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5/23 16:41:07
Name 불소
Subject 어제 저는 운이 좋았습니다.
저는 어제 무척 운이 좋은 편이었습니다.

정말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볼 수 있었습니다. 응원한 선수가 지기는 했지만, 극적인 영화와도 같은 승리를 보기도 했고, 여자친구도 무척이나 만족을 했으니 성공적인 데이트였죠. 작년에 오프 갔을 때 만났던 사람을 다시 만나기도 했었고, 가까이에서 MC용준을 본 경험 또한 무척 특별했습니다. 하지만, 저의 진짜 운은 아직 나오지도 않았습니다.

KT 팬이라서 이영호 선수를 보러 간 것이었고, 다른 사람들에 비하면 조금 늦긴 했지만 그래도 김정우 선수의 우승 소감이 나올 때 퇴장을 시작했으니 그렇게 늦게 나온 건 아니었습니다. 한 30분 정도 기다렸던 것 같습니다. 다른 분들이 보시기엔 우스울 정도의 대기 시간이었죠. 그런데 이게 어떻게 나온 거냐면 출구 앞쪽에서 줄을 서고 있었는데, 이쪽이 아닌 거 같아 왼쪽에 있던 대각선의 줄로 옮겨갔더니 이쪽이 빠져나가고 있던 겁니다. 그러니까, 군중은 크게 두 무리로 서 있었는데 그 나가고 있던 무리가 원래 나가야 할 먼저 줄을 선 대기자들이 아니고 옆에서 끼어들던 사람이었던 겁니다. 전 덕분에 운이 좋게도 일찍 나갈 수 있었습니다.

퇴장만 운이 좋았던 게 아닙니다. 입장도 운이 좋았죠. 저는 KT 공홈에서 골마 응원단을 신청해둔 상태라 3시까지 가면 될 것으로 생각했었고, 제가 조금 늦게 출발하기는 했어도 3시 20분에 격납고 앞 대기장소로 이동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런데 그냥 줄이 끝없이 늘어지더군요. VIP냐 아니냐만 물었기에 전 아니라고만 대답했고, 긴 줄을 따라 대기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천막 너머로 팬들이 보이는데 금빛 망토를 두르고 있더군요. 전 처음에 그분들이 앉은 자리에 이영호 응원단이라고 다른 팻말이 있길래 그냥 팬클럽 자리인 줄 알았습니다. 생각해보니 금빛 망토는 KT 공홈 응원단이 착용하는 것이었고, 확인해보니 거기가 KT 공홈 신청자들 대기장소였습니다. 그래서 여자친구 데리고 꾸역꾸역 끼어들어 가서 겨우 자리를 잡았습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훨씬 일찍 입장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무척 운이 좋았습니다. 늦게 도착했지만 어떻게 끼어들어가 일찍 들어갈 수 있었고, 꼼짝없이 빗속에서 기다려야 할 것을 비집고 들어가 저의 자리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오전부터 기다리신 분들도 있다고 들었는데 이쯤 되면 거의 사기 수준이죠. 퇴장할 때도 뒤늦게 나왔지만, 줄을 잘 타서 일찍 나올 수 있었습니다. 비록 막차를 타고 가다 택시로 옮겨가야 했지만요.

저는 분명히 저렇게 빨리 입장할 수도 없었고, 그래야 했습니다. 분명히 늦게 왔으니까요. 하지만, 재밌지 않나요? 몇시간째 기다리던 사람보다 30분 기다리던 사람이 더 빨리 입장했습니다. 아 이건 다른 결승 오프에서도 경험해보긴 했네요. 하지만 저는 어떤 안내도 받지 못했고, 어떤 설명도 받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그 오프는 비교적 규모가 작은 돔 아트홀에서 열렀던 로스트사가 MSL 결승이었습니다. 이번 오프와는 규모가 비교가 안 되었었죠. 그때는 응원단 규모가 일반팬들에 비해 그렇게 적은 게 아니었지만, 어제는 응원단 신청자가 380명이었고 참가자는 12000여 명이었죠. 이 40분의 1을 위해서 얼마나 많은 팬들이 빗속에서 우왕좌왕하면서 기다렸어야 했을지. 아, 김정우 선수 측 응원단도 있으니 20분의 1로 정정하겠습니다.

