 부터는 공식홈페이지에서 고화질로 중계및 다시보기 서비스를 감상하실 수 있고요, 온게임넷 채널에서도 실시간으로 중계를 시청하실 수 있는데다 다시보기 서비스도 제공받으실 수 있으니 시청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가대표 선발전의 온게임넷 방송일정은 다음의 방송일정 공지와 같습니다
방송일정 공지 : http://kr.wcg.com/Championship/Broadcast/2010/Broadcast_list.asp


<스타크래프트 분야의 24강 결과정리>
8월 2일 : 김명운(웅진) 대 김성대(이스트로)
SET 1 : 김명운(저, 5시) 승<그랜드라인SE>패 김성대(저, 11시)
SET 2 : 김명운(저, 11시) 승<폴라리스 랩소디>패 김성대(저, 5시)
김명운 2승으로 16강 진출 / 김성대 2패로 탈락

8월 2일 : 김정우(CJ) 대 김성운(아마)
SET 1 : 김정우(저, 11시) 패<그랜드라인SE>승 김성운(저, 1시)
SET 2 : 김정우(저, 11시) 승<폴라리스 랩소디>패 김성운(저, 5시)
SET 3 : 김정우(저, 1시) 승<투혼>패 김성운(저, 5시)
김정우 2승 1패로 16강 진출 / 김성운 2패로 탈락

8월 3일 : 염보성(MBC) 대 신상문(하이트)
SET 1 : 염보성(테, 11시) 패<그랜드라인SE>승 신상문(테, 5시)
SET 2 : 염보성(테, 5시) 패<폴라리스 랩소디>승 신상문(테, 11시)
신상문 2승으로 16강 진출 / 염보성 2패로 탈락

8월 3일 : 이재호(MBC) 대 차명환(삼성)
SET 1 : 이재호(테, 5시) 승<그랜드라인SE>패 차명환(저, 1시)
SET 2 : 이재호(테, 5시) 승<폴라리스 랩소디>패 차명환(저, 11시)
이재호 2승으로 16강 진출 / 차명환 2패로 탈락

8월 4일 : 김윤환(STX) 대 이예준(아마)
SET 1 : 김윤환(저, 1시) 승<그랜드라인SE>패 이예준(저, 11시)
SET 2 : 김윤환(저, 11시) 승<폴라리스 랩소디>패 이예준(저, 5시)
김윤환 2승으로 16강 진출 / 이예준 2패로 탈락

8월 4일 : 진영화(CJ) 대 박지수(KT)
SET 1 : 진영화(프, 1시) 승<그랜드라인SE>패 박지수(테, 11시)
SET 2 : 진영화(프, 11시) 패<폴라리스 랩소디>승 박지수(테, 5시)
SET 3 : 진영화(프, 1시) 패<투혼>승 박지수(테, 11시)
박지수 2승 1패로 16강 진출 / 진영화 1승 2패로 탈락

8월 5일 : 한상봉(웅진) 대 박상우(이스트로)
SET 1 : 한상봉(저, 1시) 승<그랜드라인SE>패 박상우(테, 7시)
SET 2 : 한상봉(저, 11시) 승<폴라리스 랩소디>패 박상우(테, 5시)
한상봉 2승으로 16강 진출 / 박상우 2패로 탈락

8월 5일 : 윤용태(웅진) 대 박세정(위메이드)
SET 1 : 윤용태(프, 5시) 패<그랜드라인SE>승 박세정(프, 11시)
SET 2 : 윤용태(프, 11시) 승<폴라리스 랩소디>패 박세정(프, 5시)
SET 3 : 윤용태(프, 1시) 패<투혼>승 박세정(프, 5시)
박세정 2승 1패로 16강 진출 / 윤용태 1승 2패로 탈락

8월 9일 : 정명훈(SKT) 대 차대한(아마)
SET 1 : 정명훈(테, 11시) 승<그랜드라인SE>패 차대한(저, 5시)
SET 2 : 정명훈(테, 11시) 승<폴라리스 랩소디>패 차대한(저, 5시)
정명훈 2승으로 16강 진출 / 차대한 2패로 탈락

8월 9일 : 전태양(위메이드) 대 이영한(위메이드)
SET 1 : 전태양(테, 11시) 승<그랜드라인SE>패 이영한(저, 1시)
SET 2 : 전태양(테, 11시) 승<폴라리스 랩소디>패 이영한(저, 5시)
전태양 2승으로 16강 진출 / 이영한 2패로 탈락

8월 10일 : 김구현(STX) 대 박재현(준프로)
SET 1 : 김구현(프, 5시) 승<그랜드라인SE>패 박재현(프, 11시)
SET 2 : 김구현(프, 5시) 승<폴라리스 랩소디>패 박재현(프, 11시)
김구현 2승으로 16강 진출 / 박재현 2패로 탈락

8월 10일 : 구성훈(화승) 대 허영무(삼성)
SET 1 : 구성훈(테, 5시) 승<그랜드라인SE>패 허영무(프, 11시)
SET 2 : 구성훈(테, 5시) 승<폴라리스 랩소디>패 허영무(프, 11시)
구성훈 2승으로 16강 진출 / 허영무 2패로 탈락

8월 10일 경기를 통해 스타크래프트 24강전이 종료되었고, 11일(수)부터는 시드자 4인을 포함하여
16강전이 진행됩니다. 그 첫 포문은 이영호와 신상문의 16강전입니다.