퇴장도 말이 안 됩니다. 이미 왼쪽 라인의 2/3가 빠져나온 상태에서 나오기 시작했는데, 30분 만에 나올 수 있었습니다. 아, 이 시간은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만, CJ 선수 몇 분이 밖으로 나오실 때 제가 입구에 있었으니 이걸 목격한 분이라면 정확한 시간을 아실 수도 있겠네요. 어쨌든 저는 다른 분들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빨리 나올 수 있었습니다.

저는 어제 제가 한 달간 써야 할 운을 다 써버린 건 아닌가 무서움이 들 정도입니다. 그리고 제가 굉장한 반칙을 한 것 같고, 다른 분들에게 죄송스러운 느낌까지 들 정도입니다. 저는 운이 좋게도 일찍 일찍 나왔지만, 수천 명의 팬들은 이 이상한 시스템에 붙잡혀서 고생해야만 했으니까요. 첫 글을 이렇게 두루뭉술하면서 이상한 뻘소리로 쓰자니 웃음이 나옵니다만, 정말 잊지 못할 경험이었던 것 같습니다.

저는 이번 오프가 4번째였고(로사 MSL 결승, 위너스 용산 플옵, 프로리그 황달록) 모두 큰 이벤트였기에 고생해야만 했습니다. 일행들과 같이 앉지 못한 적도 있었고, 하염없이 기다리기만 해야 했던 적도 있었고, 불친절하고 위압적인 경고를 받은 적도 있었기에 오프에 대한 기억이 그리 좋지만은 않습니다. 그러나 전 아직 스타판에 대한 애정이 있는 데다가 원래 KCM과 승원좌를 좋아하는 마음에 이번 MSL 결승을 갈 생각입니다. 하지만, 이번 MSL마저 절 실망시킨다면 다시는 오프를 갈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ps : 퇴장할 때 보면 뭐라고 부르는 지는 모르겠는데 아무튼 퇴장 대기자라는 조그만 천막이 있던 거 기억하시려나 모르겠습니다. 처음부터 거기에는 '나갈 분들은 셔틀버스를 타고 나가야 하니 대기해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내용의 글이 써진 종이가 붙어 있었습니다. 어제 퇴장은 분명히 온게임넷이 계획한 그대로였다고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엑시움
10/05/23 16:54
수정 아이콘
아니 진짜 그 많은 인원을 전부 다 셔틀버스로 실어나를 계획이었던 건가요?;; 버스 하나가 이동하는데 4분이 소요되고, 버스로 1천 명의 인원을 한꺼번에 실어나른다 해도 1시간 가까이 소요될 텐데;;
10/05/23 17:03
수정 아이콘
엑시움님// 저는 입장과 퇴장할 때 관광버스 2대를 봤었습니다. 다만 퇴장할 때는 대한항공 버스도 한 대 오긴 하더군요. 이게 전부인지는 모르겠는데, 아무튼 버스에 사람들 꽉꽉 채워서 밀어넣어도 암담하더군요.
Lainworks
10/05/23 17:03
수정 아이콘
버스는 네다섯대 있었습니다.

근데 막차시간이 가까워지니 그냥 버스 안타고 나가서 뛰거나 셔틀버스 말고 시내버스나 콜택시 타겠다는 사람이 있었는데도 계속 셔틀버스 타게 줄세운게 문제죠. 못나가게. ⓑ
10/05/23 18:25
수정 아이콘
셔틀버스 안 타고...김포공항 역까지 걸어가겠다! 라는 팬을 대한항공 격납고와 대한항공 본사 울타리 안에 감금한 것이 문제죠...
10/05/23 18:51
수정 아이콘
공군을 나온 예비역으로서, 격납고가 그렇게 대단한 장소가 아닌데.. 왜 그렇게 통제를 했는지 이해가 안되군요..
물론, 사고방지차원이라지만. 이번 결승전은 여러모로 부족한점이 많아보이네요.
파일롯토
10/05/23 19:03
수정 아이콘
만명을 두줄로세우는거부터가 개념상실이었죠
10/05/23 20:32
수정 아이콘
나중가서 그런거 같네요. 저는 거의 초반에 나온편인데....제가 나갈때만해도 버스타고 나가는사람과 그냥 나가는사람을 구분해서 통제했습니다.
고금횡단
10/05/23 22:12
수정 아이콘
버스는 한 대여섯대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저도 서 있다가 줄에 빨리 합류한 편이기 때문에 집에 올 수 있었던 것 같아요. 그래서 다들 집에 어떻게 가나 이 생각만 했지 어린 친구들 생각을 못했네요. 상황이 생각보다 심각했다는 걸 와서 글을 보고서야 알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954 역대 양대리그 종족별 성적 분석 [9] 개념은나의것5414 10/06/04 5414 0
41875 양대리그 역대 우승자/준우승자 현황 [35] 개념은나의것6435 10/05/30 6435 1
41847 역대 양대리그 간 동일 시즌 대회 분석 [9] 개념은나의것5104 10/05/29 5104 0
41779 연달아 터진 사태에 이번 발표를 보며. [18] Yukira5117 10/05/27 5117 0
41705 어제 저는 운이 좋았습니다. [8] 불소5599 10/05/23 5599 0
41566 2010년 5월 20일 현재, 이제동과 이영호의 통산 전적 및 커리어 [33] 개념은나의것9021 10/05/20 9021 4
41469 니가 좋아하는 뿅뿅 그거 사기라며? [5] naughty5690 10/05/18 5690 1
41275 [듣기싫을 소리] 윤용태의 패배, 자업자득이었다. [29] LucidDream7484 10/05/13 7484 10
41216 역대 양대리그 셧아웃(shutout) 일지 [36] 개념은나의것6160 10/05/08 6160 1
41132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준우승자의 KeSPA 랭킹 분석 [19] 개념은나의것6663 10/05/01 6663 1
41054 데이터로 본 역대 프로게이머선수들의 전성기 총정리 (2010.4.24) [27] 이영수`7211 10/04/24 7211 4
41036 양대리그 통산 2회 이상 우승자의 5전3선승제 이상 다전제 전적 정리 [40] 개념은나의것8278 10/04/22 8278 2
41018 3.3 이후 택뱅리쌍의 개인리그 성적 [65] 케이윌7378 10/04/21 7378 0
40869 양대리그 통산 2회 이상 우승자의 첫 우승 시즌 이후 10개 시즌 성적 [10] 개념은나의것4544 10/04/11 4544 0
40863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4강 방송 안내 [4] canoppy4142 10/04/10 4142 0
40827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 금일(목) 20:00 방송 중 canoppy4379 10/04/07 4379 1
40811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전경기 생방송 중 canoppy4163 10/04/07 4163 0
40802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 금일 예선 20:00 전경기 방송 예정 [1] canoppy4401 10/04/07 4401 0
40787 [일정변경] PGR21 블리자드 스타2 토너먼트 화요일 예선 -> 목요일 20:00 canoppy4706 10/04/05 4706 0
40774 [대회공지] PGR21 블리자드 스타2 베타테스터 토너먼트 - 대진표 및 맵 공개 [3] canoppy4660 10/04/05 4660 0
40728 Red sniper 진영수!!!... [25] forgotteness7088 10/04/01 7088 0
40718 iTV를 추억하며, 예전 기억들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20] 샤르미에티미4957 10/03/31 4957 0
40687 2010 MBC게임 스타리그 Season 1 조지명식 [598] SKY9210191 10/03/25 1019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