<스타크래프트 분야의 16강 이후 결선 일정>
8월 11일(수)
12시-13시 이영호 대 신상문
13시-14시 김윤환 대 이재호

8월 12일(목)
12시-13시 송병구 대 박세정
13시-14시 김정우 대 박지수

8월 16일(월)
12시-13시 김택용 대 전태양
13시-14시 이제동 대 구성훈

8월 17일(화)
12시-13시 김구현 대 한상봉
13시-14시 정명훈 대 김명운

8월 18일 부터 19일까지는 8강전
8월 21일은 4강전

대망의 8월 22일에는 결승전과 정말로 중요한 경기인 3,4위전이 열리고, 스타부분의 3,4위전을 끝으로
18시부터 WCG 2010 한국대표 시상 및 대표팀 발대식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워3를 포함한 다른 경기 현황>
워3의 경우는 아직 장두섭과 이종석의 16강전, 그리고 많은 분들이 기다리고 또 기다렸던 회장님 장재호와 유종호와의 16강전이 드디어 금일 치뤄지게 됩니다. 현재 확정된 워3 8강 대진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A조 : 박준 대 지윤구(지못미)
B조 : 김성식 대 윤덕만
C조 : 엄효섭 대 (장재호-유종호의 승자)
D조 : 김동환 대 (장두섭-이종석의 승자)

카운터스트라이크는 4강전 A조에서 WeMadeFox 팀이 HYPERATIC 팀을 물리치고 결승에 진출해 있습니다.
카운터스트라이크의 4강전 B조는 sizteam 팀과 esq.wind 팀이 오는 13일(금)에 격돌하게 됩니다.

피파2010의 경우 지난 주 열린 4강전 A조에서 황상우 선수가 김도형 선수를 2:0으로 물리치고 결승에 진출해 있습니다.
피파2010의 4강전 B조는 강성훈 선수와 김성재 선수가 오는 13일(금)에 격돌하게 됩니다.

캐럼3D의 경우 결승 선발전으로 한 명을 선발하게 되는데, 김희철 선수와 최미선 선수가 오는 19일(목) 오전 11시에
국가대표 1인을 향한 결승 선발전을 벌이게 됩니다. 캐럼3D는 온라인 예선이 없었고요, 3명 1개조의 2조로 치뤄낸
오프라인 예선전의 각 조 상위 1인, 총 2인이 결승 선발전을 치뤄서 1명의 국가대표를 선발하게 됩니다.

로스트사가의 경우 이번에 채택된 프로모션 분야 중 하나로 참가자격은 3인 1개조이며, 결선을 통해 1개조(3명)을 선발하게 됩니다.
오프라인 예선 12개 팀에서 살아남은 4팀이 현재 본선을 치르게 됩니다.
4강전 A조는 오는 16일(월)에 Akatsuki 팀과 Asura 팀이
4강전 B조는 오는 17일(화)에 Dog-wall 팀과 사슴파 팀이
결선은 오는 21일, 토요일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철권6 부분은 현재 16강전이 진행중에 있습니다. 현재까지 8강에 진출한 선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8강 A조 - 문창빈(빈창) 대 김기용(Goonies)
8강 B조 - 박형규(NIN) 대 홍선표(레인)
8강 C조 - 장종혁(통발러브)-박찬(해법숑키)의 승자 대 김현진(잡다캐릭)-한동욱(한쿠마)의 승자
8강 D조 - 배재민(무릎)-전지홍(다살기)의 승자 대 강성호(CHANEL)-주정중(나락호프)의 승자
철권은 결선에 오른 상위 1, 2위를 선발합니다. 때문에 3, 4위전은 치뤄지지 않습니다.

모바일 부분인 아스팔트5-Racer 의 경우는 http://mobile.wcg.com/main/main_ko.asp 에서 예선 및 결선이
따로 진행되고요, 1명을 선발하게 됩니다.
온라인 예선일정 : 2010년 7월 19일 ~ 8월 16일
국가결선 일정 : 2010년 8월 21일
장소 : 삼성전자 서초사옥

현재 실시간 등록 랭킹(한국)은 아래와 같습니다.
순위 / ID / 등록점수 / 등록일시 순서 ->
1  drkk  80,270 2010-07-25 12:59:36  
2  hwel  79,208 2010-07-26 15:06:38  
3  $$$$$!!!  78,632 2010-07-26 10:55:50  
4  monk2  78,594 2010-07-25 23:17:55  
5  leewonjoon  78,098 2010-07-19 09:50:55  

또 하나의 프로모션 종목인 퀘이크워즈 온라인 국가대표 선발전의 경우는 이미 온게임넷에서
주관하여 자체 클랜전을 통해 한 팀이 선정되었습니다. 온게임넷에서는 생방이 아닌 녹화방송(정소림, 온상민 해설)으로
퀘이크워즈 온라인의 풀리그 예선전을 13일(금) 방송하게 되며, 결승전을 20일(금)에 방송하게 됩니다.
스포일러 관계로 해당 결과는 여기에 공개하지 않겠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퀘이크워즈온라인의 메인 홈에서
경기 결과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기타 참고사항>
포르자 모터스포츠 3, 트랙매니아, 기타 히어로5의 3개 종목은 한국에서 진행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나름 바쁘게 WCG의 국가대표 선발전이 각 분야에 걸쳐 진행되고 있습니다.
과연 영광의 국가대표 마크를 달고 LA에서 활약하게 될 선수는 누가 될지 많은 관심 가져주시기 바라고요



위는 2009년 중국 청두에서 열린 WCG 2009 의 Official song인 미 4인조 밴드 Disturbed의 "Beyond the games" 입니다.
개인적으로도 가장 추천하고 싶은 WCG 테마송이라지요~ 2009의 영광을 다시 한 번!!


BEYOND THE GAME
WORLD CYBER GAMES 2010 in Los-Angeles


이하는 작년 청두-그랜드파이널의 결선현황입니다.


2009년 청두-그랜드파이널 최종정리글은 여기서 확인(http://dreamone.tistory.com/660 ) 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08/11 01:14
수정 아이콘
철권의 강성호 선수는 채널.. 이 아니라 샤넬선수 아니신가요?! 이거 제가 잘못알고 있었던가..
영웅의물량
10/08/11 01:43
수정 아이콘
WCG시드까지도 택뱅리쌍이라...

4대천왕 기간보다 훨씬 오래가네요 이 선수들..
sO.Gloomy
10/08/11 01:56
수정 아이콘
워크, 철권에서 선전했으면 좋겠네요
이번 스타는 아마추어가 다 떨어져서 좀 아쉽긴하군요
김영대
10/08/11 09:42
수정 아이콘
최근 뭐 포스 떨어졌네 어쩌네 저쩌네 해도 택뱅리쌍인건가..;;
임이최마율~
10/08/11 10:38
수정 아이콘
이번 스타크래프트 국대 선발전에서는
이영호선수의 1위, 송병구 선수의 적절한 2위, 이제동 선수의 3위를 예상해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3129 WCG 2010 : Grand Final - 4일차 : 워3 / 카스 / 스타 #1 [276] kimbilly9172 10/10/04 9172 0
43125 WCG 2010 Grand Final(3) [111] SKY929646 10/10/03 9646 0
43123 WCG2010 대한민국 우승확정!! [4] 러브포보아6819 10/10/03 6819 0
43121 WCG 2010 Grand Final 3일차(2) [215] SKY927799 10/10/03 7799 0
43120 WCG 2010 Grand Final 3일차 [288] SKY928251 10/10/03 8251 0
43109 WCG 2010 : Grand Final - 3일차 이후 온게임넷 생중계 일정 [10] kimbilly5826 10/10/02 5826 0
43087 WCG 2010 Grand Final - 인터넷 방송 일정 공개! [5] kimbilly5920 10/09/27 5920 0
43071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준우승자의 KeSPA 랭킹 분석 [6] 개념은나의것7240 10/09/21 7240 0
42979 16인의 이야기& 시즌별 5강 [5] 信主5347 10/09/13 5347 0
42977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2] 개념은나의것5105 10/09/13 5105 0
42946 역대 양대리그 간 동일 시즌 대회 분석 [6] 개념은나의것5725 10/09/12 5725 0
42928 양대리그 역대 우승자/준우승자 현황 [14] 개념은나의것6308 10/09/11 6308 0
42891 MSL과 스타리그 10년 동안의 오프닝을 다시금 정리하며... [17] Alan_Baxter7956 10/09/09 7956 4
42824 리쌍의 양대리그 결승 일지와 우승 추이, 기록 정리 [13] 후아암6684 10/09/03 6684 0
42753 각년도별 택뱅리쌍 선두들의 기록 [15] TheUnintended5951 10/08/29 5951 0
42746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의 차기 대회 성적 분석 [8] 개념은나의것5293 10/08/28 5293 0
42680 WCG 2010 한국대표선발전 전체종목 선발결과 총정리 [16] 루미큐브6905 10/08/24 6905 0
42505 WCG 2010 국가대표 선발전 현재까지의 중간정리(종합) [8] 박루미6866 10/08/11 6866 0
42293 온게임넷 스타리그 역대 공식맵 문구 정리 [5] 개념은나의것11165 10/07/22 11165 0
42251 WCG 2010 - 국가 대표 선발전 오프라인 예선 결과 [10] kimbilly6019 10/07/18 6019 0
42042 양대리그 통산 우승/준우승 횟수에 대한 커리어 벡터 [24] 개념은나의것6124 10/06/16 6124 0
42027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랭킹 [9] 信主SUNNY5311 10/06/13 5311 0
41967 테란에서, 저그에서, 토스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낸 선수는 누굴까? [51] 信主SUNNY10648 10/06/06 10648